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무용예술강사 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조사
- Author(s)
- 윤영빈
- Issued Date
- 2022
- Keyword
- 무용
- Abstract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houghts and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dance education by examining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uss the necessity and vitalization of dance education and to present empirical data and directions for understanding middle school dance classes. To this end, this study proved the differentiation and logic of the study by conducting a vertical study of the survey composition, a quantitative study presented based on data such as class management, survey, and perception survey of previous studies, reflecting the current situation.
In a quantitative study, which is a vertical study, four middle schools in Jeollanam-do, which operate school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were surveyed, and the data of the final 245 student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Meanwhil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cross-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of SPSS 22.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ults on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dance classes showed that they were more than 'yes', and in particular, they were highly aware of functional aspects such as artistic talent development, creativity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hysical expression ability. Second, most of the results o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dance classes were 'yes' or higher, an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y had a high perception of the change in perception of da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art instructor's teaching method after class. Third, looking at the results of recognition of class management, 'broadcasting dance' was the most preferred physical activity, and the desired dance class time was 'one hour a week', and the desired dance class method was 'practice-oriented class operation'. Fourth, looking at the results of ways to revitalize dance education, most of them were 'normal' or higher,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n opinion that professional teachers who majored in life dance should be assigned rather than pure dance.
In qualitative research, which is a horizontal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fter detailed explanation of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study to students taking classes as school dance art instructors. The questionnaire for in-depth interviews was reorganized based on the data from previous studies and selected into 8 questions, and transcribing was performed using interview techniques. Transcription work applied content, one of the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duplicate words and sentences were selected and encod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dance was recognized as a creative dance, and dance was considered a free subject for students as a class through communication and anaerobic power with friends. It was found that the dance class was recognized as a class that learns dance and correct posture, develops creative thoughts, and expresses them with the body. Second, there was an opinion that dance was recognized as a tool for self-expression and confidence was improv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contributes to the cultural understanding and accessibility of dance classes by encountering not only Korean dances but also various foreign folk dances. Third, unlike the injection method of major subjects, dance classes were found to increase interest in dance classes by directly experiencing and expressing what was suggested. Fourth, there were opinions that a dance room was needed and that equipment and materials necessary for classes such as a full-body mirror should be arranged. In addition, more diverse classes should be conducted by showing interest in creative dance during dance classes.
Taken together,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hool dance art instructors' classes were positive. However, it seems that there are facilities or environmental restrictions to support this. These results can reduce the interest in dance classes and eventually affect the satisfaction of dance classe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rough the development and steady research of various classes, professional education can be provided to students to increase the prop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dance education.|본 연구는 중학교 무용예술강사 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여 무용교육에 있어 중학생의 생각과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더불어 무용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에 대해 논하고 중학교 무용수업을 이해하는데 실증적인 자료와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수업 운영 및 실태조사, 인식조사 등의 자료를 근거로 제시한 양적 연구인 설문구성의 수직적 연구와 현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실증적인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구성한 질적 연구의 수평적 연구를 진행하므로 연구의 차별화 및 논리성을 입증하였다.
수직적 연구인 양적 연구에서는 학교무용예술강사 수업을 운영하는 전라남도 지역의 중학교 중에서 4개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최종 245명의 자료를 실증적인 분석에 활용하였다. 한편, 수집된 자료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PSS 22.0의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증(independent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C r o s s t a b 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수업 가치의 인식에 대한 결과에서는 대부분 ‘그렇다’ 이상의 응답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예술적인 재능 개발, 창의성 개발, 신체표현 능력 향상 등의 기능적 측면에 높은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수업 효과의 인식에 대한 결과는 대부분 ‘그렇다’ 이상의 응답이 나타났으며, 특히, 수업진행 후 무용에 대한 인식변화, 예술강사 수업 방식에 대한 만족도에서 높은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운영에 대한 인식결과를 살펴보면 희망하는 신체활동으로 ‘방송댄스’를 가장 선호했고 희망하는 무용 수업시간은 ‘주 1시간’으로 나타났으며, 희망하는 무용수업 방식은 ‘실기 위주의 수업운영’이라 응답하였다. 넷째,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 ‘보통이다’ 이상의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순수무용보다 생활무용의 관심과 무용을 전공한 전문교사가 배치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다른 연구와는 달리 남학생의 비율이 여학생의 비율보다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최근 사회적 이슈인 K-POP, 스트릿 댄스 등의 여파가 미치는 영향이라 볼 수 있다. 더불어 무용교과에서 또한 이러한 이슈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고 전문 무용수의 체계적 양성과 배치가 요구되어야겠다.
수평적인 연구인 질적 연구에서는 학교무용예술강사 수업을 받는 학생에게 연구의 목적과 취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 후 개별면접을 통해 심층면담(in-depth interview)을 하였다. 심층면담의 질문지는 선행연구의 자료를 근거로 재구성하여 8문항으로 선별하였고 인터뷰 기법을 활용한 전사 작업(Transcribing)을 하였다. 전사 작업은 귀납적 범주분석의 하나인 내용을 적용하였으며, 중복된 단어와 문장들을 선별하여 부호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을 창의적인 춤이라고 인식하고 친구들과 소통 및 혐력을 통한 수업으로 무용은 학생들에게 자유로운 교과로 여겨졌다. 무용수업은 춤과 올바른 자세를 배우고 창의적인 생각을 길러 몸으로 표현해내는 수업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을 자기 표현의 도구로써 춤의 다양함을 인식하고 자신감이 향상되었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국 민속무용을 접하면서 무용수업의 문화적 이해와 접근성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수업은 주요 교과목의 주입식과는 달리 직접 체험하고 내제된 것을 표현함으로써 무용수업의 흥미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실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전신거울과 같은 수업에 필요한 기자재들이 배치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또한 무용수업 중 창작무용에 관심을 보이며 더 다양한 수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종합해보면, 중학생들의 학교무용예술강사 수업에 대한 인식이 대부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 해줄 시설이나 환경적인 제약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수업의 흥미를 떨어트리고 결국 무용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수업의 개발과 꾸준한 연구로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교육을 하여 무용교육의 올바른 인식과 만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Alternative Title
- A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hool dance art instructors' classes.
- Alternative Author(s)
- Young-bin Yun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무용교육
- Advisor
- 임지형
- Awarded Date
- 2022-02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 문제 3
4. 연구의 제한점 3
5. 용어의 정의 4
II. 이론적 배경 5
1. 무용교육 5
2. 무용예술강사 7
2. 무용 인식도 8
III. 연구방법 10
1. 연구설계 10
2. 양적연구 11
3. 질적연구 14
IV. 연구결과 19
1. 양적연구 결과 19
2. 질적연구 결과 45
V. 논의 52
VI. 결론 및 제언 59
1. 결론 59
2. 제언 61
참고문헌 62
부록 66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Citation
- 윤영빈. (2022). 학교무용예술강사 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조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15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760
-
Appears in Collections:
-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