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우리나라 노인에서의 부정적 스트레스 인지율의 시간적 추세 및 관련요인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선영
Issued Date
2022
Keyword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s, elderly, Stress, temporal trend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이용한 65세 이상 노인의 부정적 스트레스 인지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10년동안의 부정적 스트레스 수준의 시간적 추세 및 관련 요인을 조사하기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지역사회 건강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585,392명(남성 240,727, 여성 344,665)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인지된 스트레스 수준은 이진변수(긍정대 부정으로 인식된 수준)를 사용하여 분류되었다. 다변수 회귀분석은 부정적 스트레스 수준의 발생을 모델링 하고 관련 요인을 추정하는데 사용되었다.
결과: 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부정적 스트레스 인지율은 남성 15.8%, 여성 23.6%이었다. 복합표본설계 자료의 가중치를 고려한 결과, 우리나라 만 65세 이상 노인에서의 부정적 스트레스 인지율은 남성 16.3%, 여성 24%이었다.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인지된 스트레스 수준은 85세 이상 그룹보다 65-74세 그룹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부정적 스트레스 인지율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2009년에서 2018년에 걸쳐 65∼84세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남성·여성 모두에서 연소득 1,000만 원 이상 군, 거주 지역, 규칙적 걷기실천여부, 음주, 비흡연 군, 우울감 경험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질의 수준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정적 스트레스 수준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스트레스 인지율은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동거가족, 수면시간, 걷기실천, 흡연, 우울증 경험에 따라 남·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의 경우 스트레스 인지도가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았고, 동거 가족에 따른 스트레스 인지도의 경우에는 동거 남성이 스트레스 인지도가 낮았다. 한편, 가족과 함께 생활하는 경우 여성의 스트레스 인지도가 높게 나타나 남녀 간에 차이를 보였다(p<.001).
결론: 부정적 스트레스 관련된 심리 사회적 결정요인을 가진 노인을 위한 스트레스 완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할 것을 제안한다.|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gatively perceived stress level of the elderly 65 years and older based on the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It was also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emporal trend and related factors of negative stress levels over 10 years.
Methods: Data from 585,392 people (240,727 men, 344,665 women) aged 65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from 2009 to 2018 were analyzed. Perceived stress levels were classified using a binary variable (positively versus negatively perceived level). Multivariab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model the prevalence of negatively stress levels an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Results: The prevalence of negatively perceived stress level by gender were 15.8% for men and 23.6% for women.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weighting of the complex sampling data, the prevalence of the negatively perceived stress levels in the elderly aged 65 and over was 16.3% for men and 24% for women.
The perceived stress levels in both men and wo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65-74 year group than in the aged 85 and over the group. Negatively perceived stress level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65-84 year-old group from 2009 to 2018 in both men and women. In addition, in both men and women, the negatively perceived stress levels in the group with an annual income of 10 million won or more, residential area, regular walking activities, drinking, and non-smoking group, experiencing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over time. Stress perception was found to affect both men and women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family living together, sleep time, regular walking activities, smoking, and depression. In the case of income level, women negatively perceived stress level was higher than men, and in the case of stress perception according to the family living together, the men showed lower stress perception. On the other hand, when living with family, women negatively perceived stress level was high, showing a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p<.001).
Conclusion: The public interventions of stress relief and mental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with psycho-social determinants related to negative stress perception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lternative Title
Secular Trends and Related Factors of negatively perceived Stress Level in the Elderly in South Korea: Using 2009-2018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Alternative Author(s)
SunYoung J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Advisor
김계하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iv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6
A. 스트레스 6
B. 노인의 스트레스 및 관련 요인 9

Ⅲ. 연구방법 17
A. 연구 설계 17
B. 연구 대상 18
C. 연구 도구 19
D. 자료수집 방법 23
E. 자료분석 방법 24
F. 윤리적 고려 25

Ⅳ. 연구결과 26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6
B. 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인지율 30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정적 스트레스 인지율의 차이 31
D. 부정적 스트레스 인지율과 관련 요인 35
E. 부정적 스트레스 인지율에 대한 추세 39

Ⅴ. 논의 49

Ⅵ. 결론 및 제언 56
A. 결론 56
B. 제언 57

참고문헌 58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정선영. (2022). 우리나라 노인에서의 부정적 스트레스 인지율의 시간적 추세 및 관련요인.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31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073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