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공간을 표현한 담채회화의 치유성 연구
- Author(s)
- 손홍려
- Issued Date
- 2023
- Keyword
- 일상공간, 담채회화, 치유성
- Abstract
- This study takes daily space as the form of expression and explores the healing and significance of painting works through the method of color fading.
In visual arts, color is a very important method of conveying emotions and feelings. Depending on the expression method, the color expression techniques used in Western painting also present different feelings. In Western painting, the techniques of using oil paint to express are the Glacis technique (using transparency in color) and the Brush Stroke technique (Plasticity). This is an effective way to express painting and convey emotions with brush. In the process of painting creation, the author aims to demonstrate healing in their works through techniques that demonstrate healing. Subjectively changing the author's emotions through daily private spaces. In addition, the use of light color expression methods in oriental painting further characterizes the healing power of painting that is intended to be conveyed through color. Therefore, the author creatively created the images in the work and conveyed the author's emotions and ideas. Pastel color is a method of expression used in Eastern painting, which represents daily private spaces as works of art. This author aims to further deepen the research on painting works that can produce healing effects.
The unique color expression in painting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onveying subjective ideas visually. The pastel colors create a sense of security, which can be seen as a manifestation of healing. Due to the imbalance between matter and health in modern society, many mental problems such as human alienation, depression, and panic disorder have emerged. Therefore, in modern times,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effectively prevent and treat psychological problem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The development of psychology and psychiatry in the 20th century has shown that art is related to the unconscious which beyond language, and the report points out that artistic expression can become a way to understand the complex inner world of humanity. Therefore, recently art works have been used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and visual communication for psychotherapy. The author creates this works based on the healing bring up by painting.
The research is not intended to study ‘cure’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y, but to show the ‘cure’ effect of color through painting. In visual arts, the technique of ‘pastel color’ is used to prove the healing power of color.
The 'space' of painting is a painting framework that is detached from the physical structure. Create a painting space through the composition of images in the ‘painting form’. Space is an important feature and element of ‘painting form’. The spaces in the works are mostly indoor spaces or private spaces that look out from indoor spaces. A house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spiritual meaning and spatial meaning. The study has shown that people most want a space that can make them comfortable in situations of depression, anxiety, and emotional instability. The places that can make themselves feel comfortable are in the daily living space and private space. The author have demonstrated the spiritual meaning of space ‘Home’ in their paintings - ‘Home’ is mainly expressed in lines and pastel colors, creating a healing effect on the private space in the works. Showing a calm and lithe color sense, bright and clear, light and bright spatial sense, and thin color sense. The warmth and comfort displayed in this way make people look forward to the effect of "healing".
This author systematically studied the expression of pastel color and the healing exhibited in paintings. In addition, based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and the artistic environment, the contemporaneity of author’s works is emphasized. The main expression method is the ‘lithe and bright characteristics’ of pastel co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familiar and comfortable feeling for viewers, with the theme of daily space, and to make the work healing. Therefore, the author systematically explores the various forms, content, and significance of healing painting. The author aims to objectively establish the healing characteristics of works through a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본 연구는 일상적인 공간을 표현의 형식으로 삼아 담채(淡彩) 표현법을 통해 회화 작품에서의 치유성과 그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시각 예술에서 색채는 감정과 감각을 전달하는 방법이다. 서양회화에서 사용하는 채색기법은 표현방법에 따라 느낌이 다르다. 서양 회화에서 유화로 표현하는 기법 중에는 Glacis 기법(투명성을 이용한 채색기법)과 Brush Stroke 기법(Plasticity)이 있다. 이는 붓으로 회화를 표현해 감정을 전달하는데 표현 효과를 가진 기법이다. 회화 창작 과정에서 연구자는 치유성을 나타낼 수 있는 표현기법을 통해 작품에서 치유성을 나타내고자 한다. 연구자는 화가의 감정을 일상의 사적인 공간을 통해 주관적으로 변형하였다. 동양 회화에서 사용되는 담채를 인용하여 색채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회화의 치유성을 한층 더 부각시켰다. 본 연구자는 작품 속 이미지가 전달하고자 하는 감정과 생각을 독창적으로 창작하였다. 동양회화에서 사용되는 담채표현법으로 일상의 사적인 공간을 예술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자는 회화를 통해 치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작품을 한층 심화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회화에서의 독특한 색채 표현은 화가의 주관적인 생각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담채의 맑고 옅은 색감은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이러한 안정감은 일종의 치유성의 체현이라고 볼 수 있다. 현대사회는 물질과 건강의 불균형으로 인간소외와 우울증, 공황장애 등 정신적인 문제들이 많다. 이로 인해 현대에 와서는 정신 건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심리적인 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20세기의 심리학과 정신의학의 발전은 미술이 언어를 넘어선 무의식과도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발전은 미술이 인간의 복잡한 내면세계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표면으로 드러나게 하는데 기여했다. 그리하여 현대의 미술 작품은 자기표현과 시각적 소통의 수단으로서 심리 치료 부분에 자주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회화가 주는 치유성에 바탕을 두어 유화 담채 작품을 창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치유(治癒)’를 심리학적으로 접근하려는 것이 아니라 회화를 통해 색채가 주는‘치유’의 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시각예술의 꽃인 회화에서 색채가 치유성을 담고 있다는 것을 ‘담채’라는 표현기법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미술 작품에서‘치유’요소의 표현은 미술사 또는 회화 연구 분야의 어느 화파에서도 주로 다루지 않는다. 동시대 젊은 작가들의 새로운 창작 패턴이나 창작의 특성을‘치유’와 연관시키지도 않는다. 단지, 작가들은 작품을 통해 관객에게 마음의 위안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어떤‘치유’의 효과가 있기를 바랄 뿐이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회화적 표현으로의‘치유’는 색의 느낌과 색이 주는 감정을 담채 기법으로 구현하고자 했다. 연구자의 작품에서‘담채’는‘치유성’에 대한 해석의 중요한 핵심이 된다.
