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한일한자음의 수용양상에 관한 연구 : 臻攝韻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최지수
Issued Date
2019
Keyword
수용양상 음운체계 한국한자음 일본한자음 중국한자 진섭 Reception Pattern Phonological System Sino-Korean Sino-Japanese Chinese characters Group Zhen(臻)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고대 중국어의 발음에서 비롯한 한자 발음이 한국과 일본에서 각각 어떠한 방법으로 수용되었는지, 臻攝韻에 한해서 한일한자음의 수용양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臻攝韻 각 운 전체의 분운표를 분석하여 한․중․일 상용한자 한자음의 대응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 중세한자음과 현대한자음 -ïn형은 현대 중국한자음에서는 -en형, -in형, -i형으로 대응되며, 일본 상용한자음에서는 -on/t형, -in형으로 대응된다. 2. 한국 중세한자음 -ɐn형과 현대한자음 -an형은 현대 중국한자음에서는 -en형, -o형으로, 일본 상용한자음에서는 -on/t형으로 대응된다. 3. 한국 중세한자음과 현대한자음 -on/l형은 현대 중국한자음에서는 -un형, -u형, -ui형, -o형, -en형으로, 일본 상용한자음에서는 -on/t형, -un/t형으로 대응된다. 4. 한국 중세한자음과 현대한자음 -un/l형은 현대 중국한자음에서는 -un형, -u형, -en형으로, 일본 상용한자음에서는 -on/t형, -un/t형, -jun/t형으로 대응된다. 5. 한국 중세한자음과 현대한자음 -ən/l형은 현대 중국한자음에서는 -u형, -i형, -in형으로, 일본 상용한자음에서는 -ot형, -in형으로 대응된다. 6. 한국 중세한자음과 현대한자음 -jən/l형은 현대 중국한자음에서는 -in형, -ing형으로, 일본 상용한자음에서는 -ei형으로 대응된다. 7. 한국 중세한자음과 현대한자음 -in/l형은 현대 중국한자음에서는 -in형, -i형, -en형으로, 일본 상용한자음에서는 -in/t형으로 대응된다. 8. 한국 중세한자음과 현대한자음 -wəl형은 현대 중국한자음에서는 -ue형으로 대응된다. 9. 한국 중세한자음과 현대한자음 -jun/l형은 현대 중국한자음에서는 -i형, -un형, -u형, -ü형, -en형으로, 일본 상용한자음에서는 -in/t형으로 대응된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Chinese pronunciation, including pronunciation of the same ancient Chinese language, was accepted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and the acceptance patterns of one consonant only Based on Group Zhen(臻) Analyzing the distribution tables of each rhyme and summariz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two commercial characters of Korea, China and Japan, as follows. 1. Sino-Korean -ïn type is -en type, -in type and -i type in Chinese consonants. In the Sino-Japanese, the -on type and -in type are matched. 2. Sino-Korean -ɐn type is -en type in Chinese consonants and -on/t In Sino-Japanese. 3. Sino-Korean -on/l are -un, -u, -ui and -o -en in Chinese consonants, and -on/t and -un In Sino-Japanesein. 4. Sino-Korean -un/l are -un type. -u type and -en type in Chinese consonants, and -on/t, -un/t and Jun/t type in Sino-Japanesein. 5. Sino-Korean -ən/l are -u, -i and -in in Chinese consonants, and -ot and -in in Sino-Japanesein. 6. Sino-Korean -Jən/l type is –in type in Chinese consonants and -ing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and -ii type in Sino-Japanesein. 7. Sino-Korean -in/l are -in, -i and -en in Chinese consonants and -in/t in Sino-Japanesein. 8. Sino-Korean -wəl type is -ue type in Chinese consonants. 9. Sino-Korean -jun/l are -i type, -un type, -u type, -ü type and -en type in Chinese consonants and -in/t type in Sino-Japanesein.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Reception Pattern of Sino-Korean and Sino-Japanese : Based on Group Zhen(臻)
Alternative Author(s)
Choi, Ji-soo
Publisher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Type
Research Laboratory
ISSN
1598-9259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9481
https://www.chosun.ac.kr/user/indexSub.do?codyMenuSeq=941802194&siteId=ih
Appears in Collections:
2019 > No 58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