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EFL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Feedback and Autonomy- Supportive Teaching: A Contrasting Personality Type Comparison

Metadata Downloads
Author(s)
로닌 루벤
Issued Date
2024
Abstract
EFL 대학생들의 피드백과 자율성 지원 교육에 대한 인식: 대조적인 성격 유형 비교 Reuven Ronin Advisor: Kyung Ja Kim, Ph.D.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피드백은 필수적인 도구로 학습 기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업 성취나 미래의 취업을 위해 외국어로 연설 및 프레젠테이션 기술을 학습해야 한다는 압박이 증가하는 환경에서 적절한 피드백은 학습자의 동기를 강화하며 개인적 성장과 성공에 기여할 수도 있고, 대중 연설 기술 숙달에 심각한 지장을 줄 가능성도 있다. 본 연구는 대학 EFL 연설과 발표(speech and presentation) 강좌에서 자율성 지원 수업(autonomy- supportive instruction)에 대한 대조적 성격 유형(내향적 vs. 외향적) 간의 인식 차이, 다양한(언어적 및 비언어적) 형태의 피드백과 칭찬에 대한 선호(preferences) 및 수용(acceptance) 등의 요소들이 개인 성과(individual performance)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자료 수집은 국내 한 대학에서 EFL 연설과 발표(speech and presentation) 수업 5 개 분반에 등록한 총 115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사용된 도구는 사전 설문조사, 종강 후 설문조사 및 인터뷰였다. 설문조사는 개방형 질문, 폐쇄형 질문, 객관식 질문,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를 포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양적 자료는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인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고, t-검정을 통해 내향형 집단과 외향형 집단의 피드백, 자율성 지원 수업, 개인 성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질적 자료인 개방형 응답과 면담자료는 내용 분석을 하였으며, 삼각측량법(methodological triangulation)을 활용하여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사전 설문조사, 종강 후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한 질적·양적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피드백 및 칭찬의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신념, 교수자 및 실행된 수업방법에 대한 만족도, 수업 전반에 걸친 향상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었다. 그 결과는 내향형·외향형 학생들의 태도와 신념, 미래를 위한 대중 연설 기술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대한 몇 가지 핵심 요소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주요 결과는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선택형 ESP 강의들 중 EFL 대중 연설 강의의 선택 가능성에 대한 욕구가 상대적으로 높음을 나타내었다. 영어 대중 연설 기술의 학습과 개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사전 분석한 결과, 선택 과목인 연설과 발표 강좌를 수강한 학생들의 54% 이상이 현재 직업, 잠재적 미래 직업과의 관련성 또는 xviii 개인적 발전을 위해 해당 과목을 수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강 후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에 따르면 내향형 참여자의 80%와 외향형 참여자의 85%가 본인의 장래를 위해 강의 내용이 가치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에 동의(내향형 참여자 54.7%, 외향형 참여자 42.5%) 하거나 매우 동의(내향형 참여자 25.3%, 외향형 참여자 42.5%)한 것으로 나타났고, 두 성격 유형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t=.417, p=.677). 또한 종강 후 설문조사 및 인터뷰에서 명시된 의견을 보여주는 질적 결과는 내향형 집단(n=75)과 외향형 집단(n=40)에서 모두 학생들이 장래를 위한 영어 대중 연설 능력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내향형 M = 4.0 vs. 외향형 M = 4.3)을 나타냄으로써 영어 연설과 발표 기술을 학습하는 데에 높은 효용가치(utility value)를 보이는 점을 부각시켰다. 두 번째 주요 결과로는 수업 전반에 걸쳐 교수자(내향형 참여자 89.3%와 외향형 참여자 97.5%가 매우 동의함)와 강의(내향형 참여자 86.7%와 외향형 참여자 95.0%가 매우 동의함)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에서 수업의 교수자는 피드백의 주체이자 원천이기 때문에 교수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피드백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 결과로 피드백 및 수업의 수용에 있어 교수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중요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향형(89.3%)과 외향형(97.5%)의 성격유형에 관계없이 (t=.116, p=.908) 절대다수의 학생들이 교수자가 학생들을 배려하고 존중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분명한 확신은 교수자의 교과수업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내향형 참여자 85.7%, 외향형 참여자 95%)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효과적인 수업 전달 능력에 대해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t=.232, p=.817). 학생들의 질적 반응은 양적 결과에 대한 태도와 신념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개방형 응답에서 학생들은 자율성을 촉진하고 동기를 촉진하며 지식의 습득을 가능하게 하고 과정 전반에 걸쳐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자율성 지원 수업과 자기결정이론(Self- Determination Theory)의 활용에 대해 명백한 지지를 보였다. 피드백에 대한 인식은 리커트 척도 문항을 통해 교수의 피드백이 학생들의 언어발달에 도움이 되는지, 피드백의 직접적인 결과로서 대중 연설 능력이 향상되는지, 피드백이 학생들의 대중연설 및 발표 능력을 향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동기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기초하여 탐색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성격유형에 관계없이(t=.373, p=.710) 대다수의 학생들(115 명 중 107 명)은 교수의 피드백이 언어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번째로, 교수가 제공한 피드백이 대중 연설능력 향상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외향형 참여자들(매우 동의함 65%, 동의함 20%, 보통 15%)이 내향형 참여자들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내향형 참여자들의 응답(매우 동의함 30.7%, 동의함 33.3%, 보통 34.7%)은 상당히 균등하게 분산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t=.833, p=.407). 세 번째 항목에서는 학생들의 참여 증가를 유도하는 동기 향상의 성공여부를 탐색하였다. 