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Evaluation of Articular Eminence Morphology in Patients with Spontaneous Temporomandibular Joint Dislocation using CBCT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지후
Issued Date
2022
Keyword
관절 융기, 콘빔 컴퓨터 단층 촬영, 탈구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사용하여 측두하악관절 탈구환자의 관절융기의 형태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탈구의 소인 및 치료에 대한 이해를 넓혀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탈구로 진단된 만 14세부터 83세의 31명 (남성 10명, 여성 21명) 탈구환자와 만 15세부터 86세의 32명 (남성 16명, 여성 16명)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63명 (남자 26명, 여자 37명)을 대상으로 총 126개의 측두하악관절에 대해 CBCT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절융기의 높이, 너비, 후방경사도는 Parasagittal plane에서 계측하였다. 후방경사도의 측정은 "Top-roof line angle (TR angle)" 방법과 "Best-fit line angle (BF angle)" 방법을 사용하였다. 계측 후, 탈구환자의 좌측과 우측의 관절융기를 각각 따로 구분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고, 양측 관절융기를 비교할 때는 양측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관절융기를 성별, 연령에 따라 비교하였으며, 편측성 탈구환자의 양쪽 관절융기를 서로 비교하고 양측성 탈구환자와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탈구는 남자 (32.3%)보다 여자 (67.7%)에서 빈번하고, 탈구환자의 평균연령은 34.9 ± 18.5 세이고, 남자는 26.6 ± 9.8세, 여자는 38.9 ± 20.3세이다. 탈구환자는 대조군보다 우측 관절융기와 양측 관절융기 평균값에서 TR angle이 더 완만했고, 좌측과 우측 관절융기 모두 대조군보다 너비가 더 넓었다 (p<0.05). 탈구환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관절융기의 높이가 더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p<0.05). 대조군에서 남자는 여자보다 관절융기의 높이가 더 높고, TR angle 및 BF angle이 더 가팔랐다 (p<0.05). 탈구는 20대 (38.7%)에서 가장 빈번하였고, 탈구환자의 왼쪽 관절융기와 양쪽 관절융기 평균값에서 너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p<0.05). 편측 탈구환자에서 탈구가 일어난 부위가 탈구가 일어나지 않은 부위보다 관절융기의 너비는 좁고, TR angle 및 BF angle이 가팔랐다 (p<0.05). 양측성 탈구환자에서는, 좌측과 우측 관절융기의 너비가 대조군보다 넓었고, 양측 관절융기의 TR angle 평균값이 대조군보다 더 완만했다 (p<0.05).

결론: 편측성 탈구환자는 탈구가 일어나는 부위가 탈구가 일어나지 않는 부위에 비해 관절융기의 후방경사도가 더 가파르고 너비는 더 좁았다. 그러나 양측성 탈구환자는 대조군보다, 양측 관절융기 모두 너비가 더 넓고, 양측 관절융기의 후방경사도의 평균값은 더 완만하였다. 이처럼, 탈구의 소인을 밝혔고 임상에서 해부학적 요인을 고려하여 진단 및 수조작술 등의 치료를 시행할 때 적용해볼 수 있다.
Alternative Title
CBCT를 이용한 측두하악관절 탈구환자의 관절융기 형태의 평가
Alternative Author(s)
Kim Ji hoo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치의학과
Advisor
안종모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List of Tables ⅱ

List of Figures iii

Abstract iv

Ⅰ. Introduction 1

Ⅱ. Materials and Methods 4

Ⅲ. Results 10

Ⅳ. Discussion 18

References 25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지후. (2022). Evaluation of Articular Eminence Morphology in Patients with Spontaneous Temporomandibular Joint Dislocation using CBCT.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17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0654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