寫意精神과 現代 水墨人物表現에 관한 硏究
- Author(s)
- 고숭
- Issued Date
- 2024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learn and study the modern ink painting techniques based on the fusion of realism and expressiveness of modern ink figure paintings, and to symbolically express personal emotions and social reflections through the creation of real social life as the material for painting.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ink and wash figure painting has entered a diversified era. Modern ink figure paintings emphasize the innovation of artistic language and the expression of the artist's personal feelings, and pursue the spontaneity and expressiveness of the paintings. Traditional and modern aesthetic ideas collide and merge with each other, expanding the boundary between content and form in creation. In China, researchers emphasize the study of traditional ink theories and the practice of traditional techniques, with research focusing on traditional areas of knowledge.After studying in Korea, the
researcher has broadened his mindset of artistic creation and emphasized the expressive nature of modern art, trying to find a new path based on traditional ink painting theories and techniques.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traditional ink painting, "freehand brushwork with mind", is an important oriental aesthetic concept, which has a lot of room for integration with the expressive painting of modern art. Nowadays, many paintings are overly conservative, programmed and uniform. Or the paintings emphasize too much on the sense of form, and the contents are empty without depth. These two aspects have lost the ink painting's own "freehand brushwork with mind", so researchers recognize that the "freehand brushwork with mind" is the core force that embodies the connotation of the work and the way of expression. Modern ink figure painting should be supported by both the traditional concept of writing and new forms of expression to give a sense of modernity.
This paper firstly explores how ink figure painting has diversified from its early appearance to the modern era. By analyzing the concept of traditional ink figure painting expression, we understand the aesthetic direction of traditional ink painting and clarify the theoretical core of painting creation. After that, he summarizes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figure painting in the East and the West, and takes East Asian China, Korea, and Japan as examples to introduc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figure painting; and takes Western expressionism and fauvism as examples to elaborate the creative concept of expressive painting.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Eastern and Western figure paintings, the room for expansion of the fusion of representational and expressive painting is identified. The researcher explains the diversity of modern ink figure painting from two directions: material and form, and gives examples of inheriting tradition and expanding innovative painting styles, determining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exploring modern ink figure painting.
The researcher adheres to the traditional "freehand brushwork with mind" and combines it with modern forms of artistic expression in his paintings, combining what he has seen and felt in his life and refining it into creative materials, exploring the new language of ink and watercolor figure paintings in the form of express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ink painting techniques and the experimentation of modern painting materials and colors, an expressive form of painting is formed. In the content of the works, the researcher exp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igures through symbolic narrative methods, and also shows the researcher's spiritual world and reflection on social life.
