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건설업의 시공능력평가 변경과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강문기
Issued Date
2023
Abstract
건설업의 시공능력평가 변경과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대표적인 수주산업에 해당하는 국내 건설기업이 시공능력평가의 우위를 점하기 위하여 해당 요건의 적용시점에 즈음하여 경영평가에서의 경영평점을 양호하게 도출하기 위하여 이익조정을 행하는지를 고찰하였다.
건설산업이 시공능력평가에서 요구하는 재무비율은 2015년을 기준으로 변경되었다. 구체적으로 2015년 이전에 시공능력평가 요건 중 경영평가에서의 경영평점은 기존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 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총자본), 매출액순이익률(순이익/매출액), 총자본회전율(매출액/총자본) 등 4가지 기준에서, 2016년 이후 유동비율이 삭제되는 대신 차입금의존도(차입금/총자산)와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추가되어 5가지 기준을 적용받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들 재무비율 중 시공능력평가의 경영평점에 변경이 있는 유동비율, 차입금의존도, 이자보상비율 등에 초점을 두고 발생액과 실질활동 이익조정에 미치는 차별적이고 상대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
단변량 상관분석과 평균차이분석,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공능력평가에 유동비율이 반영된 2014년 이전에는 유동비율과 재량적발생액 및 실질활동 이익조정은 유의적인 인과관계를 가지지만, 유동비율이 시공능력평가에서 제외된 2016년 이후에는 인과적 설명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동비율이 이익조정에서 제외된 2016년 이후에는 건설기업이 유동비율을 개선하기 위한 이익조정 유인이 낮아진 것을 추론할 수 있다.
둘째, 차입금의존도가 시공능력평가에 반영되기 이전인 2014년까지는 차입금의존도가 재량적발생액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차입금의존도가 시공능력평가에 반영된 2016년 이후에는 실질활동 이익조정을 통하여 이 비율을 줄이기 위한 전략이 구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채비율, 자기자본비율 등 차입금의존도와 밀접한 재무비율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이익조정 전략과 이익조정에 대한 용이성, 감사위험, 관계당국의 감리 리스크 등을 감안하여 차별적으로 이익조정 방법이 선택된 것으로 풀이된다.
셋째, 이자보상비율은 전반적으로 재량적발생액 및 실질활동 이익조정 변수에 유의한 양(+)의 설명력을 보여다. 이는 국내 상장건설업이 전반적으로 이자보상비율을 산출과 무관하게 회사채 발행과 차입금 조달에서의 이자비용 경감, 자본시장에서의 기업가치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제공 등에서 선제적으로 영업이익을 높게 산정한 결과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시공능력평가에 이자보상비율이 반영된 2016년 이후에 재량적발생액 및 실질활동 이익조정 변수에 미치는 설명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나 이 비율의 충족을 위한 이익조정 유인이 더 크게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시공능력평가에 반영된 재무비율을 양호하게 산정하기 위한 이익조정은 전반적으로 재량적발생액 보다는 실질활동 이익조정의 설명력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즉 건설기업의 경영자는 재량적발생액보다는 상대적으로 실질활동 이익조정을 이용하여 시공능력평가의 경영평점을 충족하는 이익조정을 더 많이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은 건설기업의 경영자가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은 외부감사나 감독기관의 감리에 노출될 가능성과 그에 따른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인지하고, 결산일 이후 발생액 조정이 아닌 사전에 신용정책, 비용감소 등 실질활동 이익조정을 활용하여 기대이익을 산출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회계학적 관점에서 이익조정 대용변수로 대부분의 실증연구에서 활용한 재량적발생액 뿐만 아니라 실질활동에 의한 이익조정을 추정하여 시공능력평가에서 재무비율 변경시기에 따른 이익조정과의 연관성을 검증한 시초의 연구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산업(건설산업)에서 특정시점(2014년 이전과 2016년 이후)에 요구된 특정 재무비율(유동비율, 차입금의존도, 이자보상비율)의 변경 적용에 따라 이들 비율을 충족시키기 위한 이익조정이 전략적으로 달리 구사될 수 있는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는데 차별성이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which are representative Production–to Order industries, are performing earnings management to derive good management ratings in management evaluation at the time of application of the relevant requirements in order to gain an advantage in Evaluation System of Construction Capacity (hereafter, ESCS).
The financial ratio required by ESC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changed after 2015. Before 2015, the management rating in the ESCS is based on four criteria: the current ratio (hereafter, CR), the owners’ equity ratio, the net income to sales, the total asset turnover ratio. After 2016, instead of deleting the current ratio, borrowing dependence (hereafter, BR) and the interest coverage ratio (hereafter, ICR) ratio was add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tial and relative effects of the financial ratios on the accruals and real activity earnings management, focusing on the CR, BR, and ICR that have changed the management rating of the construction capacity evaluationESCS. The earnings management variable by the discretionary accrual (hereafter, DA) is estimated modified Jones model (Dechow et al.,1995), and the real activity earnings management (hereafter, RM) variables were estimated by the Roychowdhury(2006) model. This study presente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at verified the influence of the financial ratio change of the management rating requirements for the ESCS on these earnings management variables, DA and RM.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selected from 200 construction companies listed continuously from 2011 to 2019,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CR, BR, and ICR on the DA and RM was verified by dividing the management rating of the ESCS from 2011 to 2014 before the change of the management rating of the ESCS and from 2016 to 2019 after the change of the management rating of the ESCS.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mean differe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fore 2014, when the CR was reflected in the construction capacity evaluation. The CR and DA, CR and RM had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ut there was little causal explanation after 2016, when the CR was excluded from the ESCS. In other words, after 2016, when the CR was excluded from earnings managemen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onstruction companies have lowered the incentive for earnings management to improve the current ratio.
Second, the BR had an effect on discretionary accruals until 2014, before the borrowing dependence was reflected in the ESCS, while after 2016, when the BR was reflected in the ESCS, the strategy to reduce this ratio was used through RM. This means that the earnings management method was selected differentially considering the earnings management strategy.
Third, the IC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explanation for DA and RM overall. This is the result of the fact that the domestic listed construction industry pre-emptively calculated operating profit in terms of issuing corporate bonds, reducing interest costs in borrowings, and providing positive signals about firm value in the capital market. Nevertheless, since 2016, when the ICR was reflected in the ESCS, it was found that the explanation power on DA and RM was stronger, which could be seen as more reflecting the incentive for earnings management to meet this ratio.
Fourth, the earnings management for the good calculation of the financial ratio reflected in the ESCS showed that the explanation power of RM was somewhat higher than the DA. In other words, the managers of construction companies seem to have used more earnings management that meets the management rating of construction capacity evaluation by using real activity earnings management relatively rather than discretionary accrual. This is because the management of construction companies is likely to be exposed to the supervision of external audits or supervisory agencies and the risk is high, and it seems that they have calculated expected profits by using real activity earnings management such as credit policy and cost reduction in advance, rather than adjusting the accrual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research of the beginning that ver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arnings management according to the time of financial ratio change in the ESCS by estimating the DA and RM. This study will be differentiated in suggesting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at can be used differently strategically to meet these ratio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specific financial ratios, CR, BR, and ICR required at specific time (before 2014 and after 2016) in specific industries (construction industr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mpirical results that can establish a transparency plan for construction industry accounting by expanding technical and policy research related to accounting transparency of construction industry in previous studies and presenting empirical and analytical research result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hange of Evaluation System of Construction Capability and Earnings Manag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Alternative Author(s)
Kang, Moon Kee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김문태
Awarded Date
2023-02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표 목 차 ⅴ
ABSTRACT ⅵ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필요성 3
3. 연구의 차별성 5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7


