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디지털 시대 현대인의 익명성과 가식화된 도시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양호열
Issued Date
2024
Keyword
현대인, 익명성, 가식화, 도시 이미지
Abstract
A Study on Presentation of Anonymity of Modern People and Pretentious City Images in the Digital Era -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 - Yang Hoyeol Advisor : Prof. Cho yoon-sung, Ph. D. Department of Fine Art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negative problems of modern people who live in a splendid and developed urban civilization but are addicted to smartphones due to the anonymity of the digital age, and the pretentiousness of the city image that appears as a result. Through this, the researcher aimed to organize expression methods through art and present expression methods using the researcher's own unique pictorial language. Modern cities of the 21st century have created urban spaces of a new digital civilization. In particular, due to the convenient services of intelligent smartphones, these smartphones dominate all of our lives and have become an essential tool throughout our society. People of all ages, from children to adults, are immersed in smartphones, and as a result, humans are subordinated to a convenient machine civilization, losing their identity and becoming more individualistic, which is a problem in modern society. In this study, we observed how the appearance of social members is changing due to thes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view them from an artist's perspective, and presented these characteristics in the language of art. Modern people in the digital age are addicted to anonymity. Anonymity means hiding your information secretly and not revealing it to anyone, so that no one knows who you are. Modern people feel fear and anxiety about their information being revealed to others. As a result, they use defense mechanisms such as projection, self-justification, regression, and denial, which are means to protect themselves. Psychoanalyst Freud interpreted defense mechanisms as an unconscious psychological strategy to prevent oneself from being involved in anxiety or unfavorable situations. Additionally, Carl Rogers, who values ​​humanistic ideas, interpreted that all humans are future-oriented beings who create themselves through the present and pioneer toward the future. When looking at the views of the two scholars comprehensively, Freud believes that 'the problematic situation of human behavior in the present is a negative tendency of experiences from past influences that continue to the present', but Carl Rogers believes that 'humans solve current problems on their own'. 'They show a positive tendency to pioneer and create from their own perspective and head toward the future.' The problem of anonymity for modern people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which the negative aspects are more common. As Freud's psychoanalytic theory asserts, unconscious and impulsive behavior comes from a negative defense mechanism. Currently, modern people are becoming alienated from each other within the social community. From this perspective, the anonymity of modern people acts as a defense mechanism to sever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iming to protect themselves. The anonymity presented in the researcher's work refers to the voyeurism of modern people who hide their identity to protect their information and engage in fraudulent activities, such as secretly spying on other people's private lives through SNS via cell phones in digital civilization. We aim to highlight these problems in society. The medium that helps with the element of voyeurism is the mobile phone. By presenting this social problem, a group of humans who are addicted to digital civilization is expressed as simple silhouettes, which is an expression of the negative ego and identity of modern people and is a metaphor for a negative self-portrait that indulges in other people's private lives while hiding from their reality. City images appear beautiful to our eyes, but they only play the role of being extravagant and pretentious. Pretentious has the dictionary meaning of ‘deliberately making something false to make it look good.’ The psychology of dissatisfaction and anxiety that modern people feel due to the stress or oppression they experience in reality is expressed in various colors in the work. Emotions are also replaced by colors, and there are countless symbolic meanings for colors commonly used in art therapy. For example, the color black and white mainly connotes various negative meanings such as depression, death, sadness, and obscurity, but on the contrary, it also connotes a personality that is clear, clean, and seeks to stand out. Although black is used as a color for a defense mechanism to hide oneself, it is also used as a color with artistic meaning. The rough paintbrush mainly used in Korean paintings and the black color used in works that deal with nature-friendly and refined life in landscapes and paintings have their meaning. However,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it can be interpreted as an expression of anxiety, distrust of oneself, and rebelliousness that cannot be resolved from a mental conflict. Anonymity mentioned in this study acts as a defense mechanism to hide oneself. The negative emotions felt by modern people come from this defense mechanism. Language and emotions expressed in human behavior or psychology can be expressed as works of art. Looking at the researcher's work, you can see that the dark black buildings and bright colors of the lights provide a strong contrast to the black and white groups of people on the background screen. Huge buildings symbolically represent a civilization that is developing through rapid industrialization, but they are also a means of expressing the atmosphere of the wallpaper more prominently for images of beautiful landscapes.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perspective, the shapes of the characters existing in the landscape were expressed through simple and mechanical depictions of lines, planes, and colors of design elements, almost excluding realistic depictions rather than hyper-realistic expressions. This is a metaphorical expression of the self-portraits of people living in a modern society where emotions are disappearing. In addition, the intention of the work is accurately conveyed to the viewer by adding a simple image of a group of people to the pretentious image of the city. The objects used in the work are made of blinds and mirrors. The mirrors provide the audience with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m directly, while also reflecting our appearance in reality. Blinds have negative connotations such as peeping and violating other people's privacy, which are major problems in modern society. The use of these objects can be seen as a transformation of flat painting that communicates with the audience through visual diversification, and an intention to break away from existing art methods and establish a new art language. It was a new attempt to break down the clear boundaries between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and integrate them togethe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s the psychology of anonymity among modern people, precisely understands the concept,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how various social problems in digital civilization can be solved through various art languages. The researcher's works, expressed through various artistic forms, bring attention to the issues of modern urban society and civilization. Moreover, they highlight the versatility of art in addressing a wide spectrum of issues, integrating with aspects such as society, ethics, and the economy. In this way, the future direction of the researcher's work will be to seek newer approaches while considering relationships with more diverse art genres.|본 연구에서는 화려하고 발전된 도시 문명에 살고 있지만 디지털 시대의 익명성으 로 인하여 스마트폰에 중독되어 사는 현대인들의 부정적인 문제점과 이로 인해 나타 나는 도시 이미지의 가식성에 관해서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미술로 표현방법 등을 정리함으로써, 연구자만의 독창적인 회화적 언어로 표현 방식을 제시하고자 하 였다. 21세기 현대의 도시는 새로운 디지털 문명의 도시 공간을 만들어내었다. 특히 지능화된 스마트폰의 편리한 서비스로 인하여 스마트폰은 우리의 모든 삶을 지배하 고, 우리 사회 전반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도구가 되었다. 아동에서 성인까지의 모 든 연령대가 스마트폰에 몰입되어 있고, 이로 인해, 인간은 편리한 기계 문명에 종속 되어 그 정체성을 잃어가며 개인주의화 경향이 되면서 현대 사회의 문제점이 대두되 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 문화적 특성으로 인해 사회구성원들의 모습이 어떻 게 변화해 가는지를 관찰하고 예술가의 시각으로 바라보며 그 특성들을 미술 언어로 제시하였다. 디지털 시대의 현대인들은 익명성(匿名性)에 중독되고 있다. 익명성(匿名性)이란 자 신의 정보를 몰래 숨기고 누군가에게 공개하지 않음으로써, 내가 누구인지 모르게 하 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인들은 자신의 정보가 남들에게 공개되는 것에 대해 두려움과 불안을 느낀다. 그로 인해 투사, 자기합리화, 퇴행, 부정 등의 방어기제를 사용하는데 이는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다. 정신분석학자 프로이드는 방어기제란 불 안, 불리한 상황에 자기가 개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무의식적인 심리 전략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인본주의 사상을 중시하는 칼 로저스는 모든 인간은 현재를 통해서 스스로를 창조하고 미래를 향해 개척해가는 미래지향적인 존재라고 해석하였다. 두 학 자의 견해를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프로이드는 ‘현재의 인간행동의 문제 되는 상황 은 과거의 영향으로부터 받은 경험이 현재까지 이어지는 부정적인 경향이라고’보고 있지만, 칼 로저스는 ‘인간은 현재의 문제를 자기 자신의 관점에서 개척하고 창조하 여 미래를 향해 가는 긍정적인 경향을 보인다’고 하였다. 