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도시복개하천 복원시 하천유지용수량 산정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창연
Issued Date
2023
Abstract
In the 1970s, many cities in Korea channelized rivers and streams to efficiently utilize space. However, as the beneficial functions of urban streams were emphasized, projects to restore channelized rivers and streams are now being pursued. To restore channelized rivers, there are many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such as solving transportation problems, obtaining consent from local residents, and managing costs. However, above all else, ensuring a sustainable water supply for the rivers is essential in order to restore their functions. In this study, quantity and water quality surveys were conducted, and a method was proposed to predict the quantity of water available for utilization in channelized urban rivers when aiming to restore them. Minimum required river water quantity was also calculated to maintain the functions of a river, and various alternatives were suggested to secure the insufficient water quant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channelized rivers are mostly experiencing deterioration in water quality due to the inflow of wastewater. Therefore, in order to restore them as clean rivers,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the prevention of wastewater inflow as a preliminary step before restoration. Infiltration inflow or groundwater from adjacent areas can be utilized as river maintenance water supply. In many cases, daylighting channelized rivers is expected to result in insufficient water supply for river mainten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water sources that align with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river.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measures such as wastewater treatment plant effluent reuse, construction of small-scale reservoirs, and utilization of subway discharge water.
Urban streams are increasing the number of naturally eco-friendly spaces in the city center, minimizing the problems of covered streams, and provid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citizens are all important considerations. But it's not a problem that you can easily think of the restore problem. There are too many things to consider when restoring a restored stream. first, Since most of the superstructure part of the covered stream is used as residential and commercial facilities for citizens, there are problems to be solv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such as evacuation measures for residents, damage compensation, and compensation for private land during restoration. Secondly, as traffic dispersion measures, related to the first point, open the upper road of the covered stream, so an alternative road design is absolutely necessary according to the traffic volume of the covered stream.
Thirdly, the sewage separation and borrowing method, most of the closed streams are in the form of a combined type in which the sewage and rainwater are borrowed and discharged. When restoring streams, it is necessary to separate sewage and stream water for stream management and to develop water quality improvement plans. Fourthly, the problem of dryness measures to secure stream maintenance water, among the problems of covered streams,
If the stream is dry and the water is not used, the scenery, ecosystem, pollution level and various problems of the stream are increased. In order to restore these covered streams, the minimum amount of flow that the stream should have must be secured. In fact, studies on stream maintenance water are being conducted, and it is considered a very important factor when restoring covered streams.
As the stream becomes dry and there is no water for stream use, there will be some problems such as the increase of stream landscape, ecological system and pollution degree. In order to restore such coverd streams, the flow that the stream must keep to a minimum must be ensured.
Research on stream maintenance water is actually progressing, and it has been select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when restoring covered streams. A final issue to consider is the difficulty of securing budgets, as project costs are expected to be high to resolve all of the above considerations.
In this study, among the many covered streams in korea, among the tributaries of the ○○stream in ○○City, we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vered streams, and utilized the analysis results to estimate the minimum stream maintenance required for restoration of the coverd stream.
In this study, among many covered streams in Korea, the current state of the covered streams among the tributary streams of the ○○Stream in ○○City was analyzed, and the minimum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restoration of the covered streams was studied using the analysis results. As for the research method, continuous measurement was carried out over a long period of time rather than a short period using a water level gauge, and water quality and soil quality were divided into rainy and non-rainy periods 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he A-stream, B-stream, C-stream, and D-stream points were investigated for the covered streams of the ○○Stream, an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urrent available water volume of the A-stream was 43,000㎥/day, and the required minimum stream maintenance water volume was 35,000㎥/day
It was calculated as ㎥/day. The B-stream has 10,000㎥/day of available water, and the minimum water capacity of the stream is 17,000㎥/day. and C-stream was 2,600㎥/day of available water and 21,000㎥/day of minimum stream maintenance water. and D-stream was 2,900㎥/day of available water and 3,100㎥/day of minimum stream maintenance water Most streams require additional stream maintenance water, and even when the available water is sufficient, such as the A-stream, there are water quality problems, so it is considered that a lot of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for restoration.| 하천은 강수가 경사면을 따라 지표에 공급되어 일정한 물길을 형성하는 현상으로 물의 순환과정의 중간 단계 역할을 한다. 또한 식·생물들의 주요 서식 장소를 제공해주며 자정작용으로 수질 정화와 대기 중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까지 갖추어 사람들에게 다양한 문화의 장소 제공, 친숙한 자연환경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경제 발달과 급격한 도시화로 우리나라의 많은 도시 하천들이 복개되어있는 실정이다. 복개하천은 도시화에 여러 가지의 장점으로 하천을 복개함으로써 토지보상비, 건설비 감소와 효율적인 용지 이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시화에 특화되어있는 복개하천들은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하천의 기능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했으며, 복개하천의 가장 큰 문제로는 환경적인 문제로 복개하천 하부를 하수 차집관로로 사용되면서 복개하천 하부에 지속적인 하수 유입과 복개하천 말단부에 하수 퇴적물 및 쓰레기들이 축적되었으며 식·생물들이 살아갈 수 없는 상태로 악화되었다. 또한 기존의 하천보다 면적이 줄어 통수단면 감소와 상부의 불투수층 면적으로 도시의 하천 범람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위의 문제점들의 피해를 예방하고 하천 사용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국가에서 1961년 12월 하천법을 제정하였고 1962년 1월 1일 법을 시행하였다. 하천법은 “하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하천 사용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하천의 지정, 관리, 사용 및 보전과 비용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하천관리의 적정을 기하며 공공복리의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 법이다. 1962년 법이 시행되고 1999년 하천에 관한 금지행위가 개정되었으며 복개하천의 개정된 내용으로 다음과 같다.
‘제 71조(하천에 관한 금지행위) 누구든지 정당한 사유 없이 하천에 대하여 다음 각호의 1의 행위를 하여서는 안된다.
1. 하천유수의 저류 또는 그 방향을 변경하는 행위
2. 하천의 부속물을 손괴하거나 손괴할 우려가 있는 행위
3. 하천정비기본계획으로 정하여지지 아니한 하천의 복개행위
4. 하천의 이용목적 및 수질상황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시·도지사가 지정하는 지역에서의 야영, 취사와 떡밥·어분등 미끼를 사용하여 하천을 오염시키는 낚시행위’
이렇듯 국가에서 복개하천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으며 여러 도시에서 복개된 하천들에 대하여 복원하고 있다. 이렇게 복원된 복개하천들은 수질개선과 주민들의 자연 친화적인 환경으로 여러 문화생활들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변경되어 복개 하천들의 복원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 복개하천 복원 사례로는 서울 성북천과, 제주 산지천, 전주 노송천이 있으며 3개의 모두 복개하천의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인하여 복원을 시작하였다.
여기서 하천복원이란, 인간의 과도한 개발보다는 환경 측면에서 보호하고 복원시키고자 자연과의 조화를 찾는 일을 말하며, 건강한 하천을 유지하는 생태진화과정을 다시 찾아 만들거나 스스로 만들도록 유도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좀 더 과학기술 측면에서 보면 인간의 하천유역 개발로 교란되기 이전의 수생태의 기능과 구조, 그와 관련된 물리, 화학, 그리고 생물학적 특성의 회복을 말하며, 간단한 돌무더기와 같은 생물 서식처의 창조, 재생, 창출에서부터 하천이 갖는 대규모 물리적 형태의 다양성과 생물 서식 등 개개 요소를 통합하여 복원하는 시스템적 과정을 말한다(김규호, 2015).
여러 가지 이유로 복개하천의 복원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광주천 하천유지용수량 확보 방안(김종일, 2003)에서는 해당 지역의 하천 현황과 하천유지용수량 확보 계획과 확보 방안에 대한 연구, 자연 사회환경개선을 고려한 권역별 하천유지유량 평가, 산정 및 확보방안(금강권역)(국토해양부, 2009) 에서는 하천유지용수량의 과부족 및 공급의 신뢰성 평가 등 관리 관한 방법에 대한 연구등이 있으며 요구 및 검토가 지자체를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복개하천 복원에는 경제적인 비용 문제 이외에도 많은 타당성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여기에는 교통대책, 주변 주민의 동의, 복원 후 관리 방안 등이 해당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분은 복원 후 하천유지용수 확보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복원 후 하천에 물이 없어서 건천화되고 생태계가 단절된다면 이는 진정한 의미의 복원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개하천 복원시 고려하여야할 중요한 사항들 중 수량 및 수질 조사를 바탕으로 가용수량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필요시 하천유지용수량 확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Alternative Title
The Estimation of Stream Maintenance Water in the Daylighting of Covered City Stream
Alternative Author(s)
Park Changye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
Advisor
김성홍
Awarded Date
2023-08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 론 1

