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개선 방안 연구
- Author(s)
- 주경상
- Issued Date
- 2022
- Keyword
- 협업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경험, 사용자 경험 영향 요인, 텍스트 분석, 구조 방정식 모델, 사용자, 제품, 앱, Collaborative Office App, User Experience, Influencing Factors of User Experience, Text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User, Product, Mobile Application
- Abstract
- With the promotion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traditional working methods have gradually changed, and remote collaborative office has gradually been accepted by people. Especially under the serious influence of COVID-19on the way of life and work,many companies choose to let employees work remotely. With its mobility, intelligence and convenience, the smart phone based collaborative office App can help employees deal with work business at any time and anywhere. Collaborative office Apps are an important tool for remote office work. The user experience of collaborative office Apps directly affects the work efficiency of employees. Especially when the use frequency of collaborative office App is higher and higher, the importance of its user experience is becoming more and more obvious.
This study takes the user experience of collaborative office Appsand its influencing factorsas the core research problem, and mainly conducts research from two aspects. First, the composition of influencingfactors of user experience of the collaborative office App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ing factors and the degree of impact of various factors on user experience of the collaborative office Apps.
For the first problem, this paper uses text analysis and grounded theory to study the composition of influencing factors of user experience. The online comment text contains users' views and opinions on the experience of App. User interviews can understand the process of users' collaboration using App and the experience problems encountered in collaboration. The first step is to use software tools to collect online comments of users of collaborative office App, and 38,548 valid user comments are obtained after data cleaning. The second step is to perform textual analysis on online comments. Firstly, the online comments were analyzed by sentiment tendency, and the results showed that 48% of the comments expressed a negative emotional tendency, indicating that slightly less than half of userswere dissatisfied with the collaborative office App. Secondly, through word frequency analysis of online comment texts, 90 high-frequency words related to user experience are obtained, and the high-frequency word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part of speech. Among them, nouns reflect the attributes of Apps that influence user experience, verbs reflect the behavior of Apps that affect user experience, and positive emotional adjectives and adverb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pps that positively affect user experience, The adjectives and adverbs of negative emotio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pps that negatively affects the user experience. Then,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co-occurrence relationship between user experience keywords is obtained, and the preliminary classification of user experience keywords is understood. The third step is to implement user interview on the basis of text analysis, code online comment text and user interview text with grounded theory, construct and extract the factors affecting user experience. It is found that there are 8 factors influencing user experience of collaborative office Apps, including visual experience, trust experience, personalization experience, social presence experience, usefulness experience, ease of use experience, interactive experience and emotional experience.
In response to the second problem, this paper adopts the empirical research method to study thequantitative relationship model of the influencingfactors of user experience. The first step is to construct a hypothesis model of user experience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omposition of user experience influencing factors, and put forward research hypotheses. The second step is to design the scale questionnair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is testedthrough expert consultation,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is verifiedthrough pre-investigation. The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andcollected 516 valid questionnaires. In the third step, firstly,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common method deviation of the questionnaire datawere tested by SPSS, and the ANOVAis used to detectthe differences of different user groups' perception of various factors of user experience, and then Mplus is used to construct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SEManalysis indicatethat trust experience, personalization experience, and social presence experience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 emotional experience, and indirectly affect user experience through emotional experience. Visual experience, ease of use experience, and interactive experienc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 user experience, while visual experience, ease of use experience, and interactive experienc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 emotional experience. Usefulness experience and emotional experienc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 user experience. The effect of usefulness experience on emotional experience is not significant. The analysis results of SEMalso quantified the levelof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user experience. Emotional experience and interactive experience have the greatest impact on user experience, followed by ease of use experience, finally usefulness experience and visual experience.
Finall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approachesto improve user experience of collaborative office Apps are put forward, thenthe effectiveness of the research results is verified through design practice.
This research adopts a combin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o conduct a systematic, comprehensive and in-depth research on the user experience of collaborative office Apps. The research results are of great significance in theory and practice. In theory, this study deepens the theoretical research on user experience of collaborative office Apps, clarifies the composition of factors influencing user experience of collaborative office Apps, proposes and verifies the relationship model of influencing factors of user experience, and quantifies the impact of various factors on user experience.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also provide methodological references for research on user experience in other fields. In practice, the discoveriesof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inthe user experience design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of collaborative office Apps, and provide help for the improvement of user experience.|경제의 글로벌화와 정보 기술로 인해 전통적인 업무 방식은 점차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갈수록 많은 사람이 원격 협업을 받아들이고있다. 특히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많은 기업은 원격 근무를 선택하였다.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협업 어플리케이션은 이동성, 지능성, 편리성을 제공하여 직원들이 언제 어디서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협업 어플리케이션은 원격 협업을 실현하는 중요한 툴이 되었다. 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은 직원의 업무 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가 높을수록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도 더욱 부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영향 요인을 핵심 연구 과제로 삼고 주로 두 가지 측면에서 연구를 전개하였다. 첫째는 협업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경험의 영향 요인 구성이고 둘째는 영향 요인 간 관계 및 각 요인이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이다.
