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학령기 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구조 기반 담화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다운
Issued Date
2023
Abstract
Children who experience language difficulties before school age may continue to struggle with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complex and diverse language, as well a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contextually appropriate communication as they enter school age. Currently, various studies have reported the results of discourse intervention in school-aged children using different research subjects and intervention techniqu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integrated results based on multiple research findings. To this end, we collected 28 domestic studies published from 2000 onwards and classified the data into different variables to determine the effect sizes.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studies, effect size analysis was conducted differently. For single-subject studies, we calculated the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PND), while for experimental studies, we computed standardized mean differences (SM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discourse intervention was high in both single-subject studies (PND 92.2%) and experimental studies (SMD 1.15), indicating a significant effect of discourse intervention. Second, we examined the effects of discourse intervention based on the grade level of the participants, disability type, intervention techniques, sessions per week, total intervention sessions, and intervention format. The effect sizes based on grade level were high in both single-subject studies (PND: lower grades 99.5%, upper grades 88.6%) and experimental studies (SMD: lower grades 1.27, upper grades 1.19).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 levels, suggesting that discourse intervention had similar effects for both lower and upper grades. Regarding the effect sizes based on disability type, single-subject studies showed high effects for all disability types (PND: intellectual disability 83.6%,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97.5%, language learning disability 97.9%, autism spectrum disorder 99.2%), while experimental studies indicated high effects for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intellectual disability (SMD: autism spectrum disorder 0.8, intellectual disability 1.2,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1.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sability types, indicating similar intervention effects across different disability types. When examining the effect sizes based on intervention techniques, single-subject studies showed high effects for all techniques except for books (PND: verbal expression 62.9%, visual aids 96.4%, repetition 99.5%), while experimental studies demonstrated high effects for all intervention techniques (SMD: verbal expression 0.8, visual aids 0.8, other 1.2, repetition 1.4, books 2.0). When multiple intervention techniques were combined, both single-subject studies (PND: verbal + books 99.2%, books + visual 100%) and experimental studies (SMD: books + visual 1.1, verbal + books 1.5, verbal + visual 1.5) showed high effect sizes, indicating that using multiple intervention techniques resulted in higher intervention effects compared to using a single intervention technique. In terms of the effect sizes based on sessions per week, single-subject studies (except for once a week, PND 55.5%) showed high effects for weekly sessions (PND: three or more times a week 89.1%, twice a week 97.7%), while experimental studies demonstrated high effects for twice a week (SMD 1.2) and three times a week (SMD 1.3). Regarding the effect sizes based on total intervention sessions, single-subject studies (except for 1-9 sessions, PND 59.2%) showed high effects for all session ranges (PND: 21 sessions or more 95.8%, 16-20 sessions 97.8%, 10-15 sessions 100%), and experimental studies demonstrated high effects for all session ranges (SMD: 21 sessions or more 1.0, 1-9 sessions 1.3, 10-15 sessions 1.3, 16-20 sessions 2.0).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session ranges. When examining the effects based on intervention format in experimental studies, all formats showed high effects (SMD: group of 5 or more 0.8, group of 5 or less 1.0, individual 1.3),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when exploring the effects of discourse intervention on discours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both single-subject studies (PND: comprehension 89.5%, production 98.9%) and experimental studies (SMD: production 1.0, comprehension 1.5) demonstrated high effect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Most of the studies included in this analysis had a small sample size, which may have led to an overestimation of the effect siz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a more diverse range of research subjects and intervention design types to obtain results that are more representative. Nevertheless, this study provides integrated results of the effects of discourse intervention and presents effect sizes related to representative types of school-aged language disorders and intervention techniques. This information can be valuable for future research designs focusing on different disability groups and intervention techniques, as well as for clinical practice in the field.|학령전기 언어적 어려움이 학령기까지 이어진 아동은 점차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언어를 이해하고 표현하거나 탈맥락적 의사소통에 제한이 나타나고 학령기에 접하는 다양한 담화적 어려움이 나타난다. 현재 다양한 연구 대상, 중재 기법을 사용하여 학령기 아동의 담화 중재 결과가 보고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다수의 연구 결과에 따른 통합적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2000년부터 출간된 국내 28편의 연구를 수집하였고 각 데이터를 변인별로 나누어 효과크기를 분류하였다. 연구의 실험설계에 따라 효과크기 분석을 달리 하였는데 단일대상연구의 경우 비중복비율(PND), 실험연구의 경우 표준화된 평균 차이(SMD)를 계산하였는데 단일대상연구는 Mann-Whitney검정과 Kruskal-Wallis 검정, 실험연구는 cma를 통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화 중재의 전체 효과크기는 단일대상연구 PND 92.2%, 실험연구 SMD 1.15로 두 실험 설계 모두 높은 효과크기로 담화 중재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담화 중재의 효과를 연구 대상의 학년과 장애유형, 중재 기법과 주당 중재 회기, 총 중재 회기, 중재 형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년에 따른 효과크기는 단일대상연구(각 PND : 저학년 99.5%, 고학년 88.6%)와 실험연구 실험설계(각 SMD : 저학년 1.27, 고학년 1.19) 모두 높게 나타났지만 학년 간의 효과크기 차이는 유의하지 않아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담화 중재 효과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단일대상연구는 모든 장애유형에서 높은 효과가(각 PND : ID 83.6%, SLI 97.5%, LLD 97.9%, ASD 99.2%), 실험연구는 단순언어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지적장애에서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각 SMD : ASD 0.8, ID 1.2, SLI 1.4). 각 장애유형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장애 유형간 중재 효과는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기법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보았을 때 단일대상연구는 도서(PND 55.5%)를 제외한 각 기법에서 높은 효과크기(각 PND : 구어적 표현 62.9%, 시각적 도식 96.4%, 중복 99.5%) 실험연구는 모든 중재 기법(각 SMD : 구어적 표현 0.8, 시각적 도식 0.8, 기타 1.2, 중복 1.4, 도서 2.0)에서 높은 효과를 나타났고 중재 기법이 중복 활용된 경우 역시 단일대상연구와(각 PND : 구어+도서 99.2%, 도서+시각 100%)와 실험연구(각 SMD : 도서+시각 1.1, 구어+도서 1.5, 구어+시각 1.5) 모두 높은 효과크기로 나타나 단일 중재 기법과 한 가지 이상의 중재 기법을 함께 활용하였을 때의 중재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회기에 관한 효과크기를 살펴보았을 때 주당 중재 회기에 따른 효과크기의 경우 단일대상연구는 주 1회(PND 55.5%)를 제외한 주당 회기에서(각 PND : 주 3회 이상 89.1%, 주 2회 97.7%) 높은 효과가 나타났고 실험연구는 주 2회(SMD 1.2)와 주 3회(SMD 1.3)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다. 총 중재 회기에 따른 효과크기는 단일대상연구는 1-9회기(PND 59.2%)를 제외한 회기(각 PND : 21회기 이상 95.8%, 16-20회기 97.8%, 10-15회기 100%)에서 높은 크기, 실험연구는 모든 회기(각 SMD : 21회기 이상 1.0, 1-9회기 1.3, 10-15회기 1.3, 16-20회기 2.0)에서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각 중재 회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연구의 중재 형태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각 형태에 따른 높은 효과(각 SMD : 5인 이상 0.8, 5인 이하 1.0, 개별 1.3)를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담화 중재의 담화 이해와 산출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단일대상연구(각 PND : 이해 89.5%, 산출 98.9%)와 실험연구(각 SMD : 산출 1.0, 이해 1.5) 모두 높은 효과를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분석에 포함된 연구 대부분이 5인 이하로 구성되어 효과크기가 과대 추정되었을 위험이 나타나 보다 다양한 연구 대상과 중재 설계 유형이 포함된 결과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담화 중재 효과의 통합적 결과와 함께 대표적 학령기 언어장애 유형과 중재 기법에 관한 효과크기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후 다양한 장애군, 중재 기법에 관한 연구 설계는 물론 임상 현장의 실제적 차원에 유의한 정보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discourse intervention based on story structure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 A meta-analysis
Alternative Author(s)
Kim Da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언어치료학과
Advisor
정부자
Awarded Date
2023-08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2

