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북핵 억제를 위한 삼위일체적 접근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용우
Issued Date
2022
Keyword
북핵, 억제요인, 능력, 신뢰성, 의지전달, 삼위일체, North Korea Nuclear, Deterrence Factors, Capability, Credibility, Communication, Trinity
Abstract
North Korea has developed nuclear weapons through a total of six nuclear tests since the first nuclear test in 2006 until 2017. In particular, since Kim Jong-un took power, he has promoted the advancement of nuclear weapons and diversification of delivery means through three nuclear tests, and the threat is increasing, including the declaration of the doctrine of preemptive use of nuclear weapon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South Korea should do to deter North Korea from nuclear weapons. Focusing on communication among the success factors of nuclear deterrence for North Korea's nuclear deterrence, success factors were derived by analyzing successful cases of communication for nuclear deterr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inity, and applied to North Korea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nuclear deterrence communication.
This study covers from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n 1993 to the present, and is limited to how to deter North Korea's use of nuclear weapons. In terms of space, it mainly included the United States, its all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volved in deterring North Korea, such as the IAEA, centered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clear deterrence theory and the trinity theory, and the trinity and the success factors of nuclear deterrence were reviewed. And the case analysis deduced what kind of factors to communicate the will of the Indian government, military, and people through the case of India's nuclear deterrence against Pakistan.
By analyzing Korea's nuclear deterrence by detailed factors derived through case analysi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government, the military, and the people was presented.
In terms of government, the detailed factors were consistent policy, alliance relationship, and leadership decision. The Korean government was able to confirm frequent policy changes and disagreements between the ROK-U.S. alliance whenever there was a change of government.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s communication suggested a consistent policy direc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nuclear deterrence strategy based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uggested the need for consensus of opinion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OK-U.S. consultative body, determination of leaders, and the need for diplomatic leadership.
In terms of the military, the defense posture, punitive posture, and nuclear posture were derived as detailed factors. The ROK military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suspend the ROK-U.S. joint exercises in terms of protection posture and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a customized deterrence strategy in terms of the suspension of the ROK-US combined exercise and the change of some will in the case of the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and the nuclear posture aspect. Accordingly, i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he necessity of expanding and resuming the target of the ROK-U.S. joint exercise and the punitive posture suggested securing reconnaissance assets, deployment of punitive forces, and deployment of infiltrating assets to improve punitive capacity. In nuclear posture, nuclear sharing and the development of nuclear doctrine were presented to secure the credibility of customized deterrence strategies.
In terms of the people, factors such as government policy support, civil defense participation, and civil-military cooperation were derived. In detail, public policy support was low in support of government policies, and civil defense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and civil defense training was not implemented in a substantive manner in civil defense participation. As a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se problem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n the policy-making process was required. In addition, public participation-type civil defense training and activation of civil-military information exchange were necessary.
Through the study of nuclear deterrence communication, it was judged that balanced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the military, and the people for North Korea's nuclear deterrence would be integrated and w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terring North Korea's nuclear us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n empirical study of North Korea's commitment to nuclear deterrence.
|북한은 2006년 1차 핵실험 이후 2017년까지 총 6차례의 핵실험을 통해 핵무기를 개발하였다. 특히 김정은 집권 이후 3차례의 핵실험을 통한 핵무기의 고도화와 투발수단의 다변화를 추진하여 왔으며, 선제적 핵사용 교리 표명 등 그 위협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은 북한의 핵억제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북핵 억제를 위한 핵억제 성공요인 중 의지전달에 중점을 두고 핵억제를 위한 의지전달의 성공한 사례를 삼위일체 측면에서 분석하여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북한에 적용하여 핵억제 의지전달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1993년 1차 북핵 위기부터 현재까지 망라하며, 북한의 핵사용을 어떻게 억제할 것인가로 한정하였다. 공간적으로는 주로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맹국인 미국과 IAEA 등 북핵 억제에 관여하고 있는 국제기구 등을 포함하였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핵억제이론과 삼위일체론, 삼위일체와 핵억제 성공요인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사례분석은 파키스탄에 대한 인도의 핵억제 사례를 통해 인도의 정부, 군대, 국민이 어떠한 의지전달 요인이 작동되었는지 도출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세부 요인별 한국의 핵억제를 분석하여 정부 측면, 군대 측면, 국민 측면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정부 측면에서 세부 요인으로는 일관된 정책, 동맹 관계, 지도자 결단이 도출되었다. 한국의 정부는 정권 교체 시마다 잦은 정책의 변화와 한미 동맹 간의 의견의 불일치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도자 결단의 부재로 인해 의지전달의 혼란을 초래하였다. 이에 정부의 의지전달은 국제적 협력을 기반으로 포괄적 핵억제전략 수립을 통한 일관된 정책 추진방향을 제시하고 한미 협의체 가동을 통해 한미 간의 의견의 일치, 지도자의 결단과 외교적 리더십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군대 측면에서는 세부 요인으로 방호태세, 응징태세, 핵태세가 도출되었다. 한국군은 방호태세에 있어 한미연합훈련의 중단과 응징태세에서는 비핵화 협상에 따른 일부 의지의 변질과 핵태세 측면에서 맞춤형 억제전략의 신뢰성 확보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발전방향으로 한미연합훈련의 대상 확대와 재개의 필요성과 응징태세에서는 응징능력 향상을 위해 대북 정찰자산 확보와 응징부대의 전력화와 침투자산의 전력화 등을 제시하였다. 핵태세에서는 맞춤형 억제전략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핵 공유와 핵 교리의 발전을 제시하였다.
국민 측면에서는 정부 정책 지지, 민방위 참여, 민군 협력 요인을 도출하였다. 세부적으로 정부 정책 지지에서는 국민의 정책 참여가 저조하고 민방위 참여에서는 민방위 시설이 부족하며 민방공훈련이 내실있게 시행되지 않는 문제점을 식별하였으며, 민군 협력에서는 군의 각종 발표에 대한 낮은 신뢰성 등 정보교류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발전방향으로는 국민이 정책결정과정에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였다. 그리고 국민참여형 민방위훈련, 민군 정보교류의 활성화 등을 필요하였다.
핵억제 의지전달 연구를 통해 북한의 핵억제를 위한 정부, 군대, 국민의 균형된 의지전달이 통합되어 북한의 핵사용을 억제하는데 크게 작용할 것을 판단하며, 이 연구를 통해 북한의 핵억제 의지전달의 실증적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Trinity Approach to the Deterrence of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lternative Author(s)
Park, Yong Woo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Department
정책대학원 군사학과
Advisor
김법헌
Awarded Date
2022-08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제3절 선행연구 검토 8

