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latelet-derived materials (PRF, CGF) on new bone formation after endodontic microsurgery
- Author(s)
- 정겨운
- Issued Date
- 2022
- Keyword
- 골 재생, 농축 성장 인자, 치근단 낭, 치근단 절제술, 혈소판 유래 물질, 혈소판 풍부 피브린
- Abstract
-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치근단 병소를 가진 환자 중 현미경을 이용한 치근단 절제술 및 낭종 적출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를 통해 해당 골 결손부에 혈소판 유래 물질(혈소판 풍부 섬유소(PRF), 농축 성장인자(CGF))을 사용하여 신생골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악 전치부 1치관 크기의 치근단 낭을 주소로 조선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대조군 (6명)과 PRF (6명)와 CGF (6명)를 넣은 실험군으로 나누어 무작위 대조 연구를 시행하였다. 현미경을 이용한 치근단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협측 골삭제의 크기는 평균 3-4mm, 근단부위 3mm는 MTA로 역충전하였다. 낭종적출술 및 치근단 절제술 후 두 실험군 12명의 골 결손 부위에 혈소판 유래 물질(PRF 6 명, CGF 6명)을 채우고, 대조군에는 아무것도 넣지 않았다. 수술 직후, 수술 후 3개월 및 6개월이 지났을 때,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을 촬영하여 신생골 형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골 결손부의 체적변화는 Mimics medical softwar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치근단 절제술 및 낭종 적출술 시행 3개월, 6개월 후 골결손부의 재생은 PRF, CGF를 넣은 그룹이 대조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골결손부 감소율은 3개월 후에 측정한 결과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었고 (p<0.05), 6개월 후에 측정한 골결손부 감소율은 세 그룹간 유의성이 없었다 (p>0.05). PRF와 CGF그룹을 비교하였을 경우, CGF를 넣은 그룹에서 골재생비율이 약간 더 높게 나왔으나 이 역시 두 그룹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0.05).
결론: 이 연구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PRF와 CGF를 넣은 실험군에서 현미경을 이용한 치근단 절제술 및 낭종 적출술을 시행한 골 결손부에서 뚜렷한 치근단 부위 골 재생이 관찰되었다. 이는 혈소판 유래 물질(PRF, CGF)을 처리한 치료방법이 초기 신생골 형성에 유효한 효과를 보여준 것으로 치근단 낭의 치료 기간 단축을 기대해볼 수 있다. 그러나 외과적 근관치료에서 이러한 혈소판 유래 물질(PRF, CGF)의 장점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임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