제2장 이론적 배경 9

제1절 건설산업의 시공능력평가 9
1. 시공능력평가의 개념과 의의 9
2. 시공능력평가의 공공기관 적용사례 10
3. 시공능력평가의 연혁과 최근 주요 변경사항 20
제2절 건설산업의 수익인식에 대한 회계처리 23
1. 공사계약 진행률의 결정 24
2. 당기계약수익과 당기계약비용의 산출 26
3. 공사진행기준의 회계처리 26
4. 건설계약의 결과를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없는 경우 29
5. 건설계약의 손실인식 29
6. 건설계약에 대한 회계투명성의 인식 30

제3절 건설산업의 회계투명성 31

제3장 선행연구의 고찰 34

제1절 이익관리의 고찰 34
1. 이익관리의 동기에 관한 연구 34
2. 이익관리의 추정방법 37

제2절 건설업의 규제환경과 부식예측 및 경영성과 45
1. 건설업의 규제환경과 부실예측에 관한 연구 45
2. 건설산업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48

제3절 건설업의 회계기준 적용과 투명성 51
1. 건설산업과 회계기준 적용에 관한 연구 51
2. 건설산업의 회계품질과 가치관련성 및 회계투명성에 관한 연구 54

제4절 재무비율과 이익조정 58
제4장 연구방법론 61

제1절 연구가설의 설정 61

제2절 연구모형의 설계 63
1. 가설검증모형의 설계 63
2. 이익조정 변수의 추정 66
3. 주요 재무비율의 정의와 측정 70

제3절 표본의 선정 73


제5장 실증분석 결과 74

제1절 기술통계량 74

제2절 단변량분석: 상관분석과 평균차이분석 77
1. 상관분석 77
2. 평균차이분석 80

제3절 다중회귀분석 83
1. 유동비율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83
2. 차입금의존도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86
3. 이자보상비율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88
4. 주된 검증비율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90
제4절 추가분석 93

제5절 연구의 시사점 98



제6장 연구의 결론 및 한계 100


104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문기. (2023). 건설업의 시공능력평가 변경과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55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837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2-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