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과 특성

Metadata Downloads
Author(s)
최유미
Issued Date
2022
Keyword
난임여성, 스트레스 대처, 극복력, 난임적응, 배우자 지지, infertility, female, stress, adaptation, psychological, cluster analysis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불임 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의 특성과 예측 변수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난임병원에서 난임치료를 받던 여성 120명이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해 참여했다. 통계 분석은 기술 통계 분석, K-평균 군집 분석, γ²est, 피셔의 정확한 검정, 일원 분산 분석, 카이검정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결과: 약한혼합대처형(1군집)이 30.8%, 강한혼합대처형(2군집)이 35.9%, 소극대처형(3군집)이 33.3%로 나타났다. 약한혼합대처형에 따른 강한혼합대처형(그룹 2)을 비교하고, 난임 적응(OR=17.71, p<.000), 배우자 지지(OR=4.50, p=.021) 난임 상담 경험(OR=7.14, p=010)을 비교했다. 소극대처형(그룹 3)은 극복력이 낮고(OR=0.24, p=.026) 난임 적응(OR=20.39, p<.001)이 높다. 가족 구성원은 배우자를 제외한 다른 구성원입니다(OR=11.80, p=.010). 소극대처형(그룹 3)과 강한 혼합 대처형(그룹 2)을 비교한 결과, 극복력(OR=0.11, p<.000)으로 나타났다.
결론: 난임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유형이 극복력, 난임 적응, 배우자 지지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극복력을 강화하고 난임 적응 측면에서 수용적 태도와 배우자 지지를 통해 적극적 대처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edictors of stress coping types of women with infertility.
Methods: The 120 women who were receiving infertility treatment at infertility hospitals agreed to participate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χ²test, Fisher's exact test, one-way ANOVA, Schéffe's 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weak mixed coping type(group 1) was 30.8%, the strong mixed coping type(group 2) was 35.9%, and the passive coping type(group 3) was 33.3%. The strong mixed treatment type(group 2) according to weak mixed treatment type was compared, and the infertility adaptation(OR=17.71, p<.000), spousal support(OR=4.50, p=.021), infertility counseling experience(OR=7.14, p=.010). The passive coping type(group 3) has low resilience(OR=0.24, p=.026) and the infertility adaptation(OR=20.39, p<.001) is high. The family members are other members except spouse(OR=11.80, p=.010). Comparing passive coping type (group 3) with strong mixed coping type (group 2), resilience (OR=0.11, p<.000) was shown.
Conclusion: This is because the type of coping with infertility stress depends on resilience, infertility adaptation, and spousal suppor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resilience and provide receptive attitude and spouse support in terms of infertility adaptation to help active coping.
Alternative Titl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tress Coping in Women with Infertility
Alternative Author(s)
Choi Yu-mi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Advisor
문소현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Ⅴ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8
A.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8
B. 난임스트레스 대처와 극복력 12
C. 난임스트레스 대처와 난임적응 14
D. 난임스트레스 대처와 배우자 지지 16

Ⅲ. 연구 방법 18
A. 연구 설계 18
B. 연구 대상 18
C. 연구 도구 19
D. 자료수집 방법 22
E. 연구의 윤리적 고려 22
F. 자료 분석 방법 23

Ⅳ. 연구 결과 24
A. 일반적 특성과 난임 관련 특성 24
B. 난임스트레스 대처, 극복력, 난임적응, 배우자 지지 정도 29
C. 난임스트레스 대처 유형 30
D. 난임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른 연구 변수 특성의 차이 33
E. 난임 스트레스 대처 유형별 특성 예측 39

Ⅴ. 논의 41

Ⅵ. 결론 및 제언 50
A. 결론 및 제한점 50
B. 제언 52

참고문헌 53

부록 1. 연구대상자 설명문 및 동의서 67

부록 2. 설문지 7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최유미. (2022).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과 특성.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27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033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