제2장 이론적 배경과 분석의 틀 15
제1절 핵억제이론 15
제2절 삼위일체론 20
제3절 삼위일체와 의지전달의 관계 24
제4절 분석의 틀 26

제3장 인도의 핵억제 사례분석 28
제1절 개요 28
제2절 정부의 의지전달 30
제3절 군대의 의지전달 37
제4절 국민의 의지전달 43
제5절 소결론 48

제4장 북핵 억제 의지전달의 요인 분석 50
제1절 개요 50
제2절 정부의 의지전달 53
1. 일관된 정책 53
2. 동맹 관계 55
3. 지도자 결단 57
제3절 군대의 의지전달 61
1. 방호태세 61
2. 응징태세 63
3. 핵태세 65
제4절 국민의 의지전달 68
1. 정부정책 지지 68
2. 민방위 참여 70
3. 민군 협력 72
제5절 소결론 75

제5장 북핵 억제 의지전달의 발전방향 77
제1절 정부의 의지전달: 국제적 협력 77
1. 일관된 정책: 포괄적 핵억제전략 77
2. 동맹 관계: 한미 협의체 상설 운용 79
3. 지도자 결단: 전략적 외교 81
제2절 군대의 의지전달: 한미연합방위태세 83
1. 방호태세: 실병기동 위주 한미연합훈련 83
2. 응징태세: 대량응징보복 85
3. 핵태세: 무력시위 87
제3절 국민의 의지전달: 민·관·군 통합방위 90
1. 정부정책 지지: 정부정책 신뢰 90
2. 민방위 참여: 국민참여형 훈련 92
3. 민군 협력: 상호 정보교류 94

제6장 결론 96

참고문헌 100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Citation
박용우. (2022). 북핵 억제를 위한 삼위일체적 접근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53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791
Appears in Collections:
Law and Social Science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8-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