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역외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의 범위와 한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손수지
Issued Date
2022
Abstract
Today, with the very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cyber crimes crossing over the countries are increasing, and collecting digital information from abroad is becoming more significant day by day. However, in the case of the extra-territorial seizure and search through the network connection, issues such as infringement of jurisdiction under international law, search and seizure procedures and breach of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digital data have been raised.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secure the extra-territorial digit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obtain cooperation from service providers through the criminal justice coordination process. However, the objective and neutral operation of digital evidence that guarantees the integrity of the evidence shall achieve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people's fundamental rights a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nd laws. Digital forensic technology is advancing day by day to respond to crimes using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ificanc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evidence analysis, new restrictions are need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principle of warra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visional control over the right to participate in addition to the court's pre-and post-control over the trial process through the 'Act on the Exclusion of Evidence from Illegal Collection.'
The dazzling advances in cloud computing create challenges for remote seizure and search. Although major foreign countries are addressing the issue legislatively, no explicit provision exists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of Korea. Remote seizure and search are permitt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of Korea. However, it is desirable to legally resolve the remote search and seizure regulations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o protect the people's fundamental right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joining the European Cyber-crime Convention and signing an administrative agreement with the United States.
For the search and seizure of e-mail that can be carried out in a place other than the place where the subject of the search and seizure exists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information storage server administrator, it is necessary to prepare legal regulation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r establish a separate regulatory system for digital evidence based on the current search and seizure regulations.
In addition, the protection of the digital evidence data subjec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of the suspect's right to defend are key legal interests to be protected in extra-territorial digital information seizure and search procedures. We have no choice but to examine whether digital information is subject to seizure and search, whether it is possible to seize and search digital information through access mean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s, and whether it is appropriate according to legal interpretation in our criminal law. The Supreme Court also believes that it is legal only when an investigative agency uses digital information obtained legally to access a server and that legislative measures are necessary as it does not allow any form of seizure and search.
The right to unconditionally participate in the search and seizure is guaranteed not only in the execution of the search and seizure, but also throughout the execution of the search and seizure warrant of the investigative agency, such as the seizure of storage media and video recording.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reasons for excluding the right to participate in cases of search, duplication, printing or destruction of evidence, leakage of investigation secrets, and obstruction of the investigation. It should be borne in mind that the principle of extra-territorial seizure, search, and just guarantee in the Internet and digital era is illegal if an investigative agency does not comply with even one procedure stipulated in the law in the course of a compulsory investigation, such as the execution of a warrant.|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사이버 범죄가 나라를 넘어 증가하고 있으며, 국외에서 디지털 정보를 수집하는 문제가 나날이 중요해지고 있다. 다만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역외압수수색은 국제법상 관할권 침해, 압수수색 절차, 디지털정보 관련 개인정보 침해 등의 문제가 제기돼 왔다.
따라서 역외 디지털 정보 취득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형사사법공조절차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협조를 얻어야 한다. 다만 증거의 무결성을 보장함으로써 디지털 증거의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운영을 통해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국민의 기본권 보호의 목적을 달성해야 한다. 디지털 포렌식 기술은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나날이 발전하고 있지만, 현재 온라인 수색에 대한 명시적 규정이 없어 법이 해외에 있지 않더라도 사법 정의를 실현하는 것이 더 쉬워져야 한다.
증거분석의 중대성, 다양성, 복잡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기존 영장주의 법리 외에 새로운 제약이 필요하다. 따라서 '부정수집 증거배제에 관한 법률'을 통해 재판 과정에 대한 법원의 사전·사후 통제 외에 참여권에 대한 잠정적 통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눈부신 발전은 원격 압수 수색 문제를 야기한다. 해외 주요 국가들이 이를 입법적으로 해결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에는 이에 대한 명문 규정이 없다.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의 해석상 원격압수수색은 허용되지만 국민의 기본권 보호 차원에서 형사소송법의 원격압수수색 규정을 법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유럽 사이버범죄협약 가입과 미국과 행정협정 체결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정보저장 서버 관리자의 개입 없이 압수수색 대상이 존재하는 장소 이외의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는 이메일에 대한 압수수색은 그 특성에 맞는 법적 규정을 마련하거나 현행 압수수색 규정을 토대로 디지털 증거에 대한 별도의 규제 체계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
이 밖에도 디지털증거 자료주체의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보호와 피의자의 방어권 보장은 역외 디지털 정보 압수·수색 절차에서 보호해야 할 핵심 법적 이익이다. 우리 형사소송법은 디지털 정보 자체가 압수수색 대상인지,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접속수단을 통해 디지털 정보를 압수·수색할 수 있는지, 법적 해석으로는 적절한 지 등을 따져볼 수밖에 없다. 대법원도 수사기관이 합법적으로 취득한 디지털정보를 이용해 서버에 접속해야 합법적이며, 모든 형태의 압수수색을 허용하지 않는 만큼 입법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압수수색자의 참여권은 단순히 압수수색의 집행과정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저장매체의 압수, 영상촬영 등 수사기관의 압수수색영장 집행과정 전반에 걸쳐 보장된다. 검색, 복제 및 출력.또한 증거인멸, 수사비밀누설, 수사방해 등의 경우 참여권 배제사유를 명시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과 디지털 시대의 역외 압수, 수색, 정당한 보증의 원칙은 수사기관은 영장집행 등 강제수사 과정에서 법규에 규정된 한 가지 절차라도 준수하지 아니하면 위법한 법집행이 된다는 원칙은 명심해야 한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cope and Limitations of Extra-territorial Search and Seizure for Digital Evidence
Alternative Author(s)
Son, SuJi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법학과
Advisor
김종구
Awarded Date
2022-08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제2장 디지털 증거와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 일반 5
제1절 디지털 증거 일반 5
1. 디지털 증거의 의의와 특성 5
2.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13
제2절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 일반 25
1.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의 의의와 특성 25
2.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의 대상 및 장소 30
3.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의 방법과 절차 36
4.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의 범위와 한계 39
5. 소결 43

