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민화와 한류문화콘텐츠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신진희
Issued Date
2022
Keyword
가치, 민화, 민속화, 문화콘텐츠, 세계성, 세화, 전통, 우키요에, 한류, 활성화, Value, Korean Folk Painting, Folklore, Cultural Contents, Globalization, Miniature, Tradition, Ukiyo-e, Korean Wave, Revitalization
Abstract
20세기 말에 시작된 한류열풍은 방탄소년단(BTS)과 오징어게임, 영화 지옥, K-방역 등으로 이어지며 지속되고 있다. 30여 년 전부터 시작된 한류가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며 양적으로 성장했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성숙해졌다. 한류문화콘텐츠가 세계화하는데, 다양한 전통문화가 기여했지만 우리의 전통 회화인 민화도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한류문화콘텐츠의 확산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고 미래에도 무한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예상되는 민화를 문화콘텐츠로 개발하여 글로벌시장을 선점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다시 말해 민화의 이해와 활용 방안을 찾아서 한류문화콘텐츠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민화는 역사적으로 고유한 장르 특성과 개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통문화 중에서도 가장 소박한 민중의 욕구를 표현한 대중예술로 민중과 호흡하며 서민의 감정을 때로는 직설적으로 때로는 은유적으로 표현한 우리의 고유한 그림 형식이다. 그리고 민화에 내재 되어 있는 자유분방함은 서민적 특성이 드러난 것으로 자유로움과 편안함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의식구조와 부합한다. 민화의 한 컷, 한 컷은 한치의 여유도 없이 쫓기듯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한 번쯤 쉬었다 갈 수 있는 정신적 휴식의 공간을 제공한다. 민화 감상으로 인한 재충전의 기회는 우리의 삶을 더 풍요롭고 더 여유롭게 할 것이며 새로운 에너지를 충전하는 시발점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민화에 담긴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콘텐츠로 전환하는 것이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한류문화콘텐츠산업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라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우수한 한류문화콘텐츠를 개발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민화를 선택한 것이다. 민화와 관련된 문화상품이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시장에 널리 보급된다면 한류문화콘텐츠산업의 질적, 양적 성장을 분명하게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 회화인 민화가 한류문화콘텐츠로서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한류열풍을 이어가는 핵심 콘텐츠가 되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과 신문 기사, 보고서, 웹사이트 등의 사전 문헌조사를 통해서 민화의 활용가능성을 우선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민화의 개념과 특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해되는지 살펴보았다. 민화에 담긴 상징성 및 조형성, 다시점 표현과 색채 표현의 원리, 과장성, 단순성 및 해학성 등의 원리, 반복과 대칭형 구도의 원리, 대중성 및 실용성의 원리 등 민화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도 살펴보았다. 이어서 한·중·일의 민속화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 민화만의 차별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민화가 한류문화콘텐츠로서 갖는 경쟁력의 원천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들을 비교한 결과, 우리 민화에는 타국의 민속화와 유사성도 존재하지만 차이점도 분명히 존재하였다. 현대적인 조형미, 독창적인 표현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결국 세계 각국의 전통문화와 비교해서 우리의 민화가 한류문화콘텐츠로서 경쟁력을 가지려면 민화의 독창적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그것에 독창성을 부여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시대에 맞는 민화만의 미학을 정립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세계와 공감할 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와 현대인의 대중적 정서에 부합하는 미래지향적 콘텐츠로 재창조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특히 한류문화콘텐츠로서 민화가 갖는 경쟁력은 민화의 창작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 즉 심리 치유의 가능성, 민화 특유의 정체성이 담긴 구도, 민화의 고유성과 상징성, 민화의 예술성과 대중성이 결합된 실용성, 민화에 내재한 철학적 사유의 독창성 등에서 찾을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는 대내외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행정적인 지원과 노력, 입체적인 수출 전략, 다양성을 본질로 하는 지역성, 지역성과 세계성이 융합된 대중성, 시공간을 뛰어넘는 교류협력의 기반 조성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민화를 활용한 한류문화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민화에 관한 한류문화콘텐츠 연구가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음에도 양적인 성장과 더불어 학문적 연구 주제가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공동연구 및 학제 간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민화에 관한 한류문화콘텐츠가 융합연구에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민화에 관한 한류문화콘텐츠 연구가 외연적으로 확대되었음에도 연구주제가 새로운 시각이나 이슈 발굴 차원을 넘어서지 못하는 미흡함을 보였다. 민화에 관한 한류문화콘텐츠를 연구하는 국가도 아시아권를 벗어나 중남미 및 미국, 유럽, 중앙아시아 등으로 확대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민화를 문화콘텐츠로 소비하는 한류 소비자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고, 민화를 경영전략적 차원에서 접근하거나 민화에 관한 한류문화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연구할 연구기관이나 인력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넷째, 한류가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면서 한류 소비자들의 개인적 욕구가 질적으로 향상되고 개인과 가족 등의 소규모 공동체 중심의 소비 욕구가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유일무이(唯一無二)한 제품을 선호하는 취향의 한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민화의 일상성을 문화콘텐츠와 연계하여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다섯째, 다양한 취향의 한류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모방의 단계를 벗어나 민화의 전통적 미를 활용한 독창적 디자인 기법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 민화를 활용한 디지털 제품디자인에 적합한 조형 원리를 바탕으로 현대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민화에 대한 대중의 거부감을 줄이고 우리의 전통 이미지를 새롭게 개발하여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미래사회에서는 정신적 가치가 더욱 중시될 것이며 인간의 사고와 예술적 감성을 채워주는 생활 속 공예 상품으로서 민화가 갖는 산업적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현대의 한류 소비자들의 감각에 순응하고 세계적인 우수성을 보여줄 작품의 모티브를 민화에서 발굴하여 상품을 개발하고 해외시장에 우리 문화를 알리는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Korean Wave, which began at the end of 20th century, continues to lead to BTS (Bangtan Sonyeondan), the Squid Games (drama), the Hell (film), and K-quarantine. Korean Wave, which began more than 30 years ago, has expanded to various fields and not only has grown quantitatively, but it has also matured in quality. Various traditional cultures have contributed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but our traditional painting, Korean folk painting, also has significantly influence.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im of contributing to preoccupying the global market by developing Korean folk painting that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spread of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and is expected to exert infinite influence in the future as cultural contents.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by finding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ways of Korean folk paintings.
Korean folk painting is Korean unique painting format that not only has historically unique genre characteristics and concepts, but is also the most simple popular art that expresses the needs of the common people among traditional Korean cultures, breathing with the people, and expressing the emotions of the ordinary people, sometimes directly, sometimes metaphorically. Besides, the freedom inherent in Korean folk painting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ordinary people and is consistent with the modern people’s consciousness structure pursuing freedom and comfort. Each cut of Korean folk painting provides a space for mental rest for modern people who are busy living as if they were chased without in an inch of relaxation.. The opportunity to recharge with appreciating Korean folk painting works will enrich and make our lives richer and more relax, and will be the starting point for charging new energy.
