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안창후 문학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호소운
Issued Date
2021
Keyword
안창후, 안창후 문학, 한설이십오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nchanghu's literature and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by intensively analyzing the Korean poetry, Chinese prose, and Korean poetry published in , written by Anchanghu, a writer in the late Joseon period.
When looking at the expressions used in the han poetry works written by Anchanghu, there is a tendency to use simple, unaffected language rather than flashy and profound modifiers. In particular, it is emphasizing true feelings in the creation of Korean poems. And in his poems, there aren't many sigyeongs and warriors, but instead contain a lot of his own aspirations and Confucian ideology. In addition, it seems he intended to teach while criticizing the problems that were not correct in society by borrowing poetry based on the position of jaedo theory and placing importance on the function of han poetry. Through this, he was able to confirm his worth in a situation where he was not able to succeed, and as a Hyangchonsa tribe, he tried to transform evil spirits into society.
Looking at Anchanghu's prose, it seems that he is using the door to teach individual personality training and ceremonial occasions in everyday life. Among them, there are many teachings on etiquette, and it seems that it is intended to make the people of this world polite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ceremonial occasions related to studying abroad. And Anchanghu puts the most importance on rituals in ceremonial occasions. In addition, it seems that it is trying to stabilize the order of society through edification so as to equip both individuals and families.
Likewise in Korean poetry, it seems that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was taught to people through the sijo. Among them, poetry widely teaches how to properly treat the various relationships that have come into society so that humans can live like a military man.
Overall, it seems that Anchanghu likes a straightforward and unaffected way of expression, emphasizes the function of literature, and criticizes the current situation starting from the theory of jaedo, while teaching the ideology of studying abroad in literature.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y tried to recover the loss of courtesy and the dizziness of personality that existed in society at the time. Therefore, when referring to the literary tendencies of many literary men in society at that time, Anchanghu's literature can be defined as a relatively very conservative and old-fashioned trend, and appears to be a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 Considering these points, it can be said that Anchanghu's literature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humanistic cultivation for the people of the late Joseon Dynasty, especially the people and scholars living in the Honam region.|본고는 조선후기 문인 안창후가 남긴 에 실린 한시, 한문 산문 및 국문시가를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안창후 문학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창후 문학의 문학사적 위상을 규정하고자 하였다.
안창후는 향촌사족 출신이며, 효도를 지키고 형제간에 우애를 돈독히 하면서 학문과 실천에 전념했던 인물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와 라는 두 필사본의 차이를 살펴보고 양쪽에 존재하는 의미 있는 기록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가 선본임을 알 수 있었다.
안창후의 문학 세계를 한시, 한문, 산문, ‘한설이십오’의 셋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 각각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한시를 살핀 결과 안창후가 지은 한시 작품은 불우한 신세 한탄, 유교적 도의 표출, 지(志)와 진(眞)의 직설적 표현 등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안창후는 과거에 대한 집착이 강한 편이었다. 그러나 그는 끝내 문과에 급제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그는 출세하지 못한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는 작품을 많이 창작하였다. 그런가 하면 벼슬길에 나가 백성을 위한 정치를 하는 길이 막힌 안창후는 자신이 살고 있는 향촌사회에서나마 사족으로서의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스스로 갈고 닦는 유교적 도의 실천과 관련된 작품을 짓기도 하였다. 한편 안창후는 시를 쓸 때 화려한 수식을 가하기보다는 내면의 뜻과 진정을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드러내는 직설적 표현을 선호하였다.
안창후의 산문을 보면 그가 문을 이용하여 일상생활에 필요한 개인의 인격 수양과 관혼상제 등의 예절을 가르치고자 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예에 대한 가르침이 많이 나타나는데 전통적 관혼상제의 예절을 재해석함으로써 당대 사람들에게 필요하고 실천 가능한 간소한 예절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안창후는 관혼상제에서 제례를 가장중요시하고 있는데 이는 가문의 화목을 도모하여 가문이 더욱 번창하기를 바라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안창후의 문학 세계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한설이십오’라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주제 25개를 선정하고 이를 한문산문, 한시, 국문시가의 순서로 나누어 각각의 특성에 맞게 제시하고 있다. ‘한설이십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인간의 심성과 처사에 관한 가르침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도리와 관련된 이런 가르침은 안창후가 평생을 두고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문제였다. 이와 더불어 부모에 대한 효도와 가문의 화목을 강조하는 내용도 꽤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고에는 조선후기 호남지역을 대표하는 향촌사족의 문학 특성과 비교하여 안창후 문학의 문학사적 위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여타의 향촌사족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 ‘한설이십오’와 같은 독특한 문학적 형태가 나타난다는 점과 향촌공동체를 바라보는 시선이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상태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유학의 이상적 이념을 보급하려는 열정이 매우 강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의 이런 열정이나 유학에 관한 문학 창작 및 교화는 그의 가문인 죽산 안씨 집안의 전통에서 비슷한 이념적 지향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안창후의 문학세계가 가문적 전통에 기인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Anchanghu's literature
Alternative Author(s)
HU XIAOYUN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이상원
Awarded Date
2021-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Ⅲ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사 검토 2
3. 연구 대상 및 논의 순서 4

Ⅱ. 안창후의 생애 및 의 성격 5
1. 안창후의 가계 및 생애 5
1) 안창후 가계의 특성 5
2) 안창후의 생애 7
2. 와 에 관한 고찰 10
1) 의 구성 11
2) 의 구성 13
3) 와 의 비교 15

Ⅲ. 안창후의 문학 세계 20
1. 한시의 특성 20
1) 불우한 신세 한탄 21
2) 유교적 도(道)의 표출 25
3) 지(志)와 진(眞)의 직설적 표현 27
2. 한문 산문의 특성 30
1) 일상적 삶에 필요한 기본 윤리 제시 32
2) 실현 가능한 예에 대한 강조 40
3. 한설이십오의 특성 43
1) 인간의 심성과 처사에 관한 가르침 45
2) 부모에 대한 효도와 가문의 화목 강조 48

Ⅳ. 안창후 문학의 문학사적 위상 53

Ⅴ. 결론 56

참고 문헌 58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호소운. (2021). 안창후 문학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88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025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