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쉼터 경험이 자립에 미치는 영향
- Author(s)
- 김금주
- Issued Date
- 2023
- Keyword
- Domestic violence, shelter experience, self-reliance
- Abstract
- In order for women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to escape violence, it is most important to lay the foundation for self-reliance.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meeting the realistic needs of women living in shel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licy tasks so that vocational training and economic independence support for women using shelters can lead to practical independence.
Specific research tasks to achieve these research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 it investigates the impact of women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on their willingness to stand on their own feet.
Second, we examine the determinants and obstacles of vocational training and employment for economic independence through the experience of women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using shelters.
Third, we will look into what policies and support should be prepared so that women who use shelters can maintain stable independence after leaving the shelter.
In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approach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ree women living in the shelter and two women who left the shelter and succeeded in self-reliance were interview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on domestic violence, shelter experience, and self-reliance. The reason why this research method is appropriate is to find out what practical problems you experience while recovering your lost self in the process of domestic violence and preparing for self-reliance in a resting place.
The research results presented above are as follows.
First, when analyzing the experience of service users, supporting economic independence in shelters for vocational training and employment was important for victims. Vocational training helped grow as a worker and provided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effects, and employment links supported escaping violence through economic independence.
Second, vocational training and employment-linked processes should be systematized. It is necessary to support vocational training and employment in connection with experts such as vocational counselors.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various programs are provided at the shelter to overcome the lethargy of women who use the shelter and restore their self-esteem, but specific counseling and guidance on vocational training and employment are not provided professionally. Therefore, even if you try to acquire professional skills by receiving vocational training, you will receive vocational training without accurate and specific knowledge of what your aptitude is and whether you have future prospects.
Third, it was found that residents and retirees had the greatest desire for housing support in relation to economic independence. They used national rental housing provided by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th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and other private housing support systems, but these systems are subject to various restric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vocational training and employment of women using domestic violence shelters and studies what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help them find more stable jobs, provide comfortable housing, and lead a true independent life.
Therefore, comprehensive employment programs such as the employment success package and the national employment support system include career support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weak in the labor market. To ensure systematic support for each stage of economic independe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gram development policy.
|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이 폭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자립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지만 쉼터에서 생활하는 여성들의 현실적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본 연구의 출발점으로 쉼터를 이용하는 여성에 대한 직업훈련과 경제적 자립지원이 실질적 자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과제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쉼터 이용 경험이 자립 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 지 살펴 본다.
둘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쉼터 이용 경험에서 경제적 자립을 위한 직업훈련과 고용의 결정요인과 장애요인을 살펴본다.
셋째, 쉼터를 이용하는 여성들이 쉼터를 떠난 후 안정적인 자립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정책과 지원이 마련되어야 하는지를 조사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연구 문제에 접근하였다. 쉼터에 입소하여 생활하고 있는 여성 3명과 쉼터를 퇴소해 자립에 성공한 여성 2명을 대상으로, 가정폭력, 쉼터경험, 자립에 대한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면접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이 적합한 이유는 가정폭력 피해 과정에서 잃어버린 자아를 회복하고, 쉼터에서 자립을 준비하면서 어떤 실제적인 문제를 경험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위에서 제시한 연구과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이용자의 경험을 살펴보았을 때, 직업훈련과 취업을 위한 쉼터에서의 경제적 자립지원은 피해여성에게 중요한 의미가 있었다. 직업훈련은 노동자로서의 성장을 도우며 교육적・심리적 효과를 제공하였으며, 취업연계는 경제적 자립을 통한 실질적 탈폭력을 지원하였다.
