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시각 정보의 청각 변환을 위한 시각장애인의 정보 선호도 분석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무섭 정치윤1 문경덕 박윤경 박종미 이준우
Issued Date
2020
Keyword
Sensory substitution visual-to-auditory neural plasticity blindness preference information
Abstract
감각 치환 기술은 뇌 가소성에 기반하여 손상되거나 저하된 감각의 정보를 다른 형태의 감각으로 전환하여 전달함으로써 감각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감각 치환 기술 중 가장 대표적인 시각-청각 변환기술을 묵시적 방법과 명시적 방법으로 구분하여 기술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166명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시각-청각 변환기술을 통하여 전달받기 원하는 시각 정보들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기존 기술 분석 및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기존 기술은 주로 모양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지만, 실제 시각장애인들은 보행을 위한 거리 및 공간 정보를 요구하여 현재 기술과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감각 치환 장치들이 향후 실생활에 사용되기 위해 극복하여야 할 여러 가지 기술적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Sensory substitution generally refers to converting or transmitting information from damaged or deteriorated sense to other types of sensory modality based on brain plasticity. In this paper, we review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visual-to-auditory sensory substitution that could be classified into implicit and explicit method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preference for visual information that the visually impaired want to receiv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at was conducted with 166 visually impaired participants. We can conclude from the analysis tha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functional feature of the conventional methods and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will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research to solve technical issues that need to be overcome for sensory substitution devices to be used in real life in the future.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