Ⅱ. 이론적 배경 3
A. 학령기 언어장애 정의 및 특성 3
B. 학령기 언어장애 담화 능력 6
C. 담화 중재 9
1. 구어적 표현을 활용한 중재 10
2. 시각적 도식을 활용한 중재 11
3. 도서를 활용한 중재 12
4. 기타 담화 중재 기법 13
D. 메타분석 13

Ⅲ. 연구 방법 15
A. 메타분석 실시 절차 15
1. 연구 검색 및 선정 16
2. 자료 입력 18
3. 데이터 분석 20

Ⅳ. 연구 결과 23
A. 전반적 특성 23
1. 출판연도 및 출판유형, 실험 설계 유형 23
2. 중재 관련 변인별 특성 25
B. 단일대상연구 효과분석 28
1. 전체 효과크기 32
2. 연구 대상, 중재 구성 변인별 효과크기 33
3. 종속변인별 효과크기 36
C. 집단연구 메타분석 37
1. 전체 효과크기 41
2. 연구 대상, 중재 구성 변인별 효과크기 42
3. 종속 변인별 효과크기 49
4. 출판 편향 분석 50

Ⅴ. 논의 및 결론 53
A. 전체 효과크기 53
B. 연구 대상 및 중재 구성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55
1. 연구 대상에 따른 효과크기 55
2. 중재 구성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56
C. 종속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59
D.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60

참고문헌 62

부록 82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다운. (2023). 학령기 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구조 기반 담화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85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272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