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무젤만과 증언의 윤리 : 아감벤의 오리엔탈리즘

Metadata Downloads
Author(s)
임경규
Issued Date
2017
Keyword
조르조 아감벤 윤리 무젤만 증언 오리엔탈리즘 Giorgio Agamben ethics witness Muselmann Orientalism
Abstract
본 논문은 조르조 아감벤의 증언의 윤리에 관한 이론을 소위 무젤만과의 관계를 통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젤만은 나치 수용소에서 삶을 포기한 수감자들을 지칭하던 은어로서 생중사의 존재 혹은 걸어 다니는 시체를 의미한다.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에서 아감벤은 전통적인 인본주의적 윤리학은 증언의 올바른 위치를 정립할 수 없으며 따라서 무젤만을 인간의 영역에서 배제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는 인간과 비인간, 정치적 삶과 벌거벗은 생명, 유대인과 무젤만이라는 전통적인 이항대립의 관계를 허물고 무젤만을 비인간의 영역에서 구원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의 영토를 탐색하고자 시도한다. 하지만 새로운 윤리학을 정립하려는 그의 시도는 비윤리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 요소는 그의 이론 속에서 하나의 공백 혹은 누락으로서 표출되는데, 그 중심에 무젤만이 존재한다. 아감벤은 언어 사용에 있어 민감하며 절대적인 세심함을 기울이는 철학자임에도 불구하고, 그래서 거의 모든 핵심적인 단어에 대하여 라틴과 그리스어 어원을 제공하며 인간 사유의 원형을 탐색하려고 시도했던 철학자였음에도 불구하고, 무젤만이라는 말에 대해서는 어떤 어원적 설명이나 역사적 배경에 대해 탐색하지 않는다. 무젤만이 분명 자신만의 구체적인 역사와 지리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말이라는 사실을 애써 망각한 듯하다. 본 논문은 바로 이런 누락 혹은 공백을 하나의 징후로 파악하고 이를 통해 그의 이론이 가지고 있는 오리엔탈리즘적인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at critically reviewing Giorgio Agamben’s theorization of witness and ethics and his characterization of so-called Muselmann or ‘walking dead’ in Nazi camp. In his book Remnants of Auschwitz, Agamben argues that almost all the ethical principles of the traditional philosophy have proved to be inappropriate to locate the proper place of testimony in relation with Muselmann whom he isolates as a new ethical element in Auschwitz studies. And he attempts at mapping the new ethical territory by reestablishing testimony as an ethical act that puts into question the rigid binary opposition between human and inhuman, political life and bare life, Jews and Muselmann. However, this paper will argue that Agamben’s theorization of witness and Muselmann has an important omission. That is to say, Agamben does not dig deep into the origin or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word Muselmann although it is at the heart of his theory. In fact, he makes it a rule to provide etymological explanations for every important word in his books. In Remnants of Auschwitz, for example, he begins with Latin origin of the word testimony. As for Muselmann, however, he does not do so. Here, I will read this important omission symptomatically and argue that he is trapped in Eurocentrism and Orientalism.
Alternative Title
Muselman and the Ethics of Witness : Agamben’s Orientalism
Alternative Author(s)
Im, Kyeong-kyu
Publisher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Type
Research Laboratory
ISSN
1598-9259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9427
https://www.chosun.ac.kr/user/indexSub.do?codyMenuSeq=941802194&siteId=ih
Appears in Collections:
2017 > No 54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