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대학생의 공감과 사회적 관심과의 관계에서 상위기분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uthor(s)
장보라
Issued Date
2021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공감, 사회적 관심, 상위기분의 관계를 밝히고, 사회적 관심에 대한 공감의 영향에 있어 상위기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한 설문지 조사법으로 진행되었다. 조사 기간은 2020년 4월 6일부터 2020년 4월 30일까지로 총 320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 불성실한 응답지 21부를 제외하고 총 29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사회적 관심척도, 공감 척도, 상위기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 18.0(spss 18.0)와 AMOS 23.0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사람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분포파악을 위해 빈도빈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변인의 수준과 정규성을 검토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SPSS를 통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편향 수정 부트스트랩을 적용하여 공감이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위기분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공감과 사회적 관심, 상위기분과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본 결과, 각 요인들 간의 정적상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공감과 상위기분의 정적상관, 공감과 사회적 관심과의 정적상관, 상위기분과 사회적 관심과의 정적상관이 증명되었다. 이를 통해 공감을 잘하는 학생일수록 상위기분과 사회적 관심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공감과 사회적 관심과의 관계에서 상위기분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기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위기분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 간 경로에 대한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간접 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한 결과 상위기분을 매개로 공감과 사회적 관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공감 수준이 높을수록 상위기분 수준이 높아질 수 있으며, 이는 공감이 사회적 관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상위기분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위기분과 공감이 사회적 관심에 있어 중요한 심리적 기제임을 밝혔다. 따라서 대학생의 공감능력이 사회적 관심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타인에 대해 공감을 할 때 상위기분을 통하여 자신의 정서를 명확히 한 후 타인에게 관심을 기울이면 사회적 관심이 증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결과는 실제 현장이나 상담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대학생의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 대인관계 개선 등을 포함한 사회적 관심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empathy of college students affects social interes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higher moods in the process.
For the study, the following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e research subject was conduc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survey methods for college students living in Korea. The survey period was from April 6, 2020 to April 30, 2020, and a total of 320 copies were collected of which 299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21 unfaithful responses. The social interest scale, the empathy scale, and the upper mood scale were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 18.0 (spss 18.0) and AMOS 23.0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the respon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iew the level and normality of the research variable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SPS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pat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AMOS program for empirical analysis of the hypothesis established in this study. Finally, bias correction bootstrap was appli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meta mood in the influence of empathy on social interest.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empathy, social interest, and meta moo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pathy and meta moo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pathy and social interest,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ta mood and social interest were proved.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meta mood and social interest appear higher in the students who empathize well.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path analysi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meta moo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social interest, it was found that meta mood has a mediating effec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path between each variable were checked, and as a result of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between empathy and social interest through meta mood.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empathy, the higher the level of meta mood, which means that empathy may directly affect social interest, but indirectly through meta mood.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meta mood and empathy are important psychological mechanisms for social interes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mpathy ability of college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social interest, and social interest increases if one pays attention to others after clarifying their emotions through meta mood when empathizing with other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results can be applied in actual field or counseling, and can be used to develop programs to promote social interest, including understanding and caring for others, and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ternative Title
The Mediation Effect of Meta-Mood between Empathy and Social Interest to University Students
Alternative Author(s)
Jang Bo Ra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Advisor
김택호
Awarded Date
2021-02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및 가설 6
C. 용어 정의 7
1. 공감 7
2. 사회적 관심 7
3. 상위기분 8

Ⅱ. 이론적 배경 9
A. 공감 9
1. 공감의 개념 및 특징 9
2.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
B. 사회적 관심 15
1. 사회적 관심의 개념 15
2. 사회적 관심의 특징 17
3. 사회적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
4. 공감과 사회적 관심과의 관계 21
C. 상위기분 22
1. 상위기분의 개념 및 특징 22
2. 상위기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4
3. 공감과 상위기분과의 관계 27
4. 상위기분과 사회적 관심과의 관계 31
D. 공감, 상위기분 및 사회적 관심과의 관계 33

Ⅲ. 연구방법 34
A. 연구모형 34
B. 연구대상 34
C. 측정도구 36
1. 공감 척도 36
2. 사회적 관심 척도 36
3. 상위기분 척도 36
D. 자료수집 및 분석 37
1. 자료의 수집 37
2. 분석방법 37

Ⅳ. 연구결과 38
A.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분석결과 38
B. 공감, 사회적 관심, 상위기분의 상관분석 결과 39
C. 매개효과 검증 40
Ⅴ. 논의 및 제언 44
A. 연구결과 요약 44
B. 연구의의 및 제언 47

참고문헌 50

국문초록 64

부록 67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장보라. (2021). 대학생의 공감과 사회적 관심과의 관계에서 상위기분의 매개효과.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86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5982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