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건설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생수
Issued Date
2012
Abstract
1.1 연구의 필요성

건설업의 종업원들은 다른 산업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산업 재해율과 공사 기간에 따른 근무시간의 불안정, 높은 근무 강도, 수많은 하도급 구조 등으로 스트레스 수준이 매우 높다. 건설현장은 타산업의 주 5일제 근무와 달리 공정이 상호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공휴일과 휴가 및 휴식이 보장되기 어렵다. 또한 작업에 대한 강도가 커서 육체적으로 힘들다. 따라서 피로가 누적되어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키고 중대사고 위험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특히 건설업은 적은 인원으로 현장과 사무실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직종과는 달리 직무 스트레스가 높다(최해진, 2008).
2010년 기준 우리나라 경제활동 인구 중 건설업취업자의 비율은 전체 7.8%로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건설업은 과거 반세기 동안 국가경제를 성장시킨 주된 산업으로 단일산업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제조업 다음으로 높은 산업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09년 통계청의 전국 사업체조사에 따르면 전체 1,923개로 분류된 산업 구성 중 1000명이상 대규모 사업장의 비율이 가장 높은 제조업이 총 사업체수 320,274개, 종사자수 3,269,339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건설업의 경우 총 사업체수 94,716개로 사업체수로는 전체 39위, 종사자수는 894,504명을 차지하고 있다. 2006년 근로복지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근로자 보상비용의 약 30%가 건설재해에 쓰이고 있다고 하니 건설업 근로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심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과거에 비하여 건설업의 산업규모가 커지고 종사 근로자수가 증가하여서 그런 것은 아닐까 추측하여 볼 수도 있겠으나, 제조업 또한 종사자수가 과거에 비하여 증가하였음에도 재해자수는 줄어들었다는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건설업의 스트레스 증가에 또 다른 이유가 있지 않나 하는 추측을 하게 된다.
건설업의 경우 타 산업에 비하여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비정형화 된 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노동 강도 또한 높다. 고용 안정성 또한 타 산업 대비 낮은 수준으로 전체 인력구성 중 일용직의 비율이 매우 높아 비전문 인력 및 고령자의 취업비율이 높은 편이다. 양은경(2010)의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하위 요인인 직무 특성, 역할관련, 사회적 지원, 보상제도 모두가 직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의 주장을 뒷받침하였다.
하지만 건설업체는 고유의 특성 및 문제점이 건설 종업원들의 직무 스트레스를 일으키며, 직무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건설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의 관리는 노동력의 인적 속성 다양화와 더불어 복잡하며 커지고 있다. 종업원들의 스트레스의 요인을 분석하여 관리하는 것은 기업의 종업원들의 개인적․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관리 분야가 될 것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종업원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발생 요인을 발견하고 관리하여 종업원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직무만족과 부정적 직무만족을 갖지 않도록 예방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기업이 종업원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종업원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 시키는 중요한 관리 분야가 된다.
그동안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많은 선행 연구들이 있어 왔으나 여러 직종 중에 서비스직이나 교사직 또는 타 중소기업의 직무 스트레스에 많은 연구들 중 사업장의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현저히 적었으며 특히 건설 종업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설 업체 종업원을 대상으로 직무특성, 역할과부하, 보상제도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의 요인을 찾아보고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한다.
둘째, 직무특성, 역할과부하, 보상제도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한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회사의 지원에 조절효과를 분석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소 건설 업체에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찾아내고 이들이 직무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밝혀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있어서 분석 대상으로 하는 광주, 전남지역에서 건설업에 종사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건설 업체에 근무하는 종업원들의 전반적인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 및 미치는 영향을 연구 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여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수준과 육체적 심리적 반응 상태를 통한 스트레스 수준을 조사한다. 또한 직무 만족도 수준을 조사하여 각 변수별 독립․종속 변수를 선정하여 각 변수 간 유의성과 스트레스 수준을 상호 비교하고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토대로 나온 연구 결과로 광주, 전남지역 건설업에 종사하는 종업원의 스트레스 수준과 직무 스트레스의 원인을 찾아내어 직무 스트레스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1.3 논문의 구성

