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전시체제기 유림 잡지 소재 한시의 성격과 그 실상 : 조선유도연합회의 유도 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한길로
Issued Date
2017
Keyword
전시체제기 조선유도연합회 유도 친일 한시 친일 문학 Wartime Period Joseon Federation of Confucianism Confucian Ethic(儒道) Pro-Japanese Chinese Poem Pro-Japanese Literature
Abstract
일제 말 대표적인 친일 유림단체 조선유도연합회(1939∼1945)의 기관지인 『유도(儒道)』 는 일제강점기 유림(계) 최후의 ‘잡지’라는 점에서, 그리고 일제 협력의 면모를 가장 적극적이고 노골적으로 노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요하는 잡지라 할 수 있다. 『유도』는 1939년 조선유도연합회 창립 이후, 1942년 4월 창간호를 시작으로 7호까지(1944년 11월) 발간되었고 대다수는 일어(순한문 포함)로 작성되었다. 먼저 당시 조선에서 일어를 이해하는 조선인이 겨우 16%에 불과했으며 국민의 7할 이상이 농민층에 속해있었다는 사실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결국 이 잡지는 총독부가 ‘식자(識字)층’이자 ‘농촌 지도인사’인 유림의 역할에 대단히 주목하며 그들의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성격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이 시기의 문학은 일종의 절대 권력을 소유한 ‘주문자(총독부)’의 강력한 ‘요청’에 따라 그들의 요구를 ‘작자’가 충실히 반영하여 ‘생산’하는 구조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유도』 역시 매우 충실히 보여주고 있는데, 이들의 한시는 내용적인 밀도나 미학적 가치를 사실상 배제하고 파시즘 체제에 ‘헌신’해야 한다는 당위를 앞세우고 있었다. 또 전시 파시즘의 내용과 한시라는 ‘형식의 결합’에 더욱 치중하며 그들의 프로파간다를 압축적으로 전달하는데 주력했다. 나아가 기존의 전통을 전복시켜 일본식 황도유학을 유교의 ‘전범’으로 삼는 시의(詩意)를 강하게 노출하고 있었고 전쟁을 독려하고 찬양하는 등, 반(反)전쟁적인 전통을 갖고 있던 것과도 역행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잡지에 수록된 ‘한시’들은 일제 말 ‘총동원’이라는 상황을 매우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일제 말 전쟁파시즘과 결합하여 기존의 유학 그리고 한학 전통이 어떻게 변형되고 굴절되며 전복되는지를 매우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n the late Japanese Empire, 『Confucian ethic(儒道)』 as an organ of “Joseon Federation of Confucianism(1939∼1945)”, a representative pro- Japanese Confucian group, requires an attention in terms of the last ‘Journal’ that Confucians(community) left in the Japanese Empire and the Journal that it exposes the aspect of cooperation with the Japanese most aggressively and plainly. After Joseon Federation of Confucianism was established in 1939, 『Confucian ethic(儒道)』 had been published from its first issue in April, 1942 to seventh issue(November, 1944) and most of them were written in Japanese(including Pure-Chinese(漢子)).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re were only 16% of Koreans(People of Joseon) who could understand Japanese in Joseon and more than 70% of people belonged to farmers. In short, authorities highly noticed a role of Confucians as the literate stratum and the figure of Agricultural Extension and systemized Confucians in order to derive their active cooperation. This Journal is the fruit of the process. Literature of this period can be said a structure that a ‘producer(writer)’ reflects and ‘produces’ their demand according to a strong ‘request’ from an ‘orderer (government general) ‘ who has a kind of supreme power. 『Confucian ethic』 also shows this historical background thoroughly and their ‘Sino-Korean Poetry’ clearly gives the ambience of the time as well. It uses appropriateness that it should dedicate to Fascism excluding the density in the content or the aesthetic value, and it compressively imparts their propaganda concentrating more on the combination with a form of ‘Sino-Korean Poetry’. Furthermore it makes Anti-Confucianism Tradition which considers Japanese Imperial Confucianism as a criminal of Confucianism subverting the current tradition and it shows its retrogression towards a tradition of Sino- Korean Poetry encouraging and praising a war. In conclusion, ‘Sino-Korean Poetry’ in this journal includes the circumstance and the content of the Total Mobilizatio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frankly and well reflects how the current Confucianism and the tradition of Chinese studies have been transformed, distorted and subverted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combining with Fascism of War.
Alternative Title
The Character and the State of Sino-Korean Poetry in Confucians’ Journals During the Wartime Period : in Confucian ethic(儒道) of Joseon Federation of Confucianism
Alternative Author(s)
Han, Gil-ro
Publisher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Type
Research Laboratory
ISSN
1598-9259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9404
https://www.chosun.ac.kr/user/indexSub.do?codyMenuSeq=941802194&siteId=ih
Appears in Collections:
2017 > No 53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