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거주지역적 특성이 미얀마 종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 여카잉 무슬림과 꺼잉족 사례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인아
Issued Date
2018
Keyword
미얀마 버마 여카잉 무슬림 꺼잉 종족분쟁 Myanmar Burma Rakhine Arakan Muslim Kayin Ethnic Comflict
Abstract
공식적으로 135개의 다종족으로 구성된 미얀마는 그 지리적 환경 또한 산지와 평원, 델타로 다양한 구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종족의 거주 지역적 특징은 그 종족의 생활양식을 결정하고 나아가 종족사회 운명의 변화 방향에도 영향을 미친다. 미얀마 여카잉 지역의 경우 서부 여카잉 지역에서 인도의 북동부에 위치한 아쌈 지역에 이르는 거대하고 험준한 습곡 산맥이 미얀마 중앙평원지역으로부터 여카잉 지역을 차단하고 있으며, 오히려 여카잉은 서쪽에 위치한 인도의 벵갈지역으로 개방되어 있었던 공간적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서쪽 지역으로부터 이슬람 문화와 무슬림 인구의 이동이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인도 지역과의 잦은 접촉과 상호 관계맺음으로 인해 여카잉은 동부 미얀마와는 달리 상당 수준 인도화된 모습을 띠었다. 한편 기독교도 소수집단으로 알려져 있는 꺼잉족은 여카잉 지역의 무슬림 집단처럼 밀집된 공동체를 형성하지 못하고 다양한 지역에 산재해 거주했다. 이러한 거주지역의 취약성 때문에 자신들의 정치적 세력을 형성함에 있어서 그 기반이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약점을 지녔다. 따라서 전통시대 내내 버마족의 압제에 무기력하게 고통 받아야 했다. 이들이 기독교도 집단으로 부상하게 된 것은 바로 이러한 거주지역적 취약성으로 인한 종족집단 규합의 필연적 느슨함을 강화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기독교를 적극 수용한데 있다. 거주공간적 특성으로 인해 미얀마 지역 내로 오랜 기간 동안 점진적으로 유입해온 여카잉의 무슬림과 집단의 생존을 위해 기독교를 수용해 규합해온 꺼잉족의 버마족과의 사회적 관계맺음과 역사적 전개 양상을 버마족 중심주의적 입장에 서서 종교적 차원으로만 접근해 바라볼 간단한 문제는 아닌 것이다. 거주공간적 특성에 따라 종족 문화의 다양화가 일어나고 여기에 따라 집단의 운명이 제각각 달리 전개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미얀마의 종족집단간 갈등 문제는 기존의 시각에서 탈피하여 새롭게 재고해볼 문제일 것이다.
Southeastern Asian tribes’ distribution on the continent is related to the geography and proximity, especially. To reiterate, geographic location of residency determines the lifestyle and moreover defines the identities of ethnic groups and developments. In case of Kayin region of Myanmar, because mountains located in Asam region of northeast of India divides the west and east of Myanmar, Rakhine located in the east was more open to the Bengal region of India than prairie region of middle eastern Myanmar. Therefore the Rakhines were influenced by the muslims from India, and the lifestyle became alike in conjunction to the Burman living in the middle prairie region of Myanmar. Kayin people were known to be Christians living in mountains but in reality their regions varied. They were discovered in all kinds of regions including mountains, prairies, delta and etc. To reiterate there was no central region that had the most Kayin population. During the process of declaring independence of Myanmar, Kayin demanded designated territories on the eastern mountains bordering Ayeyarwaddy delta and Thailand, but the reason for dismissal was that they had no sufficient populated regions to compete with the surrounding tribes. This characteristic of Kayin hindered their future prospects of its identity apart from surrounding ethnic groups destiny into hands. If not for the fact that tribal culture and social aspects are greatly influenced by geography, Rakhine muslims and Kayin people have developed into established identities or maintain themselves. The clear tribal differences later developed into conflicts with the Burman To reiterate, geographic location of the ethnic groups influenced the relation ship between ethnic groups.
Alternative Title
Influence of geographic location of residency in Myanmar ethnic group : Emphasis on Rakhine muslims and Kayin people
Alternative Author(s)
Kim, In-a
Publisher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Type
Research Laboratory
ISSN
1598-9259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9445
https://www.chosun.ac.kr/user/indexSub.do?codyMenuSeq=941802194&siteId=ih
Appears in Collections:
2018 > No 55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