제 2 장 이론적 배경 3
2.1 하천의 개념 3
2.1.1 하천의 구성 요소 3
2.1.2 하천의 기능 5
2.2 복개하천의 개념 9
2.2.1 복개하천의 문제점 9
2.2.2 하천 복원 방법 11
2.2.3 복개하천 복원 추진시 고려사항 13
2.3 복개하천 복원 사례 15
2.3.1 국내 사례 15
2.3.2 해외 사례 20
2.4 유입수/침입수(I/I) 분석 22
2.4.1 I/I 개념 및 산정단계 22
2.4.2 I/I 산정 방법 23

제 3 장 현황 조사 및 분석 26
3.1 복개하천 현황 26
3.1.1 조사 대상 복개 하천 26
3.1.2 복개하천 과거 비교 26
3.2 복개하천 조사 방법 34
3.2.1 유량 조사 34
3.2.2 수질 및 저질토 조사 34
3.3 복개하천 유량 조사 결과 39
3.3.1 A하천 39
3.3.2 B하천 40
3.3.3 C하천 42
3.3.4 D하천 43
3.4 복개하천 수질 조사결과 45
3.4.1 복개하천 청천시 수질 45
3.4.2 복개하천 강우시 수질 54
3.4.3 복개하천의 수질 평가 63
3.5 복개하천 저질토 조사결과 64

제 4 장 연구 결과 및 분석 66
4.1 하천유지용수량 추정방법 66
4.2 하천유지용수량 산정 68
4.2.1 오수량과 불명수량 산정 68
4.2.2 복개하천 복원시 하천유지용수량 기준 77
4.2.3 복개하천별 가용수량 검토 81
4.3 수량 확보 방안 검토 83

제 5장 결론 85

참고문헌 87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창연. (2023). 도시복개하천 복원시 하천유지용수량 산정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78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351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