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노인의 자존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조혁
Issued Date
2023
Keyword
정신건강
Abstract
요약
본 연구는 노년기 인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노인들의 정신건강 상태를 이해하고 노인들의 자존감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들이 어떤 것들이 있고 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길어진 노년기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사회적 문제를 극복하고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통해 그들에게 건강하고 자신감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정책 및 실천적 개입의 기초자료를 자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2020년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21년도 「한국 복지패널」조사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집대상자 13,144중 노인대상자를 추출하여 4,838명의 자료를 분석에 투입하였고 이 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방법 및 검증은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차이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로 검증을 실시하여 다양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표본을 토대로 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 및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환경은 인구사회학적 변수(성별, 연령, 년소득, 거주 지역, 교육수준, 혼인상태, 종교여부, 가구형태)와 상관관계가 있고, 자존감이 높을수록 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환경 증가함으로써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증명되었다. 즉 사회적 환경이 노인의 자존감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로서 작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자존감이 정신건강과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의 요소 중 연령, 년소득, 교육수준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환경에는 성별, 년소득, 교육수준이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자존감은 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환경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적 환경이 좋을수록 노인의 정신건강이 증가하였다는 결과는 이들 세 가지 변수 모두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존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에서 사회적 환경이 매개하는지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자존감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환경이 매개변인으로 효과를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환경에 따라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노인의 정신건강에는 자존감과 사회적 환경요인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노인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개별적인 사안에서 벗어나 사회적 문제로 인식의 전환을 통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가족생활주기 변화에 맞는 실증적인 노인복지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바란다. |요약
본 연구는 노년기 인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노인들의 정신건강 상태를 이해하고 노인들의 자존감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들이 어떤 것들이 있고 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길어진 노년기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사회적 문제를 극복하고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통해 그들에게 건강하고 자신감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정책 및 실천적 개입의 기초자료를 자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2020년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21년도 「한국 복지패널」조사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집대상자 13,144중 노인대상자를 추출하여 4,838명의 자료를 분석에 투입하였고 이 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방법 및 검증은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차이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로 검증을 실시하여 다양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표본을 토대로 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 및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환경은 인구사회학적 변수(성별, 연령, 년소득, 거주 지역, 교육수준, 혼인상태, 종교여부, 가구형태)와 상관관계가 있고, 자존감이 높을수록 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환경 증가함으로써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증명되었다. 즉 사회적 환경이 노인의 자존감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로서 작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자존감이 정신건강과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의 요소 중 연령, 년소득, 교육수준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환경에는 성별, 년소득, 교육수준이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자존감은 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환경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적 환경이 좋을수록 노인의 정신건강이 증가하였다는 결과는 이들 세 가지 변수 모두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존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에서 사회적 환경이 매개하는지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자존감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환경이 매개변인으로 효과를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환경에 따라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노인의 정신건강에는 자존감과 사회적 환경요인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노인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개별적인 사안에서 벗어나 사회적 문제로 인식의 전환을 통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가족생활주기 변화에 맞는 실증적인 노인복지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tri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factors, mental health factors, and social enviroment factors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2021 korean welfare panel survey panel date conducted by the korea insti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20.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at as korea entered an aged society, life expectancy(83.3 years as of ‘21)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a relatively Iong old age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family life cycle. This change has emerged as a new social issue for the elderly to face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restriction on maintaining economic power(re-employment), support and protection, isolation from family, and leisure activities. In this regard, it is thought that the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should be recognized as important.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elf-esteem in the elderly on mental health was investigated, and the sociological environment(demographic and sociological employment, physical employment, social network)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se two variables,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was check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can be seen from the study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variables, the elderly health and social environment were related to do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gender, age, yearly in come, residential area, marital status, religion, household type).
It has been proven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elderly health and the social environment as the higher self-esteenn increases.
That was, wonder acted as problems affectiong older adults self-esteennand mental healt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demographic variables and self-esteenn affect mental health and social environment, age, annual income, and education level among demographic variables affect mental health, and socially, gender, annual, income, and education level iy was comfirmed that persimmon had an effect on both the mental health and soc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In addition, the result that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increased as the social environment improved showed that all three variadles had and effect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social environment mediated the effect of self-esteem on mental health, the social environment hed an effect as a mediating varible in the effect of self-esteem on mental health.
These resul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depending on the soci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aging rate of our society and various other social conditions today, not only the physical health of the elderly but also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are the ones that everyone experiences in old age. As a problem, it is an unavoidable problem that comes to the elderly due to loss of physical health, loss of economic ability, and feeling of social alienation.
There fore, the above study results show that self-esteem and social environment factors are absolutely important factors for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By ident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on mental health, We limit empirical elderly welfare policies to fit family life cycle change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elf-Esteen in the Elderly on Mental health : Focusing on the Social Environmental Mediating Effect
Alternative Author(s)
Cho Hyouk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Department
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상무대분원)
Advisor
정성배
Awarded Date
2023-02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목적 1
제2절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5
1. 연구 범위 5
2. 연구 방법 6
제3절 용어의 정의 8

제2장 이론적 배경 11
제1절 정신건강 11
1. 정신건강 정의 11
2. 노년기의 정신건강 13
제2절 자존감 16
1. 자존감 정의 16
2. 노년기의 자존감 18
제3절 사회적 환경 22
1. 사회적 환경 정의 22
2. 사회적 환경이 미치는 영향 26
제4절 선행 연구 30

제3장 연구 설계 33
제1절 연구 모형 및 연구 문제 33
1. 연구 모형 33
2. 연구 문제 및 가설 34
제2절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35
1. 연구 대상 35
2. 자료 수집 35
제3절 변수 및 연구 도구 측정 36
1. 독립변수 36
2. 매개변수 37
3. 종속변수 38
제4절 자료 분석 방법 39

제4장 분석 결과 40
제1절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0
제2절 변수별 기술통계 42
제3절 변수 집단 간 차이 검증 43
1. 인구사회학적 변수 43
2. 자존감 변수 46
3. 사회적 환경 변수 46
제4절 변수별 상관관계 47
제5절 변수별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49
1.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자존감 변수의 영향 49
2. 인구사회학적·자존감 변수의 사회적 환경 영향 51
3. 인구사회학적·자존감·사회적 환경변수의 정신건강 영향 53
제6절 사회적 환경 변수의 매개효과 검증 55
제7절 가설 검증 57

제5장 결 론 58
제1절 연구결과 요약 58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제언 62
1. 연구의 의의 62
2. 정책적 제언 63
3. 실천적 제언 65
제3절 향후 연구 방향 68

참고문헌 70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Citation
조혁. (2023). 노인의 자존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58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1129
Appears in Collections:
Law and Social Science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2-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