본 논문은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범위, 연구의 방법과 구성에 대해 기술하였고 본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건설업의 특성과 건설업에 종사하는 종업원의 직무스트레스를 고찰하고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살펴보고, 직무 만족과 직무 만족 요인에 대한 고찰을 살펴보았다.
제3장은 연구모형과 가설설정에 관한 내용으로 실증연구를 위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주요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의 측정을 위한 변수의 구성개념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제4장은 실증분석으로서 표본의 선정 및 자료 수집방법과 자료 분석방법 그리고 측정을 제시하였다. 또한 신뢰성분석, 타당성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결과를 제시하였고, 가설검정 및 결과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과 아울러 향후 연구 방향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Today, companies faces the rapid changes in environments owing to global management, excessive supply of the products and services, diversity, and increasing expectation of customers. Thus, employees are exposed to the numerous job requirements and stresses from the role conflict, the role ambiguity, the role overload, the interpersonal relations, safety, the job insecurity, and the job Burnout
Particularly, employe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ork in a more poor environment compared to those in other industries. These situations cause job stress, job dissatisfaction, low productivity, higher absences and turnover, and low organizational performance. To cope with these difficulties, managers should manage to reduce job stresses, job burnou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on departing and remaining with the sample of 225 in Construction Industries Workers
The extant study on job stress indicates that the study of job stress has beem limited to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job Burnout. Thus, this study is added to the previous studies in the area of job stress including the concept of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support as moderating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led to show how stressors affect on job stress, job burnout factors.
First of 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tressors, except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in relation to the hypothesis of stressors on job stress. Secondly, job stress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job burnout, and job stress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firstly, role conflict, rple ambiguity, role overload, safety, and job insecurity influence job stress. Employees have perceived the high level of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role overload, job insecurity, and low level of safety, then their job stress level also has increased. Thus, managers try to decrease role conflict.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n the Effect of Construction
Alternative Author(s)
Kim Saeng su
Affiliatio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strati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stration, Chosun University
Department
경영대학원 경영학석사학위과정
Advisor
윤종록
Awarded Date
2012-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Ⅰ. 서 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3 논문의 구성 4

Ⅱ. 이론적 고찰 6
2.1 건설업의 특성 6
2.2 건설업 근로자의 특성 12
2.3 건설업 직무스트레스 18
2.3.1 스트레스의 개념 18
2.3.2 직무 스트레스의 개념 25
2.3.3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 30
2.4 직무 만족 35
2.4.1 직무만족의 개념 35
2.4.2 직무 만족의 영향요인 36
2.4.3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과의 관계 38
2.5 선행연구 40

Ⅲ. 연구 모형 및 가설의 설정 46
3.1 연구모형의 설계 46
3.2 가설의 설정 47
3.2.1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직무스트레스 47
3.2.2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직무만족 48
3.2.3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49
3.2.4 회사지원의 조절효과 50
Ⅳ. 연구방법 52
4.1 표본의 선정 및 특성 52
4.1.1 표본의 선정 및 자료수집 52
4.1.2 표본의 특성 52
4.2 변수의 조작적 정의 53
4.3 설문지 구성 및 측정 56
4.4 연구방법 57

Ⅴ. 실증분석 58
5.1 변수의 신뢰성 분석 및 타당성 분석 58
5.1.1 독립변수 요인 및 신뢰성 분석 59
5.1.2 내생변수 요인 및 신뢰성 분석 60
5.2 상관관계 분석 62
5.2.1 변수들의 상관관계 60
5.3 가설의 검증 63
5.3.1 가설 Ⅰ의 검증 63
5.3.2 가설 Ⅱ의 검증 64
5.3.3 가설 Ⅲ의 검증 65
5.3.4 가설 Ⅳ의 검증 66
5.3.5 가설 Ⅴ의 검증 70

Ⅵ. 결 론 78
6.1 연구 결과의 요약 78
6.2 연구의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80

참고문헌
설 문 지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Citation
김생수. (2012). 건설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48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3339
Appears in Collections:
Business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2-08-09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