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확장현실(XR) 기반의 경극 메타버스 가상공간 개발프로세스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주위
Issued Date
2023
Keyword
확장현실(XR), 중국 경극, 메타버스, 가상공간, 훈합현실, 증강현실,가상현실, 개발프로세스
Abstract
중국 전통사회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영향력 있는 중국경극는 문화의 대표주자로 자리 잡아 '국가 오페라'로 불린다. 경극이 포함하고 있는 예술적 표현을 어떻게 기록해서 전승하느냐는 현대사회의 새로운 세대에게 자신들의 문화 정체성을 정립한다는 취지에는 매우 중요해지고 있었다. 2D프레임이라는 평면 공간에서 표현하는 전통문화예술의 기록방식을 뛰어넘어 디지털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전통문화예술을 기록하고 표현하는 시공간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표현의 한계를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극이 세계 보편적 가치로 발전하고 효과적으로 보전되고 전승되기 위한 현대화된 기술로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디지털 기술은 재현성, 복재성, 영속성이라는 측면에서 문화의 재발견과 전승을 통한 의미의 재해석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증강현실, 혼합현실, 가상현실, 확장현실 각 매체별 의 특성을 분석하며, 경극이 서양의 오페라처럼 세계화되지 못하고 중국문화란 국소적인 틀을 탈피하지 못하는 현상을 해소하고자 한다. 경극이 무대와 의상·음악 등이 세계 보편적인 가치로 승화하지 못한 것은 표현의 유연성이나 연출의 경직에 있다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중국 전통문화예술의 대표적인 경극을 공간인터넷인 메타버스 세계에 적용하여 세계의 다양한 소비자층이 동시에 접속하여 표현이 보다 자유스럽고 유연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디지털 공간을 마련하여 진보하는 경극으로써 새로운 공간 이미지의 디지털 기록방식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라 본 연구 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활동하는 캐릭터에 대한 디자인이 선행되어야 하고 그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 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전환시대를 맞이하여 나타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미디어 기술이 도입되면서 참여하는 공간이 확장되고 몰입감과 현존감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발전 동향과 배경적 의미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메타버스 공간에서 표현할 때의 한계점과 효율성을 문화예술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제시한다.
둘째, 디지털 공간에서 사물을 표현하는 방법과 증강현실, 혼합현실, 가상현실과 확장현실 공간을 구성하는 특성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몰입형 가상공간의 매개특성, 공간형태, 시각성, 상호작용성을 분석한다.
셋째, 증강현실, 혼합현실, 가상현실과 확장현실 공간을 활용하는 몰입형 가상공간이 가지는 특성을 경극에 적용하여 경극을 메타버스 공간으로 표현하기 위한 가상공간의 형성과정을 분석한다.
넷째, 이를 바탕으로 가상공간의 유형과 시각인 효과, 메타버스에 접속했을 때의 상호작용 체험을 위한 그래프 프레임을 도출하고 경극 중 중국에서 가장 전통이 있는 경극 패왕별희를 소재로 하여 역사적 사실과 선행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메타버스로 작품을 제작하여 제시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다양한 연구자료와 매체를 통해 나타난 공간에 대한 시대별 매개특성, 경극의 공간 구성과 시각적 상관관계 및 상호작용에 대한 자료를 정리한다. 이를 바탕으로 확장현실(XR) 매개체 확장에 기반한 경극이 가상공간에서 몰입감이나 현존감을 나타내는 관점과 구성요소를 제시한다. 현실 세계의 물리적 무대 공간에서는 불가능한 많은 제약요소가 메타버스 가상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경극 패왕별희를 디지털로 연출하여 메타버스에 탑재하면서 얻은 결과로 확장현실(XR)기술에 기반한 경극 가상무대 시스템 개발하였다. 경극을 메타버스로 구현함으로써 공간 인터넷상에서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더욱 명확하게 비교 하기 위해 증강현실, 혼합현실, 가상현실기술으로 먼저 경극시나리오를 구현하여 메타버스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극 패왕별희를 확장현실(XR)기반한 메타버스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돌출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시나리오의 설계를 거쳐 실행하였다. 본 연구자가 경극을 메타버스로 구현하기 위해 패왕별희 중 ‘우희검무’를 3분간의 분량으로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여 제시하였다. 시스템 개발을 통해 사용자는 아바타를 기반으로 3D 가상공간에서 기계적으로 여러 명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으며 메타버스라는 공간인터넷인 3D 가상공간에서 경극 선택형 크로스오버 시뮬레이션을 완성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Peking opera, which has become the most extensive and influential intangible culture in traditional Chinese society that values culture and art, is called “national opera.” Inducing young generations living in modern times to transmit and contribute to development based on cultural pride by artistically expressing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narrative contained in Peking Opera, which includ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history of social change, is an essential subject of research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Expanding the value and meaning of culture and arts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recording method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 expressed in a flat space called 2D fram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of intangible culture through recording,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is a subject of significant study. For this reason, this study reinterprets Peking Opera, China's representative intangible cultural asset, as a global universal value by overcoming the regional limitations of China and introduces digital technology as an alternative method to effectively restore, preserve, and pass it on to the younger generation. Digital technology was considered an advantageous method for reinterpreting meaning through the rediscovery and transmission of culture in terms of reproducibility, reproducibility, and permanence.
