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한국 가임기(15-49세) 여성의 혈청 비타민 A 수준과 빈혈의 연관성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화원
Issued Date
2022
Keyword
Women of Reproductive Age, Serum Vitamin A, Anemia,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Ⅶ), Hemoglobin
Abstract
According to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intake of Vitamin A by Koreans is steadily decreasing, and it is a serious situation that does not even consume 60% of the recommended intake of Vitamin A. Vitamin A is an essential Vitamin that plays important roles such as normal growth of the body, visual function, differentiation of epithelial tissue, immunity and antioxidant effect, red blood cell generation, and hematopoietic func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ume Vitamin A properly according to the recommended daily nutrient intake. In particular, deficiency due to lack of Vitamin A intake is common in children and women in reproductive age in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deficiency symptoms can lead to night blindness, decreased visual function, iron deficiency anemia, abnormal immune function, increased infection sensitivity, delayed growth, and in severe cases deat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nutrients such as Fe, Folate, Vitamin B6, Vitamin B12, which are known to be related to anemia in Korea, whereas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A and anemia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Vitamin A and anemia in women of reproductive age who are vulnerable to anemia by using the level of serum Vitamin A, an objective indicator of Vitamin nutritional status, not daily intake of Vitamin A.

This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Vitamin A level and anemia in 1,612 women aged 15-49 in Korean reproductive age using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ssoci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emia of the study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household income level, health insurance type, smoking experience, serum neutral fat level, hemoglobin level, hematocrit level, serum Vitamin A level.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ch age group of the study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usehold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smoking experience, drinking experience,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BMI), obesity, serum triglyceride level, hemoglobin level, serum Vitamin A level, serum Vitamin E level, serum Folate level, and daily nutrient intake(Carbohydrates, Fat, Fe, Folate).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body and nutri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emia by the same ag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oking experience(30-49 years), Body Mass Index(BMI)(15-18 years), serum triglyceride level, hemoglobin level, hematocrit level, serum Vitamin A level, and serum Vitamin E level(15-18 year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ssociation of anemia according to serum nutrient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prevalence of anemia tended to decrease as correction variables were added. Meanwhil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Vitamin A level and anemia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And in the case of serum Vitamin A level in the ‘subnormal range’ compared to the ‘normal range’, the prevalence of anemia tended to increase as correction variables were added.
As a resul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serum Vitamin A levels and anemia, and serum Vitamin A level had an influence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emia.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in Korea to analyze the link between serum Vitamin A levels and anemia of women in reproductive age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articularly, present study revealed that a decrease in serum Vitamin A levels increases the risk of anemia even after correcting factors such as age, smoking, drinking, stress, household income, education, and obesity.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present appropriate guidelines for Vitamin A intake for women in reproductive age along with previous studie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nemia. It is considered that continuous research and various measures are needed to increase Vitamin A intake and reduce the prevalence of anemia in the future.|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비타민 A의 섭취량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비타민 A의 섭취기준인 권장섭취량의 60%도 섭취하지 않는 심각한 상황이다. 비타민 A는 신체의 정상적인 성장, 시각 기능, 상피 조직의 분화, 면역력과 항산화 효과, 적혈구 생성, 조혈 기능 등 중요한 작용을 하는 필수적인 비타민이기 때문에 신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해서는 비타민 A의 1일 영양소 권장섭취량에 따른 적절한 섭취가 중요하다. 특히 비타민 A의 섭취 부족으로 인한 결핍증은 저개발 국가의 아동, 가임기 여성에서 흔히 나타나며, 증상으로는 야맹증, 시각 기능의 저하, 철 결핍성 빈혈, 면역 기능의 이상, 감염 감수성의 증가, 성장 지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국내에서 빈혈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영양소(철, 엽산, 비타민 B6, 비타민 B12)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비타민 A와 빈혈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일 비타민 A의 섭취량이 아닌 비타민 영양 상태의 객관적인 지표인 혈청 비타민 A의 수준을 이용하여 빈혈에 취약한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비타민 A와 빈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년) 자료를 이용하여 만 15-49세 한국 가임기 여성 1,612명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A 수준과 빈혈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빈혈 여부에 따른 일반적 특성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연령, 가구소득수준, 건강보험종류, 흡연 경험 유무, 혈청 중성지방 수준, 헤모글로빈 수준, 헤마토크릿 수준, 혈청 비타민 A 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연령대별 일반적 특성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가구소득수준, 교육 수준, 흡연 경험 유무, 음주 경험 유무,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BMI), 비만 여부, 혈청 중성지방 수준, 헤모글로빈 수준, 헤마토크릿 수준, 혈청 비타민 A 수준, 혈청 비타민 E 수준, 혈청 엽산 수준, 1일 영양소 섭취량(탄수화물, 지방, 철, 엽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동일 연령대별 빈혈 여부에 따른 신체, 영양소 특성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흡연 경험 유무(30-49세), 체질량지수(BMI)(15-18세), 혈청 중성지방 수준, 헤모글로빈 수준, 헤마토크릿 수준, 혈청 비타민 A 수준, 혈청 비타민 E 수준(15-18세)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혈청 비타민 A 수준에 따른 빈혈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보정변수를 추가함에 따라 모두 빈혈 유병률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혈청 비타민 A 수준과 빈혈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음의 연관성을 보였으며, 혈청 비타민 A 수준이 ‘정상범위’ 대비 ‘정상범위 미만’의 경우 보정변수를 추가함에 따라 빈혈 유병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분석 결과 혈청 비타민 A 수준과 빈혈의 연관성은 있었으며 혈청 비타민 A 수준은 빈혈 여부에 대해 영향력이 있었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가임기 여성의 혈청 비타민 A 수준과 빈혈 간 연관성을 분석한 국내 첫 연구이며, 연령, 흡연, 음주, 스트레스, 가구소득수준, 교육, 비만과 같은 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혈청 비타민 A 수준의 감소가 빈혈 유병의 위험을 높인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기존 선행연구와 함께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비타민 A의 적절한 섭취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고, 빈혈 예방 및 치료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비타민 A 섭취량 증가와 빈혈 유병률 감소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다양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lternative Title
The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Serum Vitamin A level and Anemia in Women of Reproductive Age in Korea: Findings Based on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Alternative Author(s)
Kim Hwa-W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최지영
Awarded Date
2022-08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7
2.1. 일반사항 7
2.2. 혈액검사 7
2.3. 영양소 섭취량 8
2.4. 가임기 여성 정의 8
2.5. 연령대 9
2.6. 빈혈 정의 9
2.7. 비만 정의 9
2.8. 통계분석 12

Ⅲ. 결과 13
1. 연구대상자의 빈혈 여부에 따른 일반적 특성 13
2. 연구대상자의 연령대별 일반적 특성 19
3. 동일 연령대별 빈혈 여부에 따른 신체, 영양소 특성 26
4. 혈청 비타민 A 수준과 빈혈의 연관성 33

Ⅳ. 고찰 및 결론 38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화원. (2022). 한국 가임기(15-49세) 여성의 혈청 비타민 A 수준과 빈혈의 연관성.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38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3479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8-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