첫 번째 측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분석법과 근거 이론을 이용해 사용자 경험 영향 요인의 구성을 연구하였다.온라인리뷰텍스트에는앱경험에대한사용자의견해와관점이포함되어 있고,사용자인터뷰를 통해서는사용자가앱을사용하여협업하는과정과협업에서발생한경험에 대한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첫 번째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을 사용해 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온라인 사용자 리뷰를 수집하였고 데이터 정제를 거쳐 38,548개의 유효 리뷰를 획득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온라인 리뷰 텍스트에 대해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우선 감성 성향을 통해 온라인 리뷰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리뷰의 48%가 부정적인 성향을 보여 사용자절반 가량이 협업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온라인 리뷰 텍스트에 대해 단어 빈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 90개를 추출하였다. 품사별로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를 분류하였는데, 그중 명사는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는 앱의 속성을 나타내고, 동사는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는 앱의 행위를 나타내며, 긍정적인 감성의 형용사와 부사는 사용자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앱의 특징을 나타내고, 부정적인 감성의 형용사와 부사는 사용자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앱의 특징을 나타낸다. 그리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사용자 경험 키워드 간의 동시 출현 관계를 도출하고 사용자 경험 키워드의 초보적인 분류를 파악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텍스트 분석을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뷰를 수행하였고, 근거 이론을 이용해 온라인 리뷰 텍스트와 사용자 인터뷰 텍스트에 대한 코딩을 진행하였으며,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구축하고 도출하였으며,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8개로 시각적 경험, 신뢰성 경험, 개인화 경험,사회적 실재감 경험, 유용성 경험, 사용 용이성 경험, 상호작용 경험, 감성적 경험이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두 번째 측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실증 연구법을 활용해 사용자 경험의 영향 요인의 관계 모델을 연구하였다. 첫 번째로 문헌 연구와 사용자 경험 영향 요인의 구성에 관한 연구 결과에 따라 사용자 경험 영향 요인의 가설 모형을 구축하고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척도 설문지를 설계하고 전문가 상담법을 통해 설문 내용 타당도를 점검하였고 예비조사를 통해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유효 설문지 총 516부를 회수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우선 SPSS프로그램으로 설문 데이터의 신뢰도, 타당도 및 동일방법편의 검증을 진행하였으며, 분산분석법을 사용해 사용자경험각영향요인에대한사용자그룹별인지적차별성을분석하였으며 다음 MPlus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 방정식 모델을 구축하고 연구가설에 대해 검증하였다. 구조 방정식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뢰성 경험, 개인화 경험,사회적 실재감 경험은 감성적 경험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감성적 경험을 통해 사용자 경험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 시각적 경험, 사용 용이성 경험, 상호작용 경험은 사용자 경험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시각적 경험, 사용 용이성 경험, 상호작용 경험은 감성적 경험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용성 경험과 감성적 경험은 사용자 경험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감성적 경험에 대한 유용성 경험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다. 구조 방정식 모델 분석 결과는 사용자 경험에 대한 각 요인의 영향 정도를 정량화하였으며, 사용자 경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감성적 경험과 상호작용 경험이고 다음으로 사용 용이성 경험이며 마지막으로 유용성 경험과 시각적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협업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고 디자인 실천을 통해 본 연구 성과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결합하는 연구 방법으로 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에 관해 체계적이고 전면적이며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론적인측면에서 본 연구는 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이론에 관한 연구를 보다 심도 있게 모색하였으며 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영향 요인의 구성을 명확히 하였다.사용자 경험 영향 요인의 관계 모델을 제시하고 검증하였으며, 각 요인이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정량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은 기타 분야의 사용자 경험 연구에 방법과 참고를 제공하였다. 실무적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및 사용자 경험의 평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Alternative Title
- Research on Influencing Factors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User Experience of Collaborative Office Mobile Application Focused on Chinese Users
- Alternative Author(s)
- ZHU QINGXIANG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Advisor
- 이진욱
- Awarded Date
- 2022-08
- Table Of Contents
- 표 목차 ⅲ
그림 목차 ⅶ
ABSTRACTⅹ
제1장 서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6
1.3 연구 구성 7
제2장이론적 배경 10
2.1협업 어플리케이션 10
2.2 사용자 경험관련 이론 12
2.3정보 시스템 사용 행동 관련 이론 및 모델 24
2.4 인지 심리학 관련 이론 29
2.5 선행 연구 36
제3장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현황 분석 41
3.1 분석 대상 41
3.2 분석 방법 42
3.3 분석 결과 43
제4장연구1: 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영향 요인의 구성 59
4.1 연구의 과제 59
4.2 연구 방법 및 절차 59
4.3 연구 설계 66
4.4 연구 결과 82
제5장 연구2: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영향 요인의 관계 모델 103
5.1 연구의 과제 103
5.2 연구 방법 및 절차 103
5.3 연구의 설계 106
5.4 연구 결과 138
5.5 소결론 164
제6장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전략 및 디자인 실천 166
6.1 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전략 166
6.2 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디자인 실천 185
제7장결론 233
참고문헌 238
부록 248
국문초록 257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주경상. (2022). 중국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협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개선 방안 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52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31663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2-08-26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