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일하는 여성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경림
Issued Date
2022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일하는 여성의 삶의 경험을 탐구하여 그 개인이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 그러한 경험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알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여성의 삶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구성한 퍼즐은 첫째, 연구참여자의 장애 자녀를 두기 전의 삶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연구참여자의 장애 자녀를 낳은 이후의 삶의 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연구참여자의 자녀 이외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경험 이야기는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이해하기에 적합한 내러티브 탐구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1세 이상의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두고 있는 일하는 여성 세 명이었으며 2021년 7월∼10월의 기간 동안 각 3회 이상의 개별 대화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대화 전사기록과 연구자의 연구일지를 포함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은 면담 전사본과 연구일지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현장 텍스트를 정리하였고 주요 연구일지 등을 함께 활용하여 narrative accounts를 작성하고 다시 3차원의 공간에서 청자와 공명되는 의미로 떠올려 연구 참여자의 고유하고 개별적인 삶 경험의 의미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장애 자녀를 낳기 전 삶의 이야기’, ‘장애 자녀를 낳은 후 삶의 이야기’, ‘자녀 외의 관계에서 경험한 삶의 이야기’ 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삶 경험의 의미는 ‘참고문헌 없는, 길 없는 길 위에서’, ‘타자가 되어 끌어안은 ‘타자라는 지옥’’, ‘연약함이 드러나 생긴 굳은 살’,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너도 그러하다, I’m Special!’ 의 다섯 가지로 구성되었다. ‘참고문헌 없는, 길 없는 길 위에서’에서 참여자들은 처음 아이가 장애로 진단되었을 때 어디에서도 삶의 대본을 찾을 길 없는 막막함을 경험하였고, 마치 길 없는 길 위에 선 듯한 느낌이 들었다. ‘타자가 되어 끌어안은 ‘타자라는 지옥’’에서 참여자들은 자녀가 장애로 인해 사회에서 타자로 여겨져서 사회에서 성원권이 박탈된 것 같은 느낌이 들었지만 정작 아이와의 둘만의 관계에서는 발달장애인 자녀를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는 타자성을 경험하였다. 또한 일하는 여성인 어머니는 사회에서 분명한 성원권을 가지고 자신의 역할을 하고 있는 세계 내적 존재였지만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로서의 자녀와 함께 타자의 자리로 밀려나는 경험을 하였다. 사회에서는 타자로 규정되는 동시에 자녀와의 관계에서는 나와 다른 생경한 존재를 대면해야 하는 이중성 위에서 참여자는 팽팽한 긴장과 정체성의 중첩을 경험하였다. ‘연약함이 드러나 생긴 굳은 살’에서 참여자는 발달장애 자녀를 키우면서 차별과 배제라는 사회적 폭력뿐만 아니라 물리적 폭력도 경험하였으나 자신만의 문제로 여기지 않고 그 경험을 드러내고 연대하였다.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에서 참여자들은 남편, 어머니 등 가장 밀접한 관계의 가족이 장애인을 배제하는 태도를 보이는 막막함 속에서도 자녀를 끝까지 책임지는 것은 자신 뿐이라고 생각하였다. ‘너도 그러하다, I’m Special!’에서 참여자들은 발달장애 자녀로 인해 인간의 본질을 질문하였으며, 사회가 ‘인간’이라고 부르는 특성들의 비인간적인 모습을 성찰하였고, 장애 자녀를 인간으로서 존중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일하는 여성이 경험한 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고, 그 삶의 경험이 사회적으로도 장애인 가족지원 상담의 현실화, 장애인 가족에게 일의 의미, 장애 자녀 어머니의 통합 실천자 정체성 등으로 이어짐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life experiences of working women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know what kind of life the individual lives and what such experiences mean. Through this, the puzzle constructed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 of women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is study is first, what is the life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before having disabled children? Second, what is the study participant's life experience after giving birth to disabled children? Third, what is the story of the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 in a relationship other than their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narrative inquiry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re were three working women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over the age of 21, and more than three individual conversations were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July to October 2021. Data collection included conversation transcription records and researcher's research journals. In the data analysis process, the field text was organized by repeatedly reading the entire interview and the research journal, and the main research journal was used together to create narrative accounts and recall them as resonating with listener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ife Story Before Having a Disabled Child," "Life Story After Having a Disabled Child," and "Life Story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Other than Children."
The meaning of the study participants' life experiences consisted of five things: "On a path without reference," "Hell of the other being the other person," "The calluses revealed to be the most vulnerable," and “My last one”. "You are too, and "I'm Special!" In "On a Road Without Reference,"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hopelessness of finding a script for life anywhere when their child was first diagnosed with a disability, and felt as if they were standing on a roadless road. In "Hell of the Other", the participants felt that their children were considered the other in society due to disability, so they were deprived of their right to support in society, but they experienced otherness that could not fully understand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mother, a woman who works in 'Hell of the Other' who became the Other and hugged, was a world's inner being who plays her role with clear support in society, but she was pushed to the other's position with he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ciety, participants experienced tension and identity overlap on the duality of having to face an unfamiliar being different from me in relation to their children while being defined as the other. In "The calluses created by the exposure of vulnerability," the participant experienced not only social violence such as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while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ut did not regard it as his own problem and revealed the experience and solidarity. In My Lest One,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y were the only ones responsible for their children to the end despite the frustration of their closest relationship, such as husbands and mothers, to exclude the disabled. In "You too, I'm Special!" the participants asked about the nature of humans due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flected on the inhumane aspects of the characteristics that society calls "humans," and respected disabled children as huma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its understanding of what working women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rienced, and confirmed that their life experiences lead to the realization of family counseling for the disabled, the meaning of work for the disabled, and the need for social integration practice. This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ducation and training necessary for counselors meeting women with disabled children in the future.
Alternative Title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Experiences of Employed Women Who Have Adult Child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lternative Author(s)
Kim KyungRim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상담심리학과
Advisor
권해수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내러티브의 시작 1
1. 돌고 돌아도 막다른 골목 1
2. 아이를 등에 지고 바늘 끝을 딛고 섬 3
3. 진흙탕 속을 헤쳐 나와 도달한 정원 10
제2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제3절 연구 퍼즐 19

