CHOSUN

일터학습이 근로자의 혁신성, 경력지향,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전충인
Issued Date
2012
Abstract
평생교육은 개인 뿐 아니라 기업 조직에서 인적자원의 개발 그리고 이를 통한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매우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기업의 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가장 초기의 연구들은 그 관심이 교육훈련에 맞춰졌었다. 이는 교육훈련이 종업원의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태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종업원의 성취동기를 형성시키고 조직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요소로 각 기업 내에서 인지되었기 때문이다(권소연, 1999). 하지만 기업 환경의 변화가 갈수록 가속화됨에 따라 최고의 기업경쟁력 강화 전략은 바로 학습하는 기업을 만드는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차원에 있어서 기존의 교육훈련에서 학습으로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지금까지 인적자원개발은 교육훈련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일반적으로 실시되어 오는 교육훈련 중심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은 필요한 시기에 이루어지기 어렵고 실제업무에 전이수준이 낮고 적용이 어렵다는 한계를 드러냄에 따라 최근의 기업에서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이 학습중심의 관점으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일터자체가 바로 학습의 공간이라는 기업에서 기존의 인적자원개발의 활동인 교육훈련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완하며 조직 내 성과를 실현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하게 되었다(문세연, 2006).
기업에서는 개인들의 능력 개발과 기업의 경영성과 향상을 위한 일터학습을 계획, 실행, 평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일터학습은‘일터에서의 학습’을 총칭하는 말로 학습을 특정 장소와 연결시키면서 자연스럽게 등장한 말로 학교에서의 학습이나 가정에서의 학습처럼 일터에서 일어나는 학습이다. Watkins(1995)에 따르면 일터학습은“훈련을 하는 사람이 조직에서 무엇을 하는가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학습자가 학습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이 말은 일터학습이 조직의 처방적 관점에서 일어나는 각종 학습활동뿐만 아니라, 학습자 중심으로 전개되는 경험적이고 일상적인 학습활동까지 포함하는 매우 포괄적인 의미로 업무와 관련된 학습, 일을 통한 학습, 일에 기반하여 일어나는 학습 등‘일’과 관련된 모든 학습을 포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학습이 유기적이며, 역동적으로, 범생애적으로 점차 폭이 넓어지고 확장되어 가고 있다는 평생학습 패러다임 변화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일터학습은 점차 일과 학습은 분리된 개념이 아니라 조직이나 조직 내의 종업원을 포함하여 전개되는 전략적인 학습촉진 활동으로 변화(Bierema, 2001)하고 있다. 이렇듯 평생학습 패러다임 변화와 함께 일터에서 일어나는 학습에 대한 중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Boud & Garrick, 2001).
지금까지 기업의 일터학습은 형식 학습 형태의 교육훈련이 주를 이루어 왔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기업의 구성원들은 지식기반 경제와 평생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일터학습의 유형에 많은 관심을 기울리고 있다(임재원, 2010). 일터학습 유형 중 무형식적이고 우연적인 학습의 기회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최근의 실증적 연구들은 개인이 직무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와 같은 역량을 습득하는 방식으로 대부분이 무형식 또는 우연적 학습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hao, 2001; Garavan, 2002, Revenko, 2003).
지금까지 평생교육 및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연구에서는 개인의 학습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업조직 내에서, 개인의 학습과 조직몰입에 대한 선행적 요인으로써, 학습과 혁신성에 대한 연구와 개인의 학습에 대한 경력지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조직의 성과는 개인의 조직에 대한 몰입이 없이는 불가능하며, Calantone과 그의 동료들(2002)은 학습이 조직의 혁신성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학습은 조직의성과에 직접적이며 혁신성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미침을 밝혀냄으로써 조직에서의 학습이 경쟁력확보의 요인이 됨을 밝혀냈다. 이때 혁신성 또한 조직의 성과를 예측하는데, 이를 통해 조직의 학습과 혁신성은 성과창출에 기여한다는 가정을 입증한바 있다. 더욱이 경영학 또는 심리학 분야에서 이러한 조직의 유효성을 높일 수 있는 변수들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변수들은 연구의 대상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기 때문에 이 변수들이 학습을 통해 어떻게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통합적인 모형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터학습의 유형이 구성원의 혁신성과 경력지향 그리고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기업조직에서 조직의 성과는 조직 구성원들의 협조 없이는 불가능하기에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해 애착을 가지고 조직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헌신하고 몰입하는 의지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변수들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일터학습과 관련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혁신성과 경력지향 같은 개인특성들이 일터학습을 통해 어떻게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혁신성과 경력지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일터학습과의 연계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터학습의 유형(형식적 학습, 무형식적 학습, 우연적 학습)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일터학습의 유형(형식적 학습, 무형식적 학습, 우연적 학습)이 경력지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셋째, 일터학습의 유형(형식적 학습, 무형식적 학습, 우연적 학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넷째, 혁신성과 경력지향의 일터학습의 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매개효과를 분석 하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workplace learning in small and medium business,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workplace learning and career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list the Korea Federation of Business, 282 workers were sampled for the study based on the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out of the population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with an alpha level of 0.05 to establish a priori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7.0 statistics package.
A questionnaires, the method of data analysis, consisted of workplace learning scale, career commitment scale,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demographics scale. The workplace learning scale was adapted Moon as translated form Rowden. The career commitment scale was translated form Blau into our business contex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adapted Allen & Meyer, Smith as revised from Allen & Meyer into our business context.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workplace learning level of workers in small and medium businesses is higher than the theoretical average. Formal learning is the highest, and informal learning is the lowest.
Second, the workplace learning level of workers in small and medium business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level of education, job, and level of workplace learning were not different to age, career, position, Male worker recognize the higher level of the workplace learning than female worker. And the higher level of education, the more they recognize the level.
Third, the career commitment of workers in small and medium businesses have a high level of 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th, the workplace learning of workers in small and medium businesses have a relation with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articularly,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most explained by informal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made as follows:
First, the future research need to develop the workplace learning scales about other aspects of workplace learning.
Second, a further research about workplace learning as a result of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uld be purposed.
Alternative Title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Alternative Author(s)
Jeon Chung-in
Affiliatio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stration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stration Chosun University
Department
경영대학원 경영학석사학위과정
Advisor
윤종록
Awarded Date
2012-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Ⅰ. 서 론 1
1.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5
2.1 일터학습 5
2.1.1 일터학습의 개념 5
2.1.2 일터학습의 모형 11
2.1.3 일터학습의 유형 17
2.2 혁신성 30
2.3 경력지향 34
2.4 조직몰입 38
2.4.1 조직몰입의 개념 38
2.4.2 조직몰입의 영향요인 41
2.4.3 일터학습과 조직몰입의 관계 45
2.5 선행연구 47