This study began with the hope that discovering the cultural prototype contained in Korean folk painting and converting it into contents will enhance Korea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Wave cultural content industry. This study chose the Korean folk painting as an alternative in developing excellent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If cultural products related to Korean folk painting are widely distribut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global markets,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of Korean Wave cultural content industry can be clearly expec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a way for Korean folk painting, a traditional Korean painting genre, to secure it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s a Korean Wave cultural content and become a core content to continue Korean Wave.
In this study, the availability of Korean folk painting was first examined through preliminary literature research such as related literature, newspaper articles, reports, and websites.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study investigated how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painting are understoo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analyzing Korean folk painting such as symbolism and formativeness, principles of multi-view expression and color expression, the principles of exaggeration, simplicity and humor, the principles of repetition and symmetrical composition, and the principles of popularity and practicality in Korean folk painting were also examined. Subsequently, Korean folk painting, those of Chinese and Japanes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rive differentiation only for Korean folk painting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source of competitiveness that Korean folk painting has as a Korean Wave cultural conte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folk paintings of Korea, China and Japan, there was also a similarity to folk paintings of other two countries in Korean folk painting, but there were clearly differences. There were differences in modern formative beauty and original expression. In the end, in order for Korean folk painting to be competitive as a Korean Wave cultural content compared to traditional cultures around the world,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to discover the original beauty of Korean folk painting and give it originality, and based on this, it was judged that unique esthetics of Korean folk painting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it was concluded that Korean folk painting should be created as a future-oriented content that conforms to the universal values that can empathize with the world and the popular sentiment of modern people.
In particular,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folk painting as a Korean Wave cultural content could be found in characteristics being appeared in the creation process of Korean folk painting, namely the possibility of psychological healing, composition containing Korean folk painting’s unique identity, practicality combining the folk painting’s artistry and popularity, and philosophical thinking inherent in Korean folk painting. In the end, it was judged that administrative support and efforts to strengthen Korean folk painting’s internal and external competitiveness, 3D export strategies, locality based on diversity, popularity fused with locality and globalization, and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for exchange and cooperation beyond time and space.
Based on such findings, the study derived a plan to revitalize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utilizing Korean folk painting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research on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on Korean folk painting began relatively late, academic research topics tended to diversify along with quantitative growth.
Second, in the reality that joint research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are increasing,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on Korean folk painting was evaluated as positive for convergence research. However, even though the research on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on Korean folk painting has been expanded externally, the research topic has not exceed the level of discovering new perspectives or issues. It was found that countries studying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on Korean folk painting should also be expanded to Latin America,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Central Asia beyond Asia.
Third,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ave consumers who consume Korean folk paining as a cultural content, and research institutions or manpower support that approach Korean folk painting at the management strategy level or to research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on Korean folk painting professionally.
Fourth, as Korean Wave expanded to various fields, the personal needs of Korean Wave consumers tended to improve qualitatively and the consumption needs centered on small communities such as individuals and families tended to increase. So,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discover cultural contents linking with the daily characteristic of Korean folk painting with cultural contents targeting Korean Wave consumers who prefer unique(唯一無二) products that are distinct from others.
Fifth, in order to satisfy Korean Wave consumers with various tastes, above all, it was urgent to develop original design techniques utilizing the traditional beauty of Korean folk painting beyond the stage of imit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modern application plan based on the formativeness principles suitable for digital product design utilizing traditional Korean folk painting. Through this, it was judg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design that could increase added value by reproducing the public reluctance to Korean folk painting and developing new traditional images.
In the future society, mental values will be considered more importantly, and the industrial value of Korean folk painting as craft products in daily life that fill human thinking and artistic sensibility will be even higher. Therefore, we should continue the efforts to develop products and to promote Korean culture to overseas markets by discovering the motifs of works will conform to the senses of modern Korean Wave consumers and show global excellent from the Korean folk painting.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of Korean Wave and Folk Paintings
Alternative Author(s)
Snin, Jin-Hee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문화학과
Advisor
이승권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문제 제기 및 목적 1
1. 문제 제기 1
2. 연구 목적 4
제2절 연구 방법 및 흐름도 6
1. 연구 방법 6
2. 연구 흐름도 6

