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자기’의 끊임없는 생성, 유희 : 쉴러의 유희 개념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전혜림
Issued Date
2017
Keyword
쉴러 유희 미적 가상 미적 중지 루소 미적 국가 Schiller Play Rousseau aesthetic suspension aesthetic appearance
Abstract
본고는 랑시에르의 미학 논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쉴러의 ‘유희’ 개념을 쉴러의 대표 저작인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편지』를 중심으로 면밀하게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칸트와 쉴러로 대표되는 근대미학의 핵심 개념인 ‘유희’는 일종의 ‘거리두기’이며, 의지와 성향의 중지(거리두기)인 쉴러의 유희는 총체적 인간이 되기 위한 필연적인 조건이다. 랑시에르가 미적 실천을 통해 기존의 감각적인 질서와 단절함으로써 자기 해방의 가능성을 타진하듯이, 쉴러는 미적 실천으로서의 유희를 통해 새로운 집단적 삶의 방식을 구성하고자 했다. 새로운 공동체의 건설에 있어서 국가 제도에 의한 변화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주장하며 예술의 정치적 잠재력을 역설한 쉴러는 ‘미적 교육’에 의한 개인의 해방과 새로운 인간성의 형성을, 궁극적으로는 세계의 변화를 꿈꾸었다. 미적 교육론에 있어서 쉴러의 근본적인 문제의식은 국가의 개혁은 제도에 의한 변혁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개인의 감성을 변화시키지 않고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미적 교육을 통한 감각의 총체적 혁명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새로운 정치 질서 수립을 위한 혁명들을 완수하기 위해선 감각적 공동체가 조건으로 작동해야 한다는 랑시에르의 주장과도 공명한다.
This thesis aims at scrutinizing Schiller’s concept of ‘Play’, which Ranciére regards importantly in his aesthetics theory, focusing on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Play, the core concept of modern aesthetics represented by Kant and Schiller, is a sort of self-alienation. Especially, Schiller’s play, the suspension of both will and inclination, is the necessary condition for totality of man’s being. As Ranciére pursues the possibility of emancipation by breaking up with the established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through aesthetic practices, Schiller hoped to construct new way of collective life through play. Schiller argues that the change of institution has its limit in constructing new communities, so we needs to develop political potentialities of art. Therefore Schiller dreams emancipation of each individual and building new humanity, ultimately the change of the world, through aesthetics education of man. In sum, Schiller thinks the social reform by institution is not enough that we should change each person’s sensibility. That is to say, the revolution in sensibility has to take precedence over political revolution, and which resonate with Ranciére’s argument that sensuous community should come ahead in order to complete revolutions for new political order. However, Schiller emphasizes the aesthetic practices are mediated, and which is the difference from Ranciére.
Alternative Title
The Endless Formation of Self, Play : A Study on Schiller’s Concept of Play
Alternative Author(s)
Jeon, Hye-rim
Publisher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Type
Research Laboratory
ISSN
1598-9259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9409
https://www.chosun.ac.kr/user/indexSub.do?codyMenuSeq=941802194&siteId=ih
Appears in Collections:
2017 > No 53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