Ⅲ.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58
3.1 연구모형 58
3.2 가설의 설정 59
3.2.1 일터학습과 혁신성 59
3.2.2 일터학습과 경력지향 60
3.2.3 일터학습과 조직몰입 61
3.2.4 혁신성과 경력지향의 매개효과 62
Ⅳ. 연구 방법 64
4.1 표본의 선정 및 특성 64
4.1.1 표본의 선정 및 자료수집 64
4.1.2 표본의 특성 64
4.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66
4.2.1 변수의 조작적 정의 66
4.2.2 설문지 구성 및 측정 69
4.2.3 자료의 분석방법 70

Ⅴ. 실증 분석 71
5.1 변수의 신뢰성 분석 및 타당성 분석 71
5.1.1 독립변수의 요인 및 신뢰성 분석 72
5.1.2 매개, 종속변수의 요인 및 신뢰성 분석 73
5.2 상관관계 75
5.3 가설의 검증 76
5.3.1 가설 Ⅰ검증 76
5.3.2 가설 Ⅱ검증 77
5.3.3 가설 Ⅲ검증 78
5.3.4 가설 Ⅳ검증 79
5.3.5 가설 Ⅴ검증 80
5.3.6 가설 Ⅵ검증 81
5.3.7 가설 Ⅶ검증 85

Ⅵ. 결 론 91
6.1 연구결과의 요약 91
6.2 연구 결과의 시사점 및 한계 93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Citation
전충인. (2012). 일터학습이 근로자의 혁신성, 경력지향,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48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3436
Appears in Collections:
Business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2-08-09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