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역량 평가도구 개발 및 연수 프로그램 구성과 효과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동인
Issued Date
2022
Keyword
특수교육 교육과정, 교사 수준 교육과정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평가도구 개발과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시하였다.
첫째,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평가도구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실시하여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타당도 검토를 통해 예비 평가 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 평가 문항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현직 특수교사 10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구인타당도와 신뢰도, 문항 양호도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실시하여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수 프로그램 차별 주제와 내용을 구성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주제 및 내용에 따라 9차시를 개발하였다. 현직 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차시별 주제와 내용, 운영 방식의 적합성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G특수학교 특수교사 22명과 전라남도에 소재한 S특수학교의 특수교사 25명이며,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은 사전-사후 검증으로 설계하였다. 학교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분석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평가도구는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정도를 평가하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의 주제와 내용, 운영 방식은 연수 프로그램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일반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특수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였다. 둘째,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서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효과성 검증이 이루어지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추후 개정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평가도구와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여건이 다른 특수학교, 특수학급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셋째, 근무 기관, 유형에 따른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과정, 반영 요소, 개발 양상의 차이를 질적 연구를 통해 밝힐 필요가 있다.|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scale for evaluat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level curriculum development competency, and to verify the composition and effectiv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level curriculum development training programs.
First, items were developed by reviewing prior research to develop a scale for developing a teacher level curriculum development evaluation scale for special teachers, and preliminary evaluation items were composed through expert validity review.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eliminary evaluation items, a survey was conducted on 102 incumb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final evaluation scale was developed by analyzing construct validity, reliability, and item quality.
Second, the elements of teacher level curriculum development were derived by reviewing prior research to form a special education teacher level curriculum development training program. Based on this, discriminatory themes and contents of the training program were composed. 9 lesson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topic and content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6 incumb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t validation was conducted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topic, content, and operation method for each program period.
Third, the study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the teacher level curriculum development training program for special teachers were 22 special teachers from G special school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25 special teachers from S special school located in Jeollanam-do,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 and homogeneity was verified.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was designed as a pre-post verification. The program was operated for each school's experimental group. The effect of the collected data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scal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level curriculum development competency was found to be valid to evaluate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level curriculum development competency. Second, the topic, content,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level curriculum development training program were found to be valid as a training program. Third, it was foun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training program for developing teacher level curriculu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eacher level curriculum development competenc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specificity of the operation of speci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was not sufficiently considered. Seco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the teacher level curriculum development training program was not conducted for special teachers working in speci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Recommendations for follow-up research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evaluation scales and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specia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with different circumstances. Third, it is necessary to reveal the differences in the teacher level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reflection factors, and development patter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the working organization and typ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of Competency Scal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Level Curriculum Operation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Composition and Effects
Alternative Author(s)
Kim, Dong I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특수교육학과
Advisor
정은희
Awarded Date
2022-08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교육과정의 개념과 수준 7
가. 교육과정의 개념 7
나. 교육과정의 수준 9
2. 교사 수준 교육과정 12
가. 교사 수준 교육과정의 의미 12
나. 교사 수준 교육과정의 구분 15
다.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17
3.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 26
4. 교사 수준 교육과정 선행연구 고찰 30

Ⅲ. 연구방법 36
1. [연구 1]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평가도구 구성 및 타당화와 신뢰도 37
가.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평가도구 구성과 타당도 38
나. 구성된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평가도구의 신뢰도 42
2. [연구 2]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구성과 효과 43
가.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구성 44
나. 구성된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효과 49

Ⅳ. 연구 결과 55
1.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평가도구 구성 및 타당화와 신뢰도 55
가.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평가도구 구성과 타당도 55
나. 구성된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평가도구의 신뢰도 61
2.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구성과 효과 64
가.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구성 64
나. 구성된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효과 69

Ⅴ. 논의 70
1.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평가도구의 구성 및 타당화와 신뢰도 70
가.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평가도구의 구성과 타당도 70
나. 구성된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평가도구의 신뢰도 72
2.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구성과 효과 73
가.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구성 73
나. 구성된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효과 75

Ⅵ. 결론 및 제언 78
1. 결론 78
2. 제언 79

참고문헌 80

부 록 89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동인. (2022).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역량 평가도구 개발 및 연수 프로그램 구성과 효과.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44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3262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8-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