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관점에서 민주시민 양성을 위한 일반사회교육의 교과 내용에 관한 연구
- Author(s)
- 송채령
- Issued Date
- 2022
- Abstract
- In our modern societies, the aspects of big social changes including globalization, information, and opening is appearing, and our societies changing rapidly bring about various social problems, and by extension, we are face international problems. In the condition of that, the importance of social studies are being emphasized for the sake of cultivating democratic citizens equipped with the ability of rational decisions on the basis of moderate understanding about social problems and analytic ability.
The ultimate objective of general social education is to have the civic qualities and citizenship required by society. In order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nd the future society,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ims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faced by our society as a qualification of democratic citizens. There is a need to integrate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we should strive to cultivate citizens with realistic social awareness through a realistic and concrete approach to social problems.
Through general social education, learner and instructor acquire the extensive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adapt world and deal with fast changing world. Also to have something as a target to train teacher for helping learners to grow into democratic citizens and improve their decision making competency. And There have been efforts made by government agencies, private organizations and lots of schoolteacher to revitalize general social education. Students’ behavior pattern and values are formed by experience and interaction through school life. Teachers play an important role among the various factors that students face. In addition to school counseling and guidance, teachers guide students through the class to make them achieve academic achievement and have the necessary personality and attitude as a democratic citizen.
Based on these, it is intended to select the qualities of a democratic citizen to find out what are the qualities of a democratic citizen that are recognized as important, and to suggest which characteristics of a democratic citizen should be emphasized more importantly in school, in the rapidly changing reality of Korean society.
Project Class is one of the general society education teaching method. It is also the learning method based on reflection on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learning method that nurtured manpower in an industrial society. Students take initiative in the whole process of learning and explore issues. And they perform the expression of the result. For those reasons I‘d like to say about a Project Class that aims to improv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If systematic education systems are developed, those will help students improve general society education and it can lead to the cultivation of class expertise and the improvement of teacher efficacy.
In this way, we will be able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 who need modern society by improving their ability to solve problems creatively through rational decision-making by understanding critical social issues more effectively and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skills.|사회과 교육은 민주시민을 양성하기 위해서 사회현상에 관한 기초 지식과 역량은 물론 지리, 역사 및 사회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발견하고 탐구하는 역량을 습득하여 우리 사회와 세계의 여러 모습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며, 공동체 생활 참여에 필요한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어 사회과 교육은 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시민교육이나 시민성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에서의 민주시민 양성을 위한 사회과교육은 다른 교과목이나 학교 밖의 어떠한 활동보다도 아동이나 청소년들을 위한 중요한 시민교육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민주시민의 사전적 의미는 민주주의 원리 존중과 실천하는 태도를 지니며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동시에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사람이다. 민주시민의 자질 또는 시민성 함양은 사회과교육에서 가장 전통적인 목표이며 궁극적인 목표이다. 이러한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사회과교육은 사회적 환경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시대적 상황에 맞는 자질을 육성하는 사명을 가진 교과목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과교육에서는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민주시민의 자질도 변화되며, 민주시민의 자질로 인간존중, 자율성, 합리성, 준법성, 개방성 등이 강조되고 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의 가장 큰 특징은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심미적 감성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습득을 위해 학습자가 학습목표, 학습활동 및 평가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그 바탕이 되는 교육철학이 구성주의이다. 객관주의 인식론에 바탕을 둔 교육관에서는 교육내용이 교사나 교과서에 이미 정해져 있고 단편적인 지식을 주입하는 주입식 교육에 초점을 두고 교육의 결과도 객관적 평가로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학교 현장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가령, 지식의 단순한 암기와 주입식 교육에 치중한 나머지 지식을 습득하고 구성하는 고급 능력이 육성되지 못한다는 한계가 그것이다. 이에 비해 구성주의 관점에서는 학습자 자신이 능동적으로 학습 능력을 키우고 학습환경을 조성해 나가며, 교수-학습 과정에서는 역사성, 상황성, 구체성, 독특성, 다양성 등을 강조하는 교육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민주시민 교육에 관한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배정 양상과 관련 연구들에서 이루어진 논의를 살펴보고 적절한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연계적 교육 형성이 요구된다는 점을 논하고자 한다. 또한, 세계에 대한 개인 경험의 재해석이라 가정할 수 있는 구성주의적 인식을 토대로 고등 사회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여 앞으로 개선, 발전되어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는 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고등 통합사회 교교과서의 사회현상에 관한 내용과 함께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하여 제시된 여러 자료의 활용도와 탐구활동의 활용을 분석하였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통합사회 교과서의 교육과정과 민주시민교육을 시행한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한국 다섯 국가를 연구범위로 정하였으며 논문, 전문 서적, 정부 통계,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등 민주시민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선행 연구 고찰과 내용 분석 등을 문헌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맥락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이론적 논지로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사회과 교육과정의 배경과 목표 및 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고등 사회 교과서에서 사회문제를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학생들의 학습 역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하는 자료의 활용도를 살펴보았다. 셋째, 이에 따른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가치적 측면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는 분석 후 실제 수업 사례와 사용되었던 지도안들을 살펴보고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구성주의적 수업모형과 방법을 분석하였다.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Content of General Society Education for Cultivating Democratic Citizen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 Alternative Author(s)
- Song Chae-ryeong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
- Advisor
- 박희서
- Awarded Date
- 2022-02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Ⅴ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목적 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2
제2장 이론적 배경 3
제1절 구성주의의 관점 3
1. 구성주의의 개념 3
2. 구성주의의 발달과정과 학습원리5
3. 구성주의의 유형 6
4. 구성주의 접근의 유용성 8
제2절 사회과 교육과정과 구성주의 10
1. 사회과의 목표와 내용에서의 구성주의 10
2.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에서의 구성주의 12
3. 구성주의의 교육적 함의 13
제3절 민주시민교육의 주요 내용 15
1. 인간존중 15
2. 자율성 16
3. 합리성 17
4. 준법성 18
5. 개방성 19
제4절 외국의 민주시민교육 동향 19
1. 미국 19
2. 독일 21
3. 프랑스 23
4. 일본 25
5. 시사점27
제3장 고등 사회 교과서의 구성주의 관점에서의 민주시민 교육현황 분석 28
제1절 본 연구의 분석범주 28
제2절 고등학교 사회교과서의 민주시민 교육현황 분석 30
1. 사회과 교과서의 논리전개 30
2. 학습의 중심 주체 31
3. 학습과제의 특성 32
4. 사회과 교과내용의 구성방식 35
5. 학습형태 41
제3절 분석결과의 논의 47
1. 사회과 교과서의 논리전개 47
2. 학습의 중심 주체 48
3. 학습과제의 특성 49
4. 사회과 교과내용의 구성방식 51
5. 학습형태 52
제4장 결론 54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54
제2절 연구의 함의 55
제3절 향후 발전방향 56
참고문헌 59
부록 62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Citation
- 송채령. (2022). 구성주의 관점에서 민주시민 양성을 위한 일반사회교육의 교과 내용에 관한 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11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803
-
Appears in Collections:
-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