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괴테문학의 치유의 모멘트

Metadata Downloads
Author(s)
최승수
Issued Date
2019
Keyword
고뇌 성찰 예술 체념 치유 suffering reflection art renunciation healing
Abstract
최근 인문학 연구는 사회와의 소통을 위한 다양한 시도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한편 문명에 압도되고 가치가 표류하는 시대에 휴머니즘에 근거하는 가치를 지켜내려는 노력이며, 다른 한편 왜곡되고 손상된 존재를 치유하기 위한 시도이다. 삶의 근원적 고뇌는 이성적 존재인 인간이 부조리하고 비이성적인 세계에 내던져짐으로 해서 야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삶의 유한함에 절망하고, 실존적 불안에서 안식에 이르지 못하는, 나아가 사회적 존재로서 인정받아야 한다는 강박 등 고뇌의 계기들은 또한 부조리하고 납득할 수 없는 운명에 의한 불행으로 이어져 우리를 더욱 절망하게 한다. 이러한 고뇌를 이겨내기 위한 출발점을 괴테문학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괴테에게 고뇌란 존재의 기본조건이다. 따라서 ‘나는 고뇌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는 명제가 성립한다. 고뇌란 우리가 피할 수 없는 삶의 조건이기에 고뇌에 대한 성찰 또한 필수적이다. 이별이란 트라우마는 이별은 피할 수 없다는 사랑의 법칙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이별보다 더한 사랑의 가치를 놓치지 않으려는 태도로 극복가능하다. 안식에 들 수 없는 불안한 존재인 우리의 숙명적 고뇌는 이를 성찰하는 또 다른 능력으로 보상된다. 삶의 유한성은 예술을 통해 시간성, 덧없음을 극복한다. 사회적 존재에게 필요한 체념은 강요에 의한 자아상실이나 자기희생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체념을 통해서만이 우리는 사회적 존재로 거듭날 수 있으며 나아가 부조리한 운명과 화해할 수 있다. 이러한 괴테의 메시지는 우리가 지혜로운 존재로 나아가는 첫걸음을 내딛게 한다.
In our age when man is overwhelmed by civilization and the essential values of our lives ​​have become disoriented, literature, along with the other arts, is trying to heal our damaged sick soul. The original suffering in our lives arises from the fact that rational man is thrown into the absurd, irrational world. Finiteness, the existential restlessness, the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the misfortune caused by fate, all these things make us despair.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amine whether we can find healing moments in Goethe’s works to overcome or reconcile such suffering. Suffering is, according to Goethe, an existential condition in our lives. Therefore, from this situation comes the principle, “I am suffering, therefore I am.” Man cannot escape suffering. But for man, the capacity for reflection is inherent. The suffering of separation could be a trauma to the lover, however the moments of traumatic petrification do not suggest that they should be banished from our imperfect existence, from the deficiency of life, but it allows the experience of happiness within the tragic dimensions. The pleasure of being can be stronger than the burden of existence. Suffering, never coming to rest, is balanced by the power of human metaphysical reflection. In this case, man only gains his value for the price of suffering In Geothe’s poem “Gingo Biloba” the ginkgo leaf from the East is seen as a symbol of love, the growth and decay of nature, and the love is relieved only from the moment it has turned into the written piece of art. Then love in art could last forever, which in reality is unfulfilled. The healing moment of renunciation is neither a coercive element nor self-sacrifice. Rather, the voluntary renunciation allows us to act as socially-recognized fellow human. That's the paradox of renunciation. Man may suffer from the blow of fate that unexpectedly assails us; however, we cannot escape from it at all. Goethe also demands a renouncing attitude, or to be more precise, the unconditional submission to the fate and will of God. Because we cannot find an alternative faced with the blow of fate, we should accept that. Only in this way do we learn humility and gratitude, and always do we gain balance. When we finally learn such healing moments from Goethe, we can take our first steps towards becoming a person of wisdom.
Alternative Title
Healing moments in Goethe’s works
Alternative Author(s)
Choi, Seung-soo
Publisher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Type
Research Laboratory
ISSN
1598-9259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9480
https://www.chosun.ac.kr/user/indexSub.do?codyMenuSeq=941802194&siteId=ih
Appears in Collections:
2019 > No 58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