현대인들의 익명성의 문제 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있는데 그 중, 부정적인 측면들이 더 많다. 프로이드 의 정신분석이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무의식적이고 충동적인 행위는 부정적인 방 어기제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 현대인은 사회공동체 안에서 서로 소외 되어 간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대인의 익명성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서로의 소통을 단절시키기 위한 방어기제의 수단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제시하는 익명성(匿名性)은 자신의 정보를 보호받기 위해 신분을 숨기고, 디지털 문명의 핸드폰을 통해 남의 사생활이 담긴 SNS를 통해 몰래 훔쳐보는 부정행위를 일삼는 현대인들의 관음증에 대한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에 관음증의 요소를 도와주게 되는 매체가 바로 핸드폰이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제시 함으로써, 디지털 문명에 중독되어 가는 인간 군상들을 단순한 실루엣으로 표현하였는 데, 이는 현대인의 부정적인 자아 및 정체성에 대한 표현이며, 현실에서 자신을 숨기 면서도 남의 사생활을 탐닉하는 부정적인 자화상의 비유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도시 이미지는 우리 시각에는 아름답게 보이지만 겉으로만 화려하게 장식된 가식적인 역할 을 담당한다. 가식적(假飾的)은‘무엇인가를 좋게 보이려고 일부러 거짓으로 꾸미는’ 뜻의 사전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현대인들이 현실에서 받는 스트레스나 억압으로 인 해 느끼는 불만과 불안의 심리들은 작품에서 여러 가지 색채로 표현된다. 감정 또한 색채로 대체되는데, 미술치료에서는 흔히 쓰이는 색채에 대한 상징적인 의미들이 무수 히 많다. 예를 들어 흑백의 색채는 주로 우울감, 죽음, 비애, 희미함 등의 여러 부정 적인 의미를 내포하지만, 반대로 뚜렷하면서도 청결하고 자기 자신을 두드러지게 나타 내려는 성격을 내포하기도 한다. 검정은 자신을 숨기려는 방어기제의 색채로 쓰이기는 하지만, 예술적인 의미를 지니는 색채로 쓰인다. 한국화에서 주로 사용하는 거친 화 필, 산수의 자연 친화적인 풍류의 삶을 다룬 작품들에서 쓰이는 검은색은 그 나름의 의미를 담고 있다. 하지만 심리학적 측면에서는 정신적인 갈등에서 헤어 나오지 못한 불안감, 자신에 대한 불신과 반항심의 표출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언급한 익명성은 자신을 숨기기 위한 방어기제로 작용한다. 현대인들이 느끼는 부정적인 정서는 이러한 방어기제로부터 나온다. 인간의 행동이나 심리에서 표 출되는 언어 및 감정은 예술 작품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보면, 어두 운 흑색의 빌딩들과 조명의 밝은 색감들은 배경화면에 나오는 흑백의 군상들과 강한 대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거대한 건물들은 급속도의 산업화로 발전하고 있는 문명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기도 하지만, 아름다운 풍경의 이미지를 위해 배경화면의 분 위기를 더 돋보이게 표현해주는 수단이기도 하다. 풍경 안에 존재하는 인물들의 형태 도 연구자의 시각에 따라 극사실주의적 표현보다는 사실적인 묘사를 거의 배제하고 디 자인적인 요소의 선, 면, 색의 단순하고 기계적인 묘사로 표현되었다. 이는 감정이 사 라져가는 현대 사회에 사는 군상들의 자화상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도시 의 가식적인 이미지에 군상의 단순한 이미지를 추가하여 관람자에게 작품의 의도를 정 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작품에서 사용된 오브제는 블라인드와 거울의 소재를 활용하였는데, 거울은 관객들 이 직접 체험하는 기회를 주는 한편, 현실에 존재하는 우리들의 모습을 그대로 비춰주 는 역할을 한다. 블라인드는 현대 사회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훔쳐보기, 타인의 사생 활 침해 등의 부정적인 의미를 함축한다. 이러한 오브제의 사용은 시각적 다양화와 함 께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평면회화의 변형으로써, 기존의 미술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 운 미술 언어를 구축하고자 하는 의도로 볼 수 있다. 평면과 입체의 뚜렷한 경계를 허 물며 같이 통합시키는 새로운 시도를 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익명성에 나타나는 현대인들의 심리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념을 정확 하게 이해하며, 디지털 문명에 나타난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점들이 다양한 미술 언 어로 어떻게 풀어낼 수 있는가에 대한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대 도시 사회 문명의 문제점을 다양한 미술표현을 통해 완성된 연구자의 작품을 통해서 자각하게 하고, 나아가 미술이라는 장르가 사회, 윤리, 경제 등의 문제와 통합되면서 광범위한 범위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방법으 로 앞으로도 연구자의 작업 진행 방향은 더 다양한 미술 장르와의 연관성을 고민하면 서 더 새로운 접근 방법을 모색하고자 할 것이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Presentation of Anonymity of Modern People and Pretentious City Images in the Digital Era: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
Alternative Author(s)
Yang hoyeol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조윤성
Awarded Date
2024-02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제 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 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디지털 시대의 중독성과 현대인의 익명성에 대한 고찰 6
제 1절. 디지털 시대의 중독성 6
1-1. 과거와 현재의 중독성 비교 · 6
1-2. 중독성의 문제 · 9
제 2절. 현대인의 심리에 나타나는 익명성 17
2-1. 현대인의 익명성에 대한 정의 17
2-2. 현대인의 심리학적 분석 31
Ⅲ. 가식화된 도시 이미지에 함축된 미술 언어의 특성과 의미 · 39
제 1절. 도시 이미지의 형태적 특성 39
1-1. 도시 이미지의 함의 · 39
1-2. 도시 이미지의 구성요소 41
1-3. 미술 언어로서 회화적 특성 51
제 2절. 도시 이미지에 표현된 미술 언어의 의미 73
2-1. 비언어적인 수단으로서의 의미 73
2-2. 이미지에 대한 미술 언어의 재해석 76
2-3. 형식과 내용 구조에 대한 분석 78
Ⅳ. 도시 이미지에 나타난 현대인의 내면 탐구와 회화적 표현에 대한 연구자의 작품 분석 84
제 1절. 현대인의 자화상으로서 내면 분석에 따른 연구자 작품에 관한 연구 84
1-1. 작품의 배경 84
1-2. 연구자 작품의 내용적 구조와 의의 87
1-3. 연구자 작품의 형식적 구조와 의의 · 101
제 2절. 가식화된 도시 이미지의 회화적 표현 109
2-1. 연구자 작품의 도시 이미지의 묘사 109
2-2. 가식화된 풍경의 회화적 표현과 구도 111
2-3. 작품에 나타난 도시 자화상의 심층적 의미 표현 120
Ⅴ. 결 론 · 135
(참고문헌) · 138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양호열. (2024). 디지털 시대 현대인의 익명성과 가식화된 도시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93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4254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4-02-2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