In short, the researcher explores a new way of integrating traditional techniques and modern painting with the themes of "freehand brushwork with mind" and expressiveness of figures. The researcher's unique thinking and creativity in terms of ink and brush lines, color materials, and figure shapes can be considered an exploratory attempt. This study systematically organizes the works of traditional and modern painters, analyzes their ways and types of expression, and blends the strengths of different painting styles with their own works to form a unique look. The researcher uses the artistic and expressive qualities as the means of creation, collects painting materials by means of life observation, and links the contents of the paintings with personal feelings and modern urban life, and combines the "freehand brushwork with mind" with symbolic metaphors to respond to the researcher's thoughts on social and human issues.|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수묵인물화의 사의성(寫意性)과 표현성 융합을 바탕으로 현대 수묵 기법활용을 배우고 연구하며, 현실의 일상생활을 창작 소재로 하여 개인의 감정 과 사회적 반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회화작품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수묵 인물화도 다양화 시대에 들어섰다. 현대 수묵 인물화는 예술 언어의 혁신과 화가 개인의 감정 표현을 주장하며 회화 작품의 사의성과 표현성 을 추구한다. 전통적인 미학 사상과 현대의 그것이 상호 충돌하고 융합되어 창작의 내 용과 형식의 경계를 확장했다. 중국에서 연구자의 관심은 전통 수묵 이론의 학습과 전 통 기술의 실천과 전통 지식 분야에 있었다. 한국 유학 이후에는 예술 창작의 마인드 를 넓히고 현대 미술의 표현성을 중시하며, 전통적인 수묵 이론과 기법을 바탕으로 새 로운 길을 찾으려 했다. 전통 수묵화인 사의가 중요한 동양적 미학 개념으로 현대미술 의 표현적 회화와 융합할 여지가 크다고 여겨진다. 당대의 회화 작품들이 너무 수구적 이고 도식화 현상이 나타나 천편일률적이며, 지나치게 형식을 중시하여 내용이 공허하 고 깊이가 없다. 그래서 연구자는 이 두 가지 모두 수묵화 자체의 사의 정신(寫意精 神)을 상실하였기 때문에 사의 정신이 작품의 의미와 표현력을 나타내는 핵심 역량임 을 깨달았다. 즉, 현대 수묵 인물화는 사의의 전통 이념이 뒷받침되어야 할 뿐만 아니 라 새로운 표현 형식이 시대적 감각을 부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문은 먼저 수묵 인물화가 초기 모습에서 현대화로 어떻게 다양화 되었는지를 논한 다. 전통 수묵 인물화의 표현 개념을 분석하고 전통 수묵화의 미적 방향을 이해하며 회화 창작의 이론적 핵심을 명확히 한다. 이후 동·서양의 인물회화의 표현특징을 정 리하여 동아시아의 중국, 한국, 일본을 예로 들어 각각 동양적 인물화의 표현특징을 소개하고 서양의 표현주의와 야수주의를 예로 들어 표현적 회화의 창작이념을 설명하 였다. 또한 동·서양 인물화의 비교 연구를 통해 사의성과 표현성의 융합 확장 공간을 확정하였다. 그리고 소재와 형식의 두 가지 방향에서 현대 수묵 인물화의 다양성과 특 성을 논하고 병행하여 전통의 계승과 혁신적인 회화의 확장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현 대 수묵 인물화의 탐색적 가치와 의의를 논하자 한다. 회화 창작에서 전통적인 사의정신을 견지하고 현대 미술 표현 형식을 융합하여 생활 속에서 보고 느끼는 것을 창작 소재로 삼아 수묵 인물화 표현 형식의 새로운 언어를 탐구하였다. 전통적인 수묵기법의 활용과 현대회화의 재료와 색채의 실험을 통해 회화 표현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 작품 내용 측면에서는 상징적인 서술 방법을 통해 다양한 인물의 형상적 특징을 표현하였으며, 연구자의 정신세계와 사회생활에 대한 성찰도 표 현하였다. 또한, 사의정신과 인물 표현성을 주제로 전통기법과 현대회화가 어우러진 새로운 길 을 모색하였다. 화면의 붓과 먹의 선, 색채 재료, 인물 조형 등의 측면에서 독특한 사 고와 창작 형식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탐색적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 화가와 현대 화가의 작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그 표현 방식과 유형을 분석하고 서 로 다른 회화 스타일의 장점을 자신의 작품과 융합하여 독특한 모습을 형성하였다. 창 작의 수단으로서 사의성과 표현성을 사용하고 일상적인 생활의 관찰을 통해 회화 소재 를 수집하며 회화 내용을 개인의 감정과 현대 도시 생활과 연관시켜 사의 정신과 결합 하여 연구자가 생각하는 사회적 문제와 인간적 문제를 상징적인 은유 기법으로 반영하 였다.
- Alternative Title
- A Related Study of XieYi Spirit and Modern Ink Figure Expression: Focusing on the Researcher's Work
- Alternative Author(s)
- GAOSONG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미술학
- Advisor
- 박홍수
- Awarded Date
- 2024-02
-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3
제2장 수묵인물표현의 개념 및 특징 6
제1절 수묵 인물표현과 전신론(傳神論) 6
제2절 사의(寫意)적 수묵 인물표현과 운용 10
제3절 이서입화(以書入畫)의 선형(線形)과 조형성· 15
제4절 수묵 인물화의 특징 19
제3장 '사의정신'과 '표현주의' 인물표현의 고찰· 24
제1절 인물표현의 특징 24
1. '사의정신(寫意精神)'과 인물표현 25
2. '표현주의'와 인물표현 33
제2절 '사의정신'과 '표현주의'의 비교 분석· 40
1. 창작방식의 차이점과 공통성· 40
2. 예술심미의 차이점과 공통성· 43
3. '사의정신'과 '표현주의'의 융합과 확장성 46
제4장 현대 수묵 인물표현의 특징 49
제1절 수묵 인물표현 소재와 형식미의 다양성 49
1. 작품소재의 활용 49
2. 작품형식의 활용 52
제2절 인물표현 매체 활용의 특징 57
1. 전통 수묵 인물표현의 계승 57
2. 회화매체의 확장을 통한 변용 63
제3절 인물표현의 가치와 확장성 의미 66
제5장 연구자의 수묵 인물표현 -'사의정신'작품분석 · 69
제1절 작품제작에 따른 내용분석· 69
1. 삶에 대한 관찰과 인물표현 70
2. 인물표현 소재 72
3. 인물표현의 상징성과 내용 76
제2절 작품제작에 따른 형식분석· 84
1. 전통 수묵 기예의 운용 84
2. 재료 및 색채활용 범위 87
3. 인물표현의 조형성· 90
제3절 현대회화로서 수묵 인물표현의 확장성 모색 93
제6장 결론 96
【도판목차】· 99
【연구자작품목록】 102
【참고 문헌】 104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고숭. (2024). 寫意精神과 現代 水墨人物表現에 관한 硏究.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94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37903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4-02-23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