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한국 현대무용의 활성화 방안 탐색

Metadata Downloads
Author(s)
서정화
Issued Date
202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by deriving perceptions and problems of Korean contemporary danc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dance education experts who have long served in university dance departments in Gwangju, Jeonbuk, and Chungnam.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literature survey on the flow of Korean contemporary dance using domestic and foreign books and paper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ree dance experts with 45 years of dance experience,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survey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ranscription, encoding, categorization, and topicization processes.

A. Recognition of modern danc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o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dance in Gwangju, Jeonbuk, and Chungnam, it can be seen that the perception of contemporary dance has improved significantly since the 1960s, and that it was the active activity of contemporary dance groups based on the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The dance department of local universities was the birthplace of modern dance culture in each region, and dance groups composed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actively strengthened their presence across the country and in each region, and through dance festivals such as national dance festivals, local dance groups were able to grow further. This is in line with literature studies that the reason why modern dance was able to develop rapidly is the opening of dance departments at each university. Contemporary dance in Korea conducted modern dance education starting with the Department of Dance at Ewha Womans University, which was newly established in 1963 as the first in Korea. The opening of Ewha Womans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produced many talented people who combined theory and practical skills, and faced a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American dance.
With the establishment of Yuk Wan-soon's Masagra-ham technique and numerous modern dance companies in the 1970s, modern dance in Korea has steadily developed with the breakaway from the Masagra-ham style and Korean indigenousization work. After the 1970s, potential dance was introduced, and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movement to change all of the existing styles, and experimental choreography was characterized. In the 1980s, various styles such as the revision of the performance law and the choreography focused on the movement itself by young choreographers and expressions using various media were combined to show a tendency to express overall expression. Afterwards, through the works of foreign contemporary dance companies through the 88 Seoul Olympics and the 88 Asian Games, Korean choreographers began to attempt experiments with strong Korean colors and spread international dance exchanges. In the 2000s, international exchanges became very active based on the founding of the National Contemporary Dance Company, and Korean contemporary dance reached a level that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world.

B. Problems with Korean contemporary dance.
At this point, experts presented their opinions on the problems and directions of current Korean contemporary dance. Modern dance in the past suffered a lot of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human resources and social environment, such as difficulties in fostering professional dancers, giving up the career of dancers due to marriage, etc. However, since the 2000s, these problems have been easing. However, the current Korean contemporary dance has problems such as misrecognition of works, economic burden, and entrance exam-oriented work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nature of modern dance is threatened by uniform work activities that began from the time of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current uniform curriculum does not help to advance into various specialized fields related to dance after graduation.

C. The direction of Korean contemporary dance.
Accordingly, experts suggested opinions on the direction of modern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the direction of modern dance performances in the future. Modern dance education in the future should be specialized and specialized. In other words, by developing a curriculu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students should already be able to select specialized fields from the time of entrance examination, and creative professionals in more subdivided fields should be trained through specialized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If experts in various fields related to dance are trained through this, the quality of dance performances will also be improved through their collaboration. In addition, in the future, various performance cultures that can enjoy modern dance closer to life should be developed, and various values such as the therapeutic value of dance should be further explored and developed.
Experts' perception of the problems of Korean contemporary dance reminds students of the need to face the essence of modern dance by breaking away from entrance exam-oriented dance, and opinions on the specialization of the curriculum suggest directions on how policymakers can solve this problem at this time. In other words, if local dance departments coexist and enhance academic depth through specialization, it will be helpful to overcome the current crisis with local university dance departments.|본 연구는 광주, 전북, 충남의 대학교 무용과의 교육현장에서 오랫동안 재직한 무용 교육 전문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질적연구를 통해 한국 현대무용에 대한 인식 및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단행본, 논문 등을 활용한 한국 현대무용의 흐름 관한 문헌 조사와 무용경력 45년 이상의 무용 전문가 3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심층면담과 문헌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 부호화, 범주화, 주제화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가. 현대무용에 대한 인식