제2장 이론적 배경 8
제1절 민화의 이해 8
1. 민화의 개념 및 특징 8
2. 민화의 철학적 의미와 표현 18
3. 문화원형으로서의 민화 23
제2절 민화의 특성 29
1. 상징성 및 조형성 29
2. 다시점 표현과 색채 표현 39
3. 과장성, 단순성 및 해학성 46
4. 반복과 대칭형 구도 48
5. 대중성 및 실용성 51
제3절 한류문화콘텐츠의 이해 54
1. 문화콘텐츠의 개념과 발전과정 54
2. 문화콘텐츠의 가치와 전망 57
3. 문화콘텐츠 개발의 의미 62

제3장 한·중·일 민속화의 문화콘텐츠 분석과 경제적 가치 70
제1절 한·중·일 민속화의 이해 70
1. 한국의 민화 70
2. 중국의 세화 71
3. 일본의 우키요에 72
4. 종합적 검토 74
제2절 한·중·일 문화콘텐츠 분석 76
1. 한류(韓流) 77
2. 쉬누아즈리(Chinoiserie) 81
3. 자포니즘(Japonism) 82
4. 종합적 검토 83
제3절 한·중·일 민속화의 문화콘텐츠로서의 경제적 가치 86
1. 문화콘텐츠산업과 전통문화 86
2. 문화콘텐츠산업과 연관산업 96
3.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제적 가치 102

제4장 민화의 한류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106
제1절 한류문화콘텐츠의 경쟁력 106
1. 민화의 정체성 106
2. 민화의 철학적 사유 107
3. 민화의 상징성 108
4. 민화의 대중성 109
5. 민화의 치유성 111
제2절 한류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114
1. 경쟁력 강화 방안 114
2. 전략적 지원 방안 116
3. 대중의 창조성 발굴 방안 119
4. 다양성과 지역성 연계 방안 120
5. 시공을 초월한 교류협력 기반 122

제5장 결론 및 제언 125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125
1. 요약 125
2. 시사점 126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28

참고문헌 13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신진희. (2022). 민화와 한류문화콘텐츠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21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2704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