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장애학생 음악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Metadata Downloads
Author(s)
안승연
Issued Date
2021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장애학생 음악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지역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 52명을 대상으로 모바일을 통한 설문조사 하였다.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장애학생들의 음악교육 실태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음악 수업 시수는 주당 1시간이라고 응답한 교사 수가 많았으나, 주당 2시간이 적합하다고 하였다.
둘째, 많은 특수학급 교사들이 전문적인 음악 지식의 부족으로 다양한 영역의 음악 수업이 골고루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셋째, 장애학생들의 음악 수업 시 대부분 일반 학교 음악 교과서를 활용하고 있으며, 교재가 학생들에게 어렵다고 하였다.
넷째, 대부분 특수학급 교사들은 가창 중심의 음악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가창 수업 시 교과서 CD 반주를 주로 활용하고, 수업을 위해 주로 인터넷과 동료 교사와 정보공유를 하고 있다고 하였다.
다섯째, 특수학급 교사와 장애학생들 모두 기악과 창작 영역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장애학생들 대부분이 복잡한 가락이나 리듬의 변화 등을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장애학생 음악교육의 개선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에서 음악 수업 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특수교사들을 위한 음악 관련 교과의 전문적인 지식을 지속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 유형을 막론하고 장애학생들이 음악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장애학생들의 수준과 개별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과 다양한 교재·교구를 마련하기 위한 특수교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장애학생들이 음악을 쉽게 배우고 습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장애학생들의 질 높은 음악교육을 위해 순회 전담 교사의 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장애학생들의 음악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음악 수업을 통해 장애학생들에게 잠재능력을 발휘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성 발달 촉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전문적인 음악교육이 실현되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on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education for handicapped students and improvement plans.
In this study, a mobile survey was conducted with 52 teachers in special classes in middle schools in Jeollanam-do.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education for handicapped students perceived by special class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number of hours of music class in a special class was 1 hour per week, but they also answered that 2 hours per week is appropriate.
Second, because of the shortage of professional music knowledge of special class teachers, music classes in various fields were not conducted evenly.
Third, most of the music classes of handicapped students use general school music textbooks, but they are too difficult for them.
Fourth, most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are conducting music classes focused on singing and they mainly use textbook CD accompaniment for singing classes. They also said that they were sharing information with the fellow teachers and the Internet for the class.
Fifth, both the special class teachers and handicapped students sai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the field of instrumental music and creation, and most of the handicapped students said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creatively express complex melodies or rhythm changes.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 ways to improve music education for handicapped student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for special teachers who have difficulty in teaching music in special classes to obtain professional knowledge regarding music-related subjects continuously.
Seco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handicapped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music classes regardless of the type of disability, and to prepare teaching-learning methods considering the level and individuality of handicapped students. In addition, special teachers' efforts to prepare various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are needed.
Third, research in various fields should be conducted so that handicapped students can easily learn music, and dedicated traveling teachers should be assigned for high-quality music education for handicapped students.
Finally, I will conclude this thesis hoping that research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for handicapped students be actively conducted, providing them opportunities to demonstrate their potential through music classes, and realizing professional music education that can promote social development.
Alternative Title
State and Improvement Plans of Musical Education for Handicapped Student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Alternative Author(s)
An seung ye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Advisor
정은희
Awarded Date
2021-08
Table Of Contents
표 목 차 ⅲ
ABSTRACT ⅳ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1. 장애학생 음악교육의 필요성 4
2. 장애학생 음악교육의 목표 및 효과 5
가. 장애학생 음악교육의 목표 5
나. 장애학생에게 미치는 음악교육의 효과 9
3. 장애학생 음악교육의 방법 12
가. 장애유형별 음악교육 13
나. 영역별 음악교육 17
4. 선행연구 고찰 25

Ⅲ. 연구 방법 30
1. 연구대상 30
2. 연구도구 31
3. 연구절차 및 자료처리 32

Ⅳ. 연구 결과 33
1. 장애학생 음악교육의 실태 33
2. 장애학생 음악교육의 개선방안 40

Ⅴ. 논의 45
1. 특수학급 음악교육의 실태 45
2. 특수학급 음악교육의 개선방안 46

Ⅵ. 결론 및 제언 47
1. 결론 47
2. 제언 및 연구의 제한점 48

참 고 문 헌 49

부 록 52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안승연. (2021).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장애학생 음악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97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7212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8-27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