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허구적 리얼리즘의 경계미학 : 마법사 에 비추어 본 에보니 타워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백혜진
Issued Date
2018
Keyword
마법사 에보니 타워 경계미학 허구적 리얼리즘 중세적 낭만 열린 결말 The Magus Ebony Tower boundary aesthetics fictional realism medieval romance open ending
Abstract
존 파울즈의 소설들은 미스테리와 자기인식의 주제를 강조하는 독특한 픽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의 첫 번째 소설 『마법사』에서 주인공은 환상적인 유희를 통해 자기인식에 도달한다. 한편 단편소설집 『에보니 타워』는 이 주제뿐만 아니라 주인공이 허구와 실재사이에 서게 되는 경계적 상황과 그것에 기초한 허구적 리얼리즘 서술기법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이 소설을 계승하고 있다. 즉 일상적인 사실이 허구성과 만나게 되는 경계지점에서 적절한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허구와 실재가 전복될 때 신비로움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을 경계미학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작가가 자신의 메시지를 강요하지 않음으로써 리얼리티를 좀 더 온전하게 드러낼 수 있는 서술기법으로서 허구적 리얼리즘이 등장한다. 이 논문은 『마법사』에서 사용된 허구적 리얼리즘을 고찰하고, 『에보니 타워』의 각 작품들에서 그것이 어떻게 변주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그 결과 『마법사』에서 시작된 서술기법이 중편소설 「에보니 타워」와 번역물 「엘리뒤크」에서는 중세적 낭만요소를 강화하고, 3편의 단편소설들인 「불쌍한 코코」, 「수수께끼」, 「구름」에서는 열린 결말의 효과를 초래함이 드러난다. 이 이야기들은 그동안 국내에서 많이 연구되지는 않았으나, 함축된 경계미학과 허구적 리얼리즘을 보인다는 점에서 연구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John Fowles’s novels have unique fiction structures emphasizing mysteries and the theme of self-knowledge. In his first book The Magus, the hero achieves the self-knowledge through a fantastic game. Meanwhile, his collection of stories The Ebony Tower follows this novel in pursuing the boundary situation where the heroes stand between fiction and reality. The fiction technique rightly called the fictional realism based on it besides the theme of the novel. That is, an acknowledged fact and its fabrication are reversed without keeping their proper balance on the boundary area they come to meet, producing mystique, which is defined as the boundary aesthetics. Also, during the process, the fictional realism occurs as a narrative technique by which a writer does not force his or her message, revealing reality more decently. This paper observes the fictional realism used in The Magus and discusses how it forms variations in all the works of The Ebony Tower concretely. Through this analysis, it is found out that the narrative technique from The Magus strengthens the medieval romantic factors in the novelette “The Ebony Tower” and a translated work “Eliduc,” and causes the effect of open ending in the three short stories such as “Poor Coco,” “The Enigma,” and “The Cloud.” These stories deserve to be studied in showing the implied boundary aesthetics and the fictional realism even though not covered too much up to now.
Alternative Title
The Boundary Aesthetics of Fictional Realism : Interpreting The Ebony Tower in the Light of The Magus
Alternative Author(s)
Baek, Hye-jin
Publisher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Type
Research Laboratory
ISSN
1598-9259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9444
https://www.chosun.ac.kr/user/indexSub.do?codyMenuSeq=941802194&siteId=ih
Appears in Collections:
2018 > No 55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