As for the research method, it addresses the following phenomenon that Peking opera cannot be globalized like Western opera, and Chinese culture cannot break out of the local spatial framework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um for augmented reality, mixed reality, virtual reality, and extended reality. The reason why the stage, costumes, and music introduced in Peking Opera have not been sublimated into universal values lies in the flexibility of expression and the rigidity of directing. The study presents an alternative to this.
In order to address such a problem, the present study provides a digital space that various consumer groups worldwide can access simultaneously, allowing more accessible and flexible access to expression and directing a modernized Peking Opera in a virtual space by applying Peking Opera, a representative piece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art, to the metaverse world, the Internet. In this respect, it introduces and expresses digital technolog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pace and time. To achieve the same research purpose, the design of characters active in the metaverse space should be preceded, an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should be well understood.
First, spatial limitations are expanding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development trend and background meaning of digital technology that can express a high level of immersion and presence for users with the introduction of various forms of digital media technology that appeared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The study presents the efficiency of expression in the metaverse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e and art.
Secon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mixed reality, virtual reality, and extended reality space used as a method of expressing objects in digital space, it presented the possibilities and effects when applying the mediating characteristics, spatial form, visuality, and interactivity of immersive virtual space to Peking Opera.
Third, the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virtual space to express Peking Opera as a metaverse space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immersive virtual space that utilizes augmented reality, mixed reality, virtual reality, and extended reality space to Peking Opera.
Fourth, based on this, it derived a graph frame to enable the type of digital virtual space, the visual effect, and the interactive experience when accessing the metaverse. The scenario was composed using historical facts and previous research data on Faewang Byeolhui, the most well-known Peking opera in China, and the work was produced as a metaverse.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tudy summarizes data on mediating characteristics of stage space by era, spatial composition, and visual correlation and interaction of Peking Opera shown through various research materials and media. Based on this, it presented perspectives and components that express a sense of immersion or presence in a virtual space regarding Peking Opera based on extended reality (XR) media expansion. It suggests a way to solve many existing problems as many impossible constraints in the physical stage of the real world move to the metaverse virtual space.
For an alternative verification method of research results, a virtual stage system for Peking Opera based on XR technology was developed to be installed in the metaverse by applying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technology in Peking Opera. In order to compare the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on the spatial Internet by implementing Peking Opera in the metaverse more clearly, the possibility of a metaverse space was presented by implementing Beijing opera scenarios with augmented reality, mix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Lastly, the completion of the scenario was improved while resolving the protruding problem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eking Opera Faewang Byeolhui as an XR-based metaverse. By developing a system that directs a Peking Opera in a digital space, users can mechanically interact with several people in a 3D virtual space based on their avatars.