회화에서의‘공간’은 물리적 구조를 벗어난 회화의‘틀’과도 같다. 회화 형식에서 작가는 화면 구성으로 회화공간을 창조한다. 공간은 회화 형식의 중요한 특징이자 요소이다. 연구자의 작품 속‘공간’은 대부분 실내 공간이거나 실내 공간에서 외관을 바라보는 사적인 공간이다. 집은 정신적인 의미와 공간적인 의미로 나눌 수 있다. 사람이 우울하고, 초조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서 가장 원하는 것은 편안함이다. 자신을 편안하게 해주는 곳은 일상의 공간이며 사적인 공간이다. 연구자는 정신적인 의미로의 공간인‘집’을 회화 작품 속에서 보여준다. 선과 담채를 주된 표현법으로 사용하여 사적인 공간을 치유의 효과가 있는 작품으로 창작하였다. 그리고 차분하고 가벼운 컬러감과 화사하고 맑은, 엷고 밝은 느낌의 넓은 공간감, 무겁지 않은 색의 느낌으로 표현했다. 이렇게 표현된 아늑함과 편안함은‘치유’의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본 연구자는 담채의 표현방법과 회화에서 나타난 치유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또한, 현대사회와 예술 환경의 발전 형태를 바탕으로 연구자 작품의 동시대성을 강조한다. 바로 담채의‘얇고 밝은 특징’을 주된 표현 방법으로 삼은 것이다. 일상의 공간을 주제로 하여 익숙함과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치유성을 갖는 것이 본 연구자의 연구목적이다. 연구자는 치유 회화의 다양한 표현형식과 내용 및 의미를 체계적으로 탐구하려 한다. 연구자 작품의 특징적 효과를 이론과 실천을 통해 객관적으로 확립하기 위함이다.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Healing Characteristics of Pestal Painting Expressed in Daily Space :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
- Alternative Author(s)
- SUN HONGLI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 Advisor
- 김유섭
- Awarded Date
- 2023-08
-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2
제2장 담채(淡彩)와 일상 공간에 대한 고찰 4
제1절 담채의 개념과 표현형식 4
1. 담채의 개념과 특징 4
2. 담채의 표현형식 7
가. 농도변화에 의한 담채의 특징 8
나. 두께 변화에 의한 담채: 얇은 색채 8
다. 명도 변화에 의한 담채: 밝은 색채 9
제2절 동·서양화의 담채표현 11
1. 동양의 담채표현 11
2. 서양의 담채표현 12
3. 현대 유화 담채표현 15
제3절 담채로 표현된 일상 공간: 조형적 특징 18
1. 일상 공간의 개념 18
2. 일상 공간에 나타난 담채 표현의 특성 20
가. 안락함: 일상물로 이루어진 사적인 공간 20
나. 간결성: 연한 색감의 밝은 공간 21
다. 리듬성: 리듬감 있는 분할 공간 24
제3장 회화에서 나타난 치유성 특징과 분석 26
제1절 회화에서의 치유성 27
1. 치유성 개념 27
2. 회화와 감정 표현 29
3. 치유성이 나타난 회화의 구성 31
제2절 작가들의 작품에서 나타난 치유성 분석 37
1. 김전(Jin Tian): 담채 속 투명감과 유동감의 결합이 주는 치유성 39
2. 에두아르 뷔야르(ÉDOUARD VUILLARD): 일상 이미지 와 색면의 조화가 주는 치유성 42
3. 마크 로스코(MARK ROTHKO): 감정과 정신의 치유성 45
4. 클로드 모네 (Oscar-Claude Monet): 빛과 색이 교차 하는 순간의 치유성 47
제4장 연구자 작품의 치유성 형성과 전개 51
제1절 연구자 작품의 치유성 형성과 전개 51
1.연구자 작품의 배경과 형성 과정 51
2.연구자 작품의 치유성 전개 55
가. 내면의 최초 힐링 공간: 55
나. 마음이 지향하는 이상적인 공간: 56
다. 감정전환 후 마음 속 가장 조용한 공간: 57
라. 쌓이고 소화되는 정지 공간: 58
제2절 담채로 표현된 일상공간의 치유적 표현 양상 60
1. 치유적 담채 색채 60
2. 일상 이미지의 치유공간 65
3. 리듬감 있는 선과 화면 분할 73
가. 리듬감 있는 선 73
나. 다양한 형태의 화면분할 75
제3절 치유적 담채회화의 확산 81
제5장 결론 84
[표 목차] 87
[참고 도판 목차] 88
[연구자 작품 목차] 91
[참고 문헌] 93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손홍려. (2023). 일상공간을 표현한 담채회화의 치유성 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79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1808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3-08-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