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공동체 만들기의 정치 : 이념, 담론, 실천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경섭
Issued Date
2018
Keyword
공동체 마을공동체 만들기 중간 계급 정치 통치성 비정치성 자유 5월 항쟁 community building community middle class politics governmentality non- politics freedom may uprising in Gwangju
Abstract
한국 사회에서 공동체는 한편으로 진부하고 한편으로는 혁신적인 어떤 것이다. 공동체는 근대 이전의 마을에 대한 향수와 무관하지 않고 다른 삶의 형태에 대한 상상과 실천이기도 하다. 공동체 만들기는 복지, 안전, 소득 불평 등의 사회문제에 대한 만병통치약처럼 여겨진다. 공동체라는 개념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마을공동체 만들기 정책과 현장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이 글은 공동체의 정치를 탐색한다. 어떻게 공동체는 비정치화 되며, 어떤 실천과 언어들 속에서 그러한가? 무엇보다도 공동체는 담론과 실천 사이의 어긋남 속에 있다. 마을공동체만들기에서 공동체는 도시생활과 부합하지 않는 이상이자 일종의 상상의 지리다. 그리고 이러한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메우는 것이 바로 공동체를 설명하는 호혜성, 나눔, 연대, 소통 등의 언어들이다. 공동체의 비정치를 가능하게 하는 또 다른 조건은 공동체를 통한 주체화 과정에 있다. 공동체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있다. 공동체의 가치와 의미는 사회의 하층이나 상층에 속한 사람들에게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다. 공동체는 중간계급의 이데올로기 및 실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하지만 이들의 언어는 현실 속에서 모호하고 긍정적이며 가치중립적인 것으로 작동한다. 특히 공동체의 이상을 나타내는 ‘공유’라는 말의 용법은 매우 정치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규범적으로 사용된다. 공동체의 보수성을 경계하면서 공동체를 둘러싼 담론, 공동체만들기 실천에 대한 성찰을 통해 정치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동체의 정치화에서 핵심 문제는 공동체와 자유의 딜레마이다. 공동체와 자유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공동체의 정치의 출발점이다. 그 출발점을 가리키는 것은 바로 1980년 오월 광주의 어떤 공동체다.
In South Korea, on the one hand the idea of community is cliche and on the other hand something innovative. The community is not concerned with the nostalgia for the pre-modern village, also the imagination and practice of other forms of life. Building Community looks like a miracle medicine for social problems as welfare, health care, security and income inequality etc. This article explores the politics of the community through reflection on policy and the field that the concept of community is most often used. How does the community become non-political, and in what practices and languages? Above all, the community is in a discrepancy between discourse and practice. In building community, the community is an ideal that is incompatible with urban life and is a geography of imagination. And it is the languages ​​such as reciprocity, sharing, solidarity, and communication that explain the community that bridge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Another condition that enables the non- politicization of the community is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through the community. There are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the community and those who are not. The commun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language and practice of the middle class. Their language, however, works in reality as ambiguous, positive, and value-neutral. Especially, the usage of the word 'sharing' which expresses the ideal of the community is used normatively even though it is very political. It should be politicized through the reflection on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community and the practice of community building while guarding the conservativeness of the community. The key issue in the politicization of these communities is the dilemma of community and freedom. Considering community and freedom together is the starting point of community politics. Pointing to its starting point is Gwangju in May 1980.
Alternative Title
The politics of building community:ideas, discourses, and practices
Alternative Author(s)
Park, Kyung-seop
Publisher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Type
Research Laboratory
ISSN
1598-9259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9434
https://www.chosun.ac.kr/user/indexSub.do?codyMenuSeq=941802194&siteId=ih
Appears in Collections:
2018 > No 55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