It was possible to complete a Peking Opera selection type of crossover simulation in a 3D virtual space, a spatial internet called metavers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presented.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Metaverse Virtual Space based on Extended Reality(XR) Peking Opera
Alternative Author(s)
ZHU WEI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Advisor
문정민
Awarded Date
2023-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1.1 연구 배경 1
1.2 연구 목적 5
제2절 연구 방법 및 범위 8
2.1 연구 방법 8
2.2 연구 법위 8
2.3 연구 흐름도 10
제3절 연구 동향 13
3.1 확장현실 매체와 메타버스에 관한 연구 동향 15
3.2 경극에 관한 연구 동향 19
제2장 이론적 고찰 21
제1절 중국 경극의 개념과 위기 21
1.1 중국 경극의 개념 21
1.2 중국 경극의 위기 22
제2절 확장현실(XR) 매체의 개념과 구성 25
2.1 확장현실(XR) 매체의 역사적 개념 25
2.2 확장현실(XR) 매체의 발전 32
2.3 확장현실(XR) 매체의 특성 36
제3절 메타버스의 개념과 특성 43
3.1 메타버스의 개념 43
3.2 메타버스의 체계적 구성 45
3.3 확장현실(XR) 매체와 메타버스 가상공간 48
3.4 메타버스를 기반한 공간 51
제4절 매체기반 경극 무대 공간의 확장 55
제5절 소결 65
제3장 메타버스 시스템 구조 및 시뮬레이션 67
제1절 경극 메타버스 시스템 개발 타당성 분석 67
1.1 경극 메타버스 시스템 개발 타당성 분석 67
1.2 경극 메타버스 시스템 하드웨어 기술 타당성 분석 72
1.3 경극 시스템의 하드웨어 기술 설계 75
제2절 경극 메타버스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설계 77
2.1 시스템 기능 모듈 분석 78
2.2 메타버스 시스템 구조 설계 82
2.3 메타버스 시스템이 작업 흐름 과정 83
제3절 경극에서 메타버스 개발 87
3.1 팽왕별희(霸王別姬) 중 우희검무(虞姬劍舞) 87
3.2 패왕별희(霸王別姬) 중 우희검무(虞姬劍舞) 시나리오 90
3.3 메타버스 경극 시스템에서의 가상자산 설계 92
3.4 경극 우희검무(虞姬劍舞)를 메타버스로 구현 100
제4절 경극 우희검무(虞姬劍舞)의 메타버스 제작 101
4.1 3D 캐릭터 자산 워크플로우 103
4.2 3D 장면 자산 워크플로우 112
4.3 3D 모델 자산을 유니티3D 엔진에 매칭 활용 117
제4장 확장현실(XR) 기반한 경극 메타버스 설계프로세스 124
제1절 증강현실 클라이언트의 메타버스 경극 설계프로세스 124
1.1 실행 가능성 분석 및 런타임환경 시스템개발 운영 124
1.2 인터랙티브 모드 디자인 125
1.3 증강현실 특성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 구현 126
1.4 증강현실 특성기반 경극 시스템의 기능 구현 129
1.5 증강현실 시스템 문제 분석 134
제2절 혼합현실 클라이언트의 메타버스 경극 설계프로세스 135
2.1 실행 가능성 및 시스템개발 실행환경 135
2.2 '버추얼 핸드와 레이' 인터랙티브 모드 디자인 136
2.3 혼합현실 특성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 구현 137
2.4 혼합현실 특성기반 경극 시스템의 기능 구현 139
2.5 혼합현실 시스템 문제 분석 143
제3절 가상현실 클라이언트의 메타버스 경극 설계프로세스 144
3.1 실행 가능성 및 시스템 개발 실행환경 144
3.2 '버추얼 핸드와 레이' 인터랙티브 모드 디자인 145
3.3 가상현실 특성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 구현 146
3.4 가상현실 특성기반 경극 시스템의 기능 구현 148
3.5 가상현실 시스템 문제 분석 153
제4절 확장현실(XR) 클라이언트의 메타버스 경극 설계프로세스 154
4.1 실행 가능성 및 시스템 개발 실행환경 154
4.2 '멀티모드' 인터랙티브 모드 디자인 156
4.3 확장현실(XR) 특성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 구현 157
4.4 확장현실(XR) 특성을 활용한 경극 시스템의 기능 구현 159
4.5 확장현실(XR) 시스템 문제 분석 166
제5절 확장현실(XR)기반 한 경극 메타버스의 매체별 시연응용 167
제5장 결론 176
제1절 연구결과 176
제2절 시사점 및 향후연구 180

참고문헌 182
부 록 목 차 185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주위. (2023). 확장현실(XR) 기반의 경극 메타버스 가상공간 개발프로세스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56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3474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2-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