이에 대해 내향형 참여자의 절반 이상(54.7%)과 외향형 참여자의 4 분의 3(75%)이 매우 동의하였으며, 나머지 학생들은 '동의' 또는 '보통' 이라고 응답하였다. 여기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t=.648, p=.519). 질적 자료에서 나타날 수 있는 차이점을 조사하기 위해 학생들의 태도와 신념을 검토하였으나, 개방형 질문에서 드러난 의견은 양적 분석 결과를 확인시켜 주었다. 이와 같이 참여자들은 교수자의 자율성 지원 교수법의 활용, 긍정적 피드백 및 칭찬의 빈번한 제공에 대해서, 반면 직접적인 교정적 피드백의 제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피드백 전달 방법에 대한 객관식 문항은 종강 후 설문 문항에서 제공되었다. 선행 연구와 유사하게,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서면 피드백(written feedback, 내향형 42.7%, 외향형 57.5%)과 긍정적인 언어적 피드백 및 칭찬(내향형 52%, 외향형 60%)에 대해 뚜렷한 선호도를 나타냈다. 반면, 교정적 피드백(corrective feedback)의 수용과 지각된 가치(perceived value)는 피드백이 포괄적이고 자발적이며 집단 전체에 제공될 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세 번째 연구 결과는 성격 유형에 관계없이 학생들이 영어 대중 연설 능력의 발달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족함을 보여주었다(내향형 85.3%, 외향형 87.5%가 동의하거나 매우 동의함). 외향형 학생들(M=4.3)이 종강 후 질적 응답에서 자신의 대중 연설 능력 발달에 대해 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t-검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t=.417, p=.677). 본 연구의 목표는 EFL 연설과 발표 수업, 피드백/칭찬 전달의 독특한 조합에 대하여 내향형 및 외향형 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MBTI 연구 및 이론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들과 유사하게, 성격 이분법에 의한 구분과 관계없이 동기 스펙트럼(motivation spectrum)에서 본질적으로 내적으로 동기 부여된 부문(the intrinsically motivated sector)에 가까운 개인이 숙달-접근 목표 지향성(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을 갖는 것으로 분류될 수 있는 일치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격적 특성과 변인들은 고립된 개체로 연구되는 경우가 많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과 교수자의 상호작용이 학생의 동기 향상 및 전반적인 수행에 훨씬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Alternative Title
EFL 대학생들의 피드백과 자율성 지원 교육에 대한 인식: 대조적인 성격 유형 비교
Alternative Author(s)
RONIN REUVE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영어교육학과
Advisor
김경자
Awarded Date
2024-02
Table Of Contents
CHAPTER 1 1
1.1. BACKGROUND 1
1.2. EMIS IN SOUTH KOREA 2
1.3. PUBLIC SPEAKING AND ELLS 4
1.4. STATEMENT OF PURPOSE 6
1.4.1. Significance of the Study 6
1.5. RESEARCH QUESTIONS 7
1.6. THE PARADIGM MODELS AND RESEARCH DESIGN 8
1.7. CHAPTER SUMMARY 11
CHAPTER 2 12
2.1 UTILITY VALUE - MOTIVATION, GOAL ORIENTATIONS, AND LEARNING OPPORTUNITY 12
2.1.1. Learning Opportunity: Intrinsic Motivation and Utility Value 12
2.1.2. Learning Opportunity: The Achievement Goal Theory 15
2.1.3. Section 2.1. Conclusion: Utility Value 23
2.2. FEEDBACK 24
2.2.1. Public Speaking Anxiety and Feedback 24
2.2.2. Teachers’ Expectations and Self-Fulfilling Prophecies 26
2.2.3. Feedback in Education 28
2.2.4. Student Learning and Feedback 29
2.2.5. The Focus of Feedback 32
2.2.6. The Feedback Process 38
2.2.7. Corrective Feedback 46
2.2.8. Positive Feedback 54
2.2.9. Elements of Nonverbal Feedback 55
2.2.10. The Next Step: Appropriate Feedback 82
2.2.11. Section 2.2 Conclusion: Feedback 84
2.3. PERSONALITY 86
2.3.1. Definition of Personality 86
2.3.2. Personality Types and Prior Research 87
2.3.3. Personality Prediction and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89
2.3.4. Introversion - Extraversion 93
2.3.5. Personality and the Classroom 101
2.3.6. Section 2.3 Conclusion: Personality 101
CHAPTER 3 103
3.1. PARTICIPANTS 103
3.2. STRUCTURE OF THE SPEECH AND PRESENTATION COURSES AND FEEDBACK METHODS 105
3.2.1. Overview of the Speech and Presentation Course 105
3.3. INSTRUMENT 115
3.3.1. Pre-Course Surveys 115
3.3.2. Post-Course Surveys 117
3.4. DATA ANALYSIS METHOD 118
3.4.1. Quantitative Data Analysis 118
3.4.2. Qualitative Data Analysis 118
CHAPTER 4 120
4.1. PRE-ANALYSIS 120
4.1.1. Perceptions about Learning Public Speaking Skills as an ESP 120
4.2. THE CURRENT STUDY 124
4.2.1. Research Question 1: Utility Value 124
4.2.2. Research Question 2: The Instructor and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 Acceptance of Feedback 134
4.2.3. Research Question 3: Development of Speech and Presentation Skills 151
CHAPTER 5 155
5.1. SUMMARY 155
5.1.1. Research Question 1 Findings 156
5.1.2. Research Question 2 Findings 157
5.1.3. Research Question 3 Findings 158
5.2. TEACHING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159
5.3. LIMITATIONS 161
REFERENCES 163
APPENDIX A 214
PRE-COURSE SURVEY 214
APPENDIX B 218
POST-COURSE SURVEY 218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로닌 루벤. (2024). EFL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Feedback and Autonomy- Supportive Teaching: A Contrasting Personality Type Comparison.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62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264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4-02-2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