제2장 이론적 배경 21
제1절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여성 21
1. 성인 발달장애인의 이해 21
2.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여성의 돌봄 26
3.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여성의 모성 경험 29
제2절 일하는 유자녀 여성 33
1. 여성의 진로 특성 33
2. 유자녀 취업여성의 경력단절과 재취업 36
3. ‘일의 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여성의 진로 38

제3장 연구방법 및 절차 42
제1절 연구방법 42
제2절 연구절차 45
1. 현장에 존재하기 45
2.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 50
3.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 내러티브 풀어내기 51
4. 최종 연구 텍스트 작성하기 52
제3절 연구의 엄격성 53
제4절 연구윤리 54

제4장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일하는 여성의 삶의 이야기 풀어내기 56
제1절 복지현의 이야기 56
1. 장애 자녀를 낳기 전 삶의 이야기 56
가. 이야기 1: 작은 악바리 오뚜기 56
나. 이야기 2: 콘크리트 틈에서 돋아난 새싹 58
다. 이야기 3: 겨울 동백보다 화려하게 60
2. 장애 자녀를 낳은 후 삶의 이야기 62
가. 이야기 1: 어딘가 이상한 아들 62
나. 이야기 2: 로드킬을 겁내지 않는 동네 북 63
다. 이야기 3: 결국 넘지 못한 0.00001%의 차이 66
라. 이야기 4: 기쁨과 절망 사이 68
마. 이야기 5: 변두리 존재에서 자립하는 존재로 71
3. 자녀 외의 관계에서 경험한 삶의 이야기 75
가. 이야기 1: 엄마 되기보다 어려운 아내 되기 75
나. 이야기 2: ‘내 것’, ‘내 일’, ‘내 인생’을 찾아 80
제2절 이수정의 이야기 83
1. 장애 자녀를 낳기 전 삶의 이야기 83
가. 이야기 1: 지지 않기 위한 공부 83
나. 이야기 2: 말과 행동, 배움과 삶은 하나 85
다. 이야기 3: 자율주행차량의 음울한 도착지 88
2. 장애 자녀를 낳은 후 삶의 이야기 90
가. 이야기 1: 뿔 달린 새끼를 품은 캥거루 90
나. 이야기 2: 지나 보니 성대한 파티 93
다. 이야기 3: 바닥이 보이지 않는 나락 97
라. 이야기 4: 인간과 동물 사이의 존재 101
마. 이야기 5: 발끝으로 선 절벽 끝 104
3. 자녀 외의 관계에서 경험한 삶의 이야기 108
가. 이야기 1: 탈출한 전쟁터, 만만찮은 홀로서기 108
나. 이야기 2: 나, 일하는 여성의 대표선수 111
다. 이야기 3: “잇츠 낫 유어 폴트(It’s not your fault)!” 116
라. 이야기 4: ‘친절’의 관계망을 찾아 118
마. 이야기 5: 지옥에서 길어 올린 ‘인간’의 본질 122
제3절 정은정의 이야기 125
1. 장애 자녀를 낳기 전 삶의 이야기 125
가. 이야기 1: 모래 속에 묻힌 빛 잃은 보석 125
나. 이야기 2: 물 만난 물고기처럼 생생하게 128
2. 장애 자녀를 낳은 후 삶의 이야기 130
가. 이야기 1: 결코 돌아보지 않는 아이의 등 뒤에서 130
나. 이야기 2: 이리저리 흔들리다 잡은 운전대 132
다. 이야기 3: 조화로운 자연, 부조리한 인간 135
라. 이야기 4: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히고 다시 창살 안으로 138
3. 자녀 외의 관계에서 경험한 삶의 이야기 140
가. 이야기 1: 이해도 용서도 어려운 그녀, 엄마 140
나. 이야기 2: 훌륭한 ‘벽지’로서의 남편 144
다. 이야기 3: 자매들이 만든 든든한 아지트 146
라. 이야기 4: 걸림돌이 디딤돌 되어 자부심으로 147

제5장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일하는 여성의 삶의 경험 의미 152
제1절 참고문헌 없는, 길 없는 길 위에서 152
제2절 타자가 되어 끌어안은 ‘타자라는 지옥’ 155
제3절 연약함이 드러나 생긴 굳은살 157
제4절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159
제5절 너도 그러하다, “I am special.” 161

제6장 결론 164
제1절 요약 164
제2절 논의 169
1. 장애인 가족 상담 지원 현실화 170
2. 장애인 가족에게 일의 의미 173
3. 장애자녀 어머니의 통합(inclusion) 실천자 정체성 176
제3절 연구의 의의 및 제언 180

내러티브를 마치며 183

참고문헌 185

ABSTRACT 20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경림. (2022).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일하는 여성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21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667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