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The Effect and Mechanism of Prokinetic Agents on Pacemaker Activity in Digestive System

Metadata Downloads
Author(s)
황성요
Issued Date
2024
Abstract
위, 소장, 대장의 카할 간질세포에서 발생되는 향도잡이 활동도에 대한 위장관촉진제 비교 연구 HUANG XINGYOU 지도교수: 최석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과학과 서론 : 카할 간질세포는 위장관의 향도잡이 세포로 평활근 수축을 조절 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위장관촉진제는 위장관에 소화를 도와주는 역할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향도잡이 세포인 카할 간질세포 에 대한 기능은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위, 소장, 대장 의 카할 간질세포에서 발생되는 향도잡이 전압 활동도에 대한 위장관촉 진제의 효과를 관찰하였고 관련 기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 위장관촉진제의 기능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자는 마우스의 위, 소장 그리고 대장에서 카할 간질세포를 배양하였고 배양된 세포를 이용하여 whole cell patch clamp 방법을 실시하였다. 결과 : 위, 소장 그리고 대장의 카할 간질세포에서 기록된 정상 향도잡 이 활동도는 소장에서 규칙적이고 빠른 빈도의 향도잡이 활동도를 보여 주었고 위 카할 간질세포에서는 규칙적이지만 소장보다 느린 빈도의 향 도잡이 활동도를 확인하였다. 대장의 카할 간질세포에서는 비규칙적이 고 느린 빈도의 향도잡이 활동도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위장관촉진제 중 cisapride 처리는 위, 소장 그리고 대장의 카할 간질세포에서 탈분 극 현상을 관찰되었고 대장의 카할 간질세포에서만 향도잡이 활동도의 빈도를 증가시켰다. Mosapride의 투여는 위 그리고 소장 카할 간질세 포의 작은 탈분극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대장 카할 간질세포의 향도잡 이 활동도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Metoclopramide는 위와 대장 카할 간질세포의 탈분극을 유발하였고 특히 대장 카할 간질세포의 향도 잡이 활동도의 빈도를 증가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하지만 소장에 대 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Pruclaopride의 경우 metoclopramide와 같이 위와 대장 카할 간질세포의 탈분극을 유발하였고 역시 대장 카할 간질세포의 향도잡이 활동도의 빈도를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domperidone은 위, 대장 그리고 소장의 카할 간질세포의 탈분극을 유 발하였고 특히 대장에서 흥분성 신경전달물질과 비슷한 강한 탈분극 및 빈도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위장관촉진제에 대한 5-HT4 수용체의 기능 을 확인하고자 5-HT4 수용체 억제제와 위장관촉진제를 동시에 투여한 결과 mosapride에 의해 발생되는 위 그리고 소장에 탈분극이 억제됨 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위장관촉진제는 실제 임상에 많이 사용되는 약물로 중요한 역할 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위장관촉진제의 위, 소장 그리고 대 장 카할 간질세포의 효과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위장관촉진제가 아닌 특정 소화관에 선택적인 처 치가 가능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Alternative Title
위, 소장, 대장의 카할 간질세포에서 발생되는 향도잡이 활동도에 대한 위장운동촉진제의 비교 연구
Alternative Author(s)
XINGYOU HUA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과학과
Advisor
Seok Choi
Awarded Date
2024-02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
1.1 Gastrointestinal (GI) tract and its functions 1
1.2 Slow waves and its mechanism 1
1.3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 3
1.3.1 Morphology and identification of ICC 4
1.3.2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CC 4
1.3.3 Functions of ICC 5
1.4 Prokinetic agents 6
1.4.1 Classification of prokinetic agents 6
1.4.2 The functions of prokinetic agents in GI tract 7
1.5 Thesis purpose 8
2. MATERIALS AND METHODS 9
2.1. Laboratory animals and ethic guidelines 9
2.2. ICC preparation from stomach, colon and small intestine 9
2.3. Current-clamp recording 10
2.4. Solutions 10
2.4.1. Enzymatic solution 10
2.4.2 Ca2+-free hank’s solution 11
2.4.3. Extracellular solution 11
2.4.4. Intracellular solution 11
2.5. Drugs and chemicals 11
2.6. Statistical analysis 12
3. RESULTS 13
3.1 Recording pacemaker activity generated by ICC in stomach, colon and small intestine 13
3.2 Effects of cisapride on ICC activity in stomach, colon and small intestine 14
3.3 Effects of mosapride on ICC activity in stomach, colon and small intestine 16
3.4 Effects of metoclopramide on ICC activity in stomach, colon and small intestine 17
3.5 Effects of prucalopride on ICC activity in stomach, colon and small intestine 18
3.6 Effects of domperidone on ICC activity in stomach, colon and small intestine 19
3.7 Effects of cisapride on ICC activity in the stomach, colon and small intestine with 5-HT4 receptor antagonist 20
3.8 Effects of mosapride on ICC activity in the stomach, colon and small intestine with 5-HT4 receptor antagonist 22
4. DISCUSSION 23
5. REFERENCES 27
6. ABSTRACT 35
7. ACKNOWLEDGEMENT 36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황성요. (2024). The Effect and Mechanism of Prokinetic Agents on Pacemaker Activity in Digestive System.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92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3902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4-02-2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