광주∙전북∙충남의 현대무용의 역사에 대하여 전문가의 심층면담을 통해 1960년대 이후 현대무용이 큰 발전을 이루어 오는 동안 현대무용에 대한 인식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이러한 발전 및 인식개선에 영향을 미친 것은 대학의 무용과에 기반을 둔 현대무용단들의 활발한 활동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방대학교 무용과는 각 지방의 현대무용 문화의 산실이었으며, 지방대학교 학생 및 졸업생들로 구성된 무용단이 전국 및 각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여 현대무용의 존재감을 강화하였고, 전국무용제 등의 무용제를 통해 이러한 지방의 무용단들이 한층 더 성장할 수 있었다. 이는 빠른 속도로 현대무용이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가 각 대학 무용과의 개설이라는 문헌연구들과도 맥을 같이 한다. 한국의 현대무용은 1963년 국내 최조로 신설된 이화여대 무용과를 시점으로 현대무용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화여대의 무용과 개설은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많은 인재들이 배출되었고 미국 현대무용이 발전되는 전환점을 맞게 되었다.
한국의 현대무용은 육완순의 마사그라함식 테크닉과 1970년대 수많은 현대무용단이 창단되면서 마사그라함 스타일에서의 탈피 와 한국적 토착화 작업이 꾸준히 일어나며 발전하였다. 70년대 이후에는 전위 무용이 소개됨과 동시에 기존의 스타일에서 모두 바꾸려는 움직임이 일어났으며 실험적인 안무가 특징적이다. 1980년대에는 공연법 개정과 젊은 안무가들에 의한 동작 자체에 중점을 둔 안무와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표현 등 다양한 양식이 결합하여 총제적인 표현 경향을 보였다. 이후 88서울 올림픽, 88아시안게임 등을 통하여 외국현대무용단의 작품을 통해 한국의 안무가들은 한국적 색채가 강한 실험적 시도와 국제 무용교류의 확산이 시작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국립현대무용단의 창단 등을 바탕으로 하여 국제적인 교류가 매우 활발해 졌으며, 한국의 현대무용이 세계와 비교해서도 뒤쳐지지 않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나. 한국 현대무용의 문제점

이러한 시점에서 전문가들은 현재의 한국 현대무용의 문제점 및 나아갈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과거의 현대무용은 전문적인 무용수 양성의 어려움과 결혼 등으로 인한 무용수의 커리어 포기 등 인적자원의 부족과 사회 환경에 의한 어려움을 많이 겪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에는 이러한 문제들이 완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의 한국 현대무용은 작품에 대한 잘못된 인식, 경제적인 부담감, 입시위주의 작품 활동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입시 때부터 시작된 획일화된 작품 활동으로 인해 현대무용의 본질이 위협을 받으며, 현재의 획일화된 교육과정은 졸업 이후 무용에 관련된 다양한 전문분야로 진출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 한국 현대무용이 나아갈 방향

이에 전문가들은 앞으로 한국의 현대무용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현대무용공연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앞으로의 현대무용 교육은 특성화와 전문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각 대학의 특성에 맞는 커리큘럼의 개발로 학생들이 입시 때부터 이미 전문분야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전문화된 교육과 융복합교육을 통해 더욱 세분화된 분야의 창의적인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이를 통해 무용에 관련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양성된다면, 이들의 협업을 통해 무용공연의 질도 제고될 것이다. 또한, 앞으로는 현대무용을 생활 속에서 더욱 가깝게 즐길 수 있는 다양한 공연문화가 발전되어야 하며, 무용의 치료적 가치 등 다양한 가치가 더욱 탐구되고 발전되어야 한다.
Alternative Title
Exploring ways to revitalize Korean contemporary dance.
Alternative Author(s)
Seo Jung Hwa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무용교육
Advisor
임지형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4
3. 용어의 정의 5
4. 연구의 제한점 7

Ⅱ. 이론적 배경 8
1. 한국 현대무용의 이해 8
가. 1960년~1970년 후반 8
나. 1980년~1990년 후반 11
다. 2000년~2020년 12
2. 연구 경향 13

Ⅲ. 연구 방법 14
1. 연구 설계 14
2. 연구 참여자 15
3. 연구 절차 16
4. 자료수집 17
가. 심층면담 18
5. 자료 분석 19
6. 연구의 진실성 20

Ⅳ. 연구 결과 21
1. 현대무용에 대한 인식 22
가. 2000년대 이전의 현대무용에 대한 인식 22
나. 2000년대 이후의 현대무용에 대한 인식 24
다. 앞으로의 현대무용에 대한 인식 26
2. 현대무용의 문제점 28
가. 2000년대 이전의 현대무용의 문제점 28
나. 2000년대 이후의 현대무용의 문제점 28
3. 한국 현대무용이 나아가야 할 방향 32
가. 현대무용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32
나. 현대무용공연이 나아가야 할 방향 34

Ⅴ. 논의 36

Ⅵ. 결론 및 제언 42
1. 결론 42
2. 제언 44

참고문헌 45

부록 48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서정화. (2022). 한국 현대무용의 활성화 방안 탐색.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15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634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