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일상 오브제의 기호 작용을 통한 조형적 반복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다영
Issued Date
2023
Keyword
일반 오브제, 기호, 반복
Abstract
산업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현대사회는 급변하게 되었다. 자본주의사회의 도래로 사람들은 생산을 위해 개인의 시간을 빼앗겼고 그 결과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는 시간마저 잃게 되었다. 이는 자연스레 상대적이고 일시적인 욕망만을 추구하는 결과를 낳았고 현대인들을 소비사회로 이끌었다. 이러한 변화는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의 분야에도 영향을 끼쳤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대량생산되는 상품들과 그들의 구매를 장려하는 광고, 드라마, 영화, 게임 등의 미디어 매체들이 넘쳐나는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미디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단순한 상품이나 캐릭터 설정이 아니라 기호로서 역할을 부여받게 되었다. 기호들은 상호작용하며 사람들을 가상세계에 몰입하게 만들었고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가짜들이 출현하기 시작했다. 이제 가상세계의 기호들은 진짜 모델을 넘어서 그들에게 독립되어 독단적인 코드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은 발전하는 산업·과학·기술과 자본주의 사회로부터 파생한 기성품들이 회화 안에서 기호로서 작용하는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기성품을 욕망하는 현대인들의 소비욕구와 이에 바탕이 되는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러한 움직임이 만들어낸 오브제 미술의 등장과 형성 과정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어서 본인의 연구 작품 속 일상적 오브제의 의미와 쓰임에 대해 정의 내려 보고자 한다. 연구 작품은 평면회화로부터 일상적 오브제의 침입에 의해 공간의 확장이 이루어진다. 단색의 바탕으로부터 시작된 화면은 단순화와 우연성에 의한 조형 표현을 통해 주관적인 감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평면 조형 요소는 복잡한 사회 속 단순화된 감각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소비 형태를 기반으로 한 조형요소이기도 하다. 그 뒤에 따라오는 일상 오브제의 접착은 화면의 조형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화면 속 기호들은 서로가 가진 특징들을 회화적 조형 요소로 드러내면서 점점 쌓이는 중첩의 과정을 거쳐 가려지거나 약간의 흔적을 남기는 형태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반복을 거치며 기호들은 화면의 전체적인 통합을 이룬다. 단순화와 우연성을 기반으로 한 조형요소들과 일상 오브제의 상호작용은 계속되는 중첩의 연속성과 반복, 이후에 나타나는 조화를 보여주며, 그림을 보는 이에게 그로부터 파생되는 감각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해준다. 연구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구 작품 속 회화 공간이라는 한계를 없애며 관람자의 시각을 넓히고 그들과의 상호 소통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일상 오브제와 회화 속 평면 조형 간의 조화에 관한 본 논문의 연구는 연구자의 주관적인 감각을 넘어 지금을 살아가는 사람들 전체의 공통되는 감정들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생활 속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기성품들이 평면 조형 요소와 함께 어울리며 보여주는 기호 작용은 보는 이들에게 물체에 대한 인식과 감각의 공감을 가져다준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다룬 과정들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면서 작품을 관람하는 사람들과 회화 공간을 넘어 사회 전체의 조화를 이루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Modern society has changed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science and technology. With the advent of capitalist society, people took away their personal time for production, and as a result, they lost even the time to focus on themselves. This society naturally resulted in the pursuit of only relative and temporary desires and led modern people to a consumer society.
These changes have affected not only daily life but also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 Today, modern people live in a world full of mass-produced products and media outlets such as advertisements, dramas, movies, and games that encourage their purchases.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media have been given roles as symbols, not simple goods or character settings.
The symbols interacted and made people immersed in the virtual world, and fakes that were more real than the real ones began to appear. Now, the symbols of the virtual world go beyond real models and are recognized as independent and arbitrary codes.
This thesis describes the process in which ready-made articles derived from developing industry, science, technology and capitalist society act as symbols in pain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onsumption desire of modern people who desire ready-made goods and the social background that is based on it, and to find out the emergence and formation process of object art created by this movement.
Next, I would like to define the meaning and use of everyday objects in my research work. In the research work, the expansion of space is achieved by the invasion of everyday objects from two-dimensional paintings. The screen, which started from a single color background, conveys subjective emotions more effectively through formative expressions based on simplification and contingency. Two-dimensional formative elements are also formative elements based 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modern people who pursue simplified senses in a complex society.
The adhesion of daily objects that follow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formative elements on the screen to interact. The symbols in the screen reveal each other's characteristics as pictorial formative elements, creating forms that are either hidden or leave traces through the process of gradually piling up. Through this repetition, the symbols form the overall integration of the screen. The interaction of formative elements and everyday objects based on simplification and contingency shows the continuity and repetition of continuous overlapping, and the harmony that emerges later, effectively conveying the senses derived from it to the viewer. Through this process, the researcher removes the limitations of the painting space in the research work, broadens the perspective of the viewer, and pursues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m.
The research of this thesis on the harmony between everyday objects and two-dimensional forms in paintings aims to elicit common emotions of all people living now beyond the subjective senses of the researcher. The semiotic effect of ready-made items that are commonly encountered in daily life, combined with two-dimensional formative elements, brings awareness of objects and sympathy of senses to the viewer. In this thesis, it is meaningful to achieve harmony with the entire society beyond the painting space and the viewers of the work while visually implementing the processes discussed above.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Formative Repetition Through the symbolic action of everyday objects
Alternative Author(s)
Kim Da-y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조윤성
Awarded Date
2023-08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3

Ⅱ. 회화에서 일상 오브제의 등장과 발전 4
A. 소비사회 속 일상 오브제 4
1. 오브제의 개념과 정의 4
2. 오브제 속 일상 오브제의 특징 5
B. 선행 작품에서 일상 오브제의 출현 8

Ⅲ. 일상 오브제의 기호 작용과 반복성 13
A. 오브제의 기호 작용 13
1. 시뮬라시옹에서 오브제의 활용 13
2. 기호로 작용하는 일상 오브제 17
B. 일상 오브제와 평면 조형 20
1. 단순화를 통한 평면 조형 표현 20
2. 우연성의 회화적 적용 25
3. 일상 오브제와 평면 조형의 중첩 28
4. 반복을 통한 조형 요소들의 통합 30

Ⅳ. 본인 작품에서 일상 오브제와 반복성 연구 34
A. 평면 조형을 사용한 주관적 감각 표현 34
B. 일상 오브제의 중첩과 회화 공간의 확장 39
C. 반복성이 만든 기호들의 통합 45

Ⅴ. 결론 53

【 참고문헌 】 55

【 참고도판 】 57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다영. (2023). 일상 오브제의 기호 작용을 통한 조형적 반복성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84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259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