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Effective Feedback' Instrument for Higher Education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규은
Issued Date
2022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수업을 위한 '효과적인 피드백'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효과적인 피드백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대학생 230명에게 ‘효과적인 피드백’에 대한 경험을 묻는 개방형 설문 응답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피드백 특성'과 '피드백 성과'의 구성요인을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 요인의 내용을 대표하는 문항을 개발하였고, 2회에 걸친 전문가 패널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통해 '효과적인 피드백 특성' 5개와 '피드백 성과' 6개의 구성요인이 수정 및 보완되었으며, 이에 기반한 68개의 예비문항이 개발 및 수정되었다. '효과적인 피드백 특성'은 구체적 피드백(detailed feedback), 방향제시 피드백(guiding feedback), 격려 피드백(acknowledging feedback), 상호작용 피드백(interactive feedback), 그리고 적시적 피드백(timely feedback)의 요인으로 이루어졌으며, '피드백 성과'는 이해(understanding), 학습방법(learning method), 성찰(self-reflection), 노력(effort), 도움요청(help-seeking), 자율적 동기(autonomous motivation) 등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검사의 문항을 선정하기 위한 예비검사는 278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피드백 특성' 도구에 대해서는 5요인(구체적 피드백, 방향제시 피드백, 격려 피드백, 상호작용 피드백, 적시적 피드백) 20문항, '피드백 성과' 도구에 대해서는 4요인(이해, 성찰, 도움요청, 자율적 동기) 16문항이 최종적으로 채택되었다.
최종 검사의 타당화를 위해 최종 선택된 검사 문항들을 524명의 대학생들에게 실시하였고, 구인타당도 점검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효과적인 피드백의 구성요인과 측정문항의 구조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내적합치도 신뢰도(Cronbach’s α) 분석을 실시한 결과, '효과적인 피드백 특성'의 하위 도구는 .89~.94(전체 신뢰도: .96), '피드백 성과'의 하위 도구는 .91~.93(전체 신뢰도: .92)로 나타나 하위 도구 및 전체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피드백 관련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변인들 간의 관계가 본 연구에서도 확인되는지를 통해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먼저, 학문분야별로 효과적인 피드백에 대한 학생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학문분야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인문/사회와 예체능 계열에 비해 자연/이공 계열의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효과적인 피드백의 구성 요소에 대해 자신이 수강한 강좌에서의 효과적인 피드백 특성과 성과를 낮게 평정하였다. ‘효과적 피드백’ 측정도구의 모든 구성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숙달목표, 수행목표), 그리고 교수자-학생 관계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특히 교수자-학생 관계 척도의 모든 구성요인과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는데, 이는 교수자에 대한 학생의 신뢰나 교수자의 관심이 학습자로 하여금 피드백을 수용하고 활용하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미 타당화된 검사와 본 연구의 검사와의 공인타당도를 검토한 결과, 본 측정도구는 형성적 피드백 척도와 피드백 리터러시 척도와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어 대학수업을 위한 '효과적인 피드백' 측정도구의 공인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교수자의 피드백은 학습자의 학업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효과적인 피드백' 측정도구는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어떻게 전달하고 피드백이 학습자에게 인지적, 행동적, 그리고 정의적 측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대학수업에서의 피드백의 질 향상을 위해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ternative Title
대학수업을 위한 '효과적인 피드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Alternative Author(s)
Gyueun Kim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김민성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
1.1. Statement of the Problem 5
1.2. Purpose of the Study 7
1.3. Research Questions 8

2. Literature Review 8
2.1. Definition of Feedback 8
2.2. Effective Feedback 12
2.2.1. Feedback Valence - positive vs. negative 13
2.2.2. Timing of Feedback - immediate vs. delayed 17
2.2.3. Content of Feedback - verification vs. elaborated 19
2.2.4. Functional Feedback - directive vs. facilitative 24
2.2.5. Interactive Feedback 26
2.3. Student Perception of Effective Feedback 29
2.4. Effective Feedback in Higher Education 31
2.5. Summary of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Feedback’ 34
2.6. Feedback Outcome 38
2.6.1. Academic Achievement 39
2.6.2. Self-Regulated Learning 40
2.6.3. Motivation 42
2.7. Summary of ‘Feedback Outcome’ 43
2.8. Factors that influence Feedback 46
2.8.1. Student Characteristics 47
2.8.2. Instructor-Student Relationship 48
2.8.3. Feedback across Disciplines 50
2.9. Measurement of Feedback 51
2.9.1. Measurement Tools of Feedback 51
2.9.2. National (Korean) Measurement Tool of Feedback 58
2.9.3. Limitations of Existing Measures 60

3. Methodology 61
3.1. Research Design 63
3.2. Participants 65
3.2.1. Open-Ended Survey 66
3.2.2. Pilot Test 67
3.2.3. Main Test 68
3.3. Ethical Approval 69
3.4. Procedure 1: Conceptualization of EFI 69
3.4.1. Open-ended Survey 69
3.4.2. Data Analysis for Open-ended Survey 70
3.5. Procedure 2: Development of EFI 73
3.5.1. Content Validation: Introduction of Framework and Preliminary Item Pool 74
3.5.2. Readability 77
3.6. Survey 78
3.6.1. Pilot Test 78
3.6.2. Main Test 78
3.7. Exploratory Factor Analysis 79
3.8. Reliability 80
3.9. Validation Process 80
3.9.1. Construct Validity 80
3.9.2. Convergent and Divergent Validity 81
3.9.3. Concurrent Validity 83

4. Results 84
4.1. Conceptualization of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Feedback’ and ‘Feedback Outcome’ 85
4.1.1.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Feedback’ based on Open-ended Survey 86
4.1.2. ‘Feedback Outcome’ based on the Open-ended Survey 90
4.1.3. Conceptual Framework of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Feedback’ and ‘Feedback Outcome’ 95
4.2. Development of EFI 100
4.2.1. Content Validation 100
4.2.2. Selection of the Items for Final Instrument 119
4.2.3. Reliability 119
4.2.4. Items for Final Instrument 124
4.3. Validation of Final Instrument of EFI 128
4.3.1. Construct Validity 128
4.3.2. Convergent and Divergent Validation 135
4.3.3. Concurrent Validation 142

5. Discussion 144

References 156

Appendices 197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규은. (202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Effective Feedback” Instrument for Higher Education.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17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7416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