둘째, 직업훈련 및 고용 연계 과정을 체계화 해야 한다. 직업훈련과 취업 지원을 위해 직업상담사 등 전문가와의 연계가 필요하다. 쉼터 이용 여성들의 무기력을 극복하고 자존감을 회복하기 위해 쉼터에서는 심리 상담과 각종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나, 자신이 배워야 할 직업훈련이나 취업에 대한 구체적인 상담이나 안내는 전문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때문에 직업훈련을 받고 전문적인 기술을 습득하고자 해도 자신의 적성은 무엇인지, 앞으로의 미래성이 있는 일인지 등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지식 없이 직업훈련을 받게 되어 직업훈련을 이미 시작한 상태에서 자신의 적성과 맞지 않음을 호소하거나 수료 이후 취업 및 창업 등이 쉽지 않다는 것을 뒤늦게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셋째, 경제적 자립과 관련하여 입소자와 퇴소자들은 주거지원 욕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토지 및 주택공사, 그 밖의 민간주택지원제도 등에서 공급하는 국민임대주택을 이용하였는데, 이 제도들은 각종 제한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 쉼터 이용 여성들의 직업훈련 및 취업을 살펴보고, 이들이 보다 안정된 취업을 하고 편안한 주거를 마련하여 진정한 자립을 구축하기 위해 어떤 지원들이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취업성공 패키지나 국민취업지원제도와 같은 종합적 고용 프로그램은 노동시장 약자 개개인의 상황을 고려한 커리어 지원을 포함하고 있어 경제적 자립 단계별로 체계적 지원이 보장될 수 있도록 전문가와의 연계를 통해 앞으로 미래성이 있는 일과 자신에게 맞는 일을 선택하여 직업훈련이 실효성이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개발 정책 마련이 필요하며 자산조사에 있어서 가정폭력피해자의 특수한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고, 원활한 참여를 위해서는 ‘가정폭력피해자’를 되도록 많은 제도에 지원대상으로 별도 명기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을 제언한다.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 of Shelter Experience on Self-reliance of Women Victimized by Domestic Violence
- Alternative Author(s)
- Kim Keum Ju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 Department
- 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Advisor
- 정성배
- Awarded Date
- 2023-08
-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배경 1
제2절 연구 목적 4
제3절 연구 문제 4
제2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가정폭력 피해 여성 5
1. 가정폭력 정의 5
2. 가정폭력 피해 여성 실태 6
제2절 가정폭력 피해자 쉼터 7
1. 쉼터 정의 7
2. 가정폭력 피해 여성 쉼터 현황 10
제3절 쉼터 이용 여성의 자립을 위한 지원현황 15
1. 직업훈련 및 취업 지원현황 15
2. 주거 지원현황 17
제4절 선행연구 20
1. 가정폭력 피해 여성 쉼터 경험 20
2. 가정폭력 피해 여성 자립 22
제3장 연구 설계 25
제1절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25
1. 연구 대상 25
2. 연구 방법 28
제2절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방법 30
1. 자료수집 30
2. 자료분석 33
제3절 연구의 엄격성과 윤리적 고려 35
제4장 연구 결과 36
제1절 더이상 견딜 수 없었던 폭력과 단절하다 36
1. 반복되는 폭력에 대한 두려움 36
2. 이렇게 살 수는 없다 40
3. 준비되지 않은 탈출 45
제2절 폭력의 단절을 위해 쉼터를 선택하다 48
1. 거취문제 해결과 안전한 쉼터를 만나다 48
2. 쉼터 생활을 시작하다 51
3. 쉼터 내 프로그램으로 정서적 안정을 찾다 56
제3절 쉼터의 자립 프로그램을 만나다 59
1. 자립을 위한 첫걸음 직업훈련 59
2. 현실에 맞춘 취업 61
3. 거주지 선택 64
제4절 자립을 위해 새둥지로 떠나다 68
1. 쉼터 퇴소 후 생활에 대한 두려움 68
2. 퇴소 이후에도 지속되는 쉼터와의 관계 70
3. 쉼터 퇴소 후 진정한 자립을 위한 과제 71
제5장 결 론 85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85
제2절 연구 시사점 87
1. 정책적 시사점 87
2. 실천적 시사점 88
제3절 향후 연구 방향 89
참고문헌 91
부록 97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 Citation
- 김금주. (2023).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쉼터 경험이 자립에 미치는 영향.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61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4958
-
Appears in Collections:
- Law and Social Science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3-08-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