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음악중심 융합교육에 대한 운영 실태 분석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지윤
Issued Date
2024
Keyword
음악중심 융합교육, 융합인재교육(STEAM),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Abstract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음악중심 융합교육에 대한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음악중심 융합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음악중심 융합교육 운영에 대하여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 소재의 중∙고등학교 중 54개교 현직 음악교사 5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별(성별, 연령, 학교급, 교육경력, 융합교육 관련 연수 경험, 융합교육에 관한 관심도, 현재 담당하는 음악교과의 주당 수업 시수)로 나타난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중심 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교사들의 인식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고 음악중심 융합교육이 현장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로 음악중심 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부족으로 보기는 어려웠다.
둘째, 음악중심 융합교육에 관한 인식에서는 음악 교사들이 음악중심 융합수업을 어떻게 구성하고 이 수업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어떠한 것들이 갖춰져야 하는지에 대해 전반적으로 잘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음악중심 융합교육의 운영 현황에서는 운영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경우 평가 결과의 환원, 지속적으로 운영할 의향 등에 있어서 필요 이상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운영 경험이 없는 교사들의 경우에는 이 수업에 대한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교재연구 시간 등이 부족하여 어려움이 있어 기피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향후 운영에 대한 의지가 있었으며 음악중심 융합수업을 운영하는데 우선적으로 중요시되어야 하는 부분 또한 비교적 잘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음악중심 융합교육의 문제점으로는 한 학급 내 학생들의 수준 차이로 인한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이는 한 학급 내 학생 수의 과다로 인한 음악중심 융합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기는 어려웠으며 적어도 이 연구에 참여한 음악 교사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하여 해결 방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음악중심 융합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앞서 언급한 학급 내 학생들의 수준 차이로 인한 어려움의 해결 방안으로 융합교육을 위한 교사의 재량권 확보, 수업에 즉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공유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이었다.
끝으로 학교 현장에서 음악중심 융합교육이 효과적으로 활발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어려움과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실제적인 사례 연구를 통하여 수업에 적용하고자 하는 현장의 교사들의 의견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음악중심 융합교육에 대한 향후 운영방안을 끊임없이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주제어: 음악중심 융합교육, 융합인재교육(STEAM),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operational status of music-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and to prepar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music-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is. Accordingly, 56 incumbent music teachers in 54 out of 16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16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nationwid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for the operation of music-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an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school level, educational experience,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interest in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number of class hours per week in the music subject currently in charge)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derived accordingl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generally had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music-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and it was difficult to see it as a lack of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music-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because music-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was not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Second, in the perception of music-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music teachers were generally well aware of how to organize music-centered convergence classes and what needs to be prepared for this class to be effective.
Third, teachers with operational experience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the reduction of evaluation results and the willingness to continue operating, and teachers with no operational experience recognized the need for this class, but avoided it due to difficulties due to lack of textbook research time. However, he was willing to operate in the future and recognized the areas that should be prioritized in operating music-oriented convergence classes.
Fourth, as a problem with music-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students in one class were highly aware of the difficulties caused by differences in levels. It was difficult to see that music-centered convergence classes were not actively conducted due to the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in one class, and at least music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considering solutions to such problems in various aspects.
Fifth, as a way to revitalize music-oriented convergence education, there was a high awareness of securing teachers' discretion for convergence education and developing and sharing various programs that could be applied immediately to classes as a solution to the difficulties caused b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tudents in the class mentioned above.
Finally, in order for music-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to be effectively operated in the school field, difficulties and problems may appear in various aspects. In order to derive a solution to this,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supplement the future operation plan for music-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by deeply analyzing the opinions of teachers in the field who want to apply it to class through practical case studies.


* Keyword: Music-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STEAM), Music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Operational Status of Music-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Alternative Author(s)
Jeong Ji-Y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Advisor
조정은
Awarded Date
2024-02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문제 2
3. 연구의 제한점 · 3
4.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5
1. 음악교육과 STEAM 교육 5
2. 선행연구의 고찰 7
Ⅲ. 연구의 방법 11
1. 연구 절차 · 11
2. 연구 대상 12
3. 연구 도구 13
4. 자료 분석 16
Ⅳ. 연구의 분석 및 결과 17
1. 음악중심 융합교육의 인식 · 17
2. 음악중심 융합교육의 실태 · 21
3. 음악중심 융합교육 운영 현황 · 34
4. 음악중심 융합교육의 문제점 63
5. 음악중심 융합교육의 활성화 방안 76
Ⅴ. 결론 및 제언 · 90
1. 결론 90
2. 제언 94
참고문헌 96
부록 10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정지윤. (2024). 음악중심 융합교육에 대한 운영 실태 분석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88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5026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4-02-2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