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와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부모성찰의 조절된 매개효과
- Author(s)
- 강서로
- Issued Date
- 2021
- Abstract
- 본 연구는 원부모의 과보호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와 원부모의 과보호와 어머니의 자기분화 사이에서 부모성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통합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남 및 광주 소재 유아기관에 재원 중인 자녀를 둔 어머니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무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후 374명의 자료를 SPSS 26과 IMB SPSS AMOS 26 및 SP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분화는 원부모의 과보호와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원부모의 과보호가 어머니의 자기분화를 통해 부정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부모성찰은 원부모의 과보호와 자기분화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부모성찰 수준에 따라 원부모의 과보호와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원부모의 과보호가 자기분화를 매개하여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부모성찰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매개모형과 조절모형을 합한 조절된 매개모형의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protection of primary parents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and the control effect of parental introspection between hyper-protecting of primary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of mothers, and verified the coordinated effect of integrating it. To this end, 380 mothers with children were surveyed at infant institutions in Jeollanam-do and Gwangju.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 and IMB SPSS AMOS 26 and SPSS MACRO, except for non-response or non-faith responses. Consequently, the identifi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differentiation has been confirmed to completely medd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protection of the original parent and the negative parenting of the mother. This means that the overprotection of the original parent affects the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rough the mother's self-differentiation. Second, parental introspection was found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protection and self-differentiation of primary parents.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protection and negative parent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parental introspection. Finally, the controlled mediated effect of parental reflection was significant in the path of self-discrimination leading to negative parenting behavior, confirm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controlled intermediary combining the mediated model and the regulatory model.
- Alternative Title
- A regulated mediating effect of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al reflection in the mother's perceptual overprotection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relationship
- Alternative Author(s)
- kang seoro
- Affiliation
- 상담심리학과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상담심리학과
- Advisor
- 오지현
- Awarded Date
- 2021-02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 자기분화와 부정적 양육행동 6
1.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와 자기분화 6
2.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 자기분화와 부정적 양육행동 8
B. 자기분화, 부모성찰과 부정적 양육행동 10
C.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 자기분화, 부모성찰과 부정적 양육행동 13
Ⅲ. 연구방법 15
A. 연구대상 15
B. 측정도구 15
C. 연구절차 18
D. 분석방법 18
Ⅳ. 연구결과 19
A. 측정모형 검증 19
B. 구조모형 검증 22
1.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22
2. 부모성찰의 조절효과 24
3. 부모성찰의 조절된 매개효과 26
V. 논의 및 결론 28
참고문헌 33
부록 42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강서로. (2021). 어머니의 지각된 과보호와 부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부모성찰의 조절된 매개효과.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89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0902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1-02-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