제3장 디지털 증거 역외 압수·수색의 특성과 유형 및 문제점 46
제1절 디지털 증거의 역외 압수·수색의 특성과 유형 46
1. 역외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의 특성 46
2. 역외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의 유형 49
3. 소결 50
제2절 역외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의 문제점 52
1. 역외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상의 적법성 문제 52
2. 역외 디지털 증거수집과 국제공조 문제 56
3. 역외 디지털 증거수집과 정보인권보호의 문제 59

제4장 역외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에 관한 입법례와 국내 판례 61
제1절 역외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에 대한 외국 입법례 61
1. 서설 61
2. 미국의 입법례 63
3. 유럽 사이버범죄 협약 71
4. 기타 주요 국가의 입법례 76
5. 소결 85
제2절 역외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 관련 판례 87
1. 서설 87
2. 고등법원과 대법원 판례의 검토 89
3. 소결 100

제5장 역외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의 적법성 확보 방안 102
제1절 역외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의 특성과 허용성 102
1. 현황 및 평가 102
2. 개선 방향 104
제2절 역외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과 영장주의 107
1. 압수·수색 영장주의의 요건 107
2. 압수·수색의 실효성과 영장주의 109
3. 압수·수색의 적법성 및 실효성 확보를 위한 영장주의의 개선방안 111
제3절 외국계 e-메일 계정에 대한 압수·수색의 적법성 115
1. 외국계 e-메일 계정에 대한 압수·수색의 문제 115
2. 현행법상 e-메일 계정에 대한 압수·수색의 적법성 문제 119
제4절 역외 디지털 증거 수집과 국제공조 123
1. 국제형사규범의 발전을 위한 국제협력 123
2. 우리 형사법이론과 실무의 방향 127
제5절 역외 디지털 증거 수집과 인권보장 129
1. 디지털 증거 수집과 정보인권보호 129
2. 피압수자의 정보인권과 참여권 보장 130
3. 개인정보인권 보호와 별건수사 금지 136

제6장 결 론 139

참고문헌 141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손수지. (2022). 역외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의 범위와 한계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43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4089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8-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