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 과정과 방법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노시훈
Issued Date
2017
Keyword
지역문화자원 문화콘텐츠 광주광역시 마한 광주신창동유적 regional cultural resources cultural contents Gwangju Mahan confederacy Gwangju Sinchangdong Sites
Abstract
오늘날 문화콘텐츠를 지역 발전에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 지방자치제가 다시 시작된 1995년부터이기 때문에 짧은 역사로 인한 방법론의 부재가 그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의 과정과 그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는데, 그 단계는 크게 네 개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지역문화자원을 조사하고 종류별로 분류한 뒤 이들 가운데 특히 풍부하게 나타나는 자원 종류가 있는지를 파악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지역문화자원이 문화콘텐츠로 활용된 사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콘텐츠화하기 적절한 대상 자원을 선정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콘텐츠로 활용할 때 유의해야할 대상 자원의 특성을 파악하여 콘텐츠화 과정에서 이 특성이 콘텐츠에 반영되도록 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유사 콘텐츠화 사례를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벤치마킹한 뒤 최종적으로 콘텐츠화 방향을 결정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광주광역시 지역문화자원의 문화콘텐츠화에 대해 고찰해보면 우선 광주의 자원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선사농경문화자원처럼 풍부하고 특색 있는 자원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그것을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 개발이 매우 빈약하고 개발된 경우에도 5․18광주민주화운동자원과 같은 특정 소재와 영화와 같은 콘텐츠에 치우쳐있으므로 광주의 마한문화(선사농경문화자원)와 같이 콘텐츠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신선한 소재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광주의 마한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광주신창동유적의 특성은 그 유물․유적이 우리나라 최고․최초의 것인 데다 그 수도 많아 세부 소재 개발 가능성이 매우 크며, 활발한 국제 교류가 있었음을 알려주는 중국․낙랑․왜와 관련된 유물이 많아 콘텐츠의 공간적 배경을 넓혀 흥미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유사 콘텐츠화 사례인 프랑스 만화 (1961-2013) 등을 분석해보면 선사문화자원이 여러 콘텐츠에 활용하기에 효과적인 소재임을 알 수 있으므로 광주의 마한문화를 만화로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디지털콘텐츠와, 테마파크와 같은 오프라인 콘텐츠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Alternative Title
The Process and Method of Creating Cultural Contentswith Regional Cultural Resources : the Case of Gwangju
Alternative Author(s)
Noh, Shi-hun
Publisher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Type
Research Laboratory
ISSN
1598-9259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9413
https://www.chosun.ac.kr/user/indexSub.do?codyMenuSeq=941802194&siteId=ih
Appears in Collections:
2017 > No 53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