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김수현 홈드라마의 인물과 공간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솔
Issued Date
2021
Keyword
드라마 인물과 공간
Abstract
본 연구는 김수현의 드라마 과 를 통해 인물과 공간에서 작가적 특성을 찾고 한계점을 밝힌 후, 김수현 드라마가 현 시대에 연구 되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분석한다.
에서는 시대에 순응하는 인물과 시대에 불응하는 인물로 구분한다. 김수현 작가는 ‘가부장체제’라는 가치관을 갖고 있지만, 드라마의 상황은 작가의 가치관에 반대되는 현 시대이다. 따라서 김수현은 드라마의 구조를 작가의 가부장제적 가치관에 따라 의도적으로 비틀고 있다. 작가는 ‘비틀기’ 한 구조 속에서 가부장체제를 벗어날 수 없는 인물들을 통해 본인의 가치관을 굳건히 한다. 김수현의 드라마에서 반가부장체제의 인물들이 가부장체제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은 작가의 가치관을 표현함과 동시에 한계점이 된다.
에서는 김수현 드라마의 공간을 ‘집’ 안과 밖으로 구분한다. 김수현 작가는 집의 공간에 ‘가부장체제’라는 가치관을 반영하였다. ‘집 안’에서 거실은 여성과 남성의 성역할이 구분되어진 폐쇄적 공간이다. 부엌은 여성들에게 업무가 주어지며, 가부장체제의 인물들이 주도하는 공격과 억압의 공간이다. 방의 경우, 남자 방은 유대적 공간으로, 여자 방은 공격적 기능으로 구현된다. 이때 반가부장체제의 인물들이 또 다른 방의 공간에서 상하관계를 구분하는 모습을 통해 방은 이중적 구조를 갖게 된다. ‘집’의 공간은 작가의 이상적 공간이기에 반가부장체제의 인물들이 가부장체제 속에 머무르는 한계점을 갖는다. ‘집 밖’의 공간은 시대를 반영하여 ‘동시대성’을 획득한 공간으로 구현한다. 김수현은 부부관계 중 불륜, 가정 폭력, 도박, 외도, 소외와 단절 등 사회에 만연한 문제점을 드라마에 표현한다. 작가가 동시대성을 획득하는 것은 좋으나, 문제 갈등의 해결을 ‘가족주의’에서 찾는 점은 작가의 한계점이 된다.
본고는 가부장체제를 옹호하는 김수현 작가가 현 시대에 연구되는 이유에 대해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 우선, 작가가 시대의 문제점들을 드라마 에 환기시키는 것이다. 김수현의 ‘동시대성’은 단순한 시대적 배경의 나열이 아닌, 사회에 만연한 문제점들을 드라마 전면에 내세워 시청자들이 인식하게 하며 사회적 담론의 장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김수현은 사회적 문제점들의 해결에 ‘가족주의’를 내세운다. 가족주의는 가부장체제로 해석되는 문제점도 있지만, 갖은 문제와 갈등 속에서도 돌아갈 곳이 있다는 휴머니즘을 갖고 있다. 이는 김수현이 시청자들에게 주는 안식처이다.
이렇듯 김수현의 드라마는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며 안식처를 제공하는 휴머니즘 드라마이다. 아쉬운 것은 드라마에 작가의 ‘가부장체제’ 가치관이 뚜렷하게 보여, 한계점이 되는 것이다. 이런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해 김수현 작가의 ‘가족주의’ 가치관이 시청자와 소통 가능함에 주목한다.|This study is to define the writer's distinctive traits and explain its limitations through and and analises the need for the further contemporary research in TV Dramas written by Kim Soo-hyun.
has two types of chracters; Those who go with the times and those who are against it. Albeit, Writer Kim soo-hyun believes in patriarchy, the show is setting in the present which is mostly on the other side of the writer's belief. That means Kim soo-hyun is deliberately twisting the structure of the show along with her patriarchal belief. She proves her belief through the characters that are not capable of escaping from patriarchy in that twisted structure. The characters who are inevitable of remaining in patriarchy which is against the characters belief in her shows prove the writers belief but also becomes her limitation.
Kim soo-hyun identifies spaces in her shows as inside and outside of 'house'. Kim soo-hyun reflects patriarchy onto the space of 'house'. Family room is a closed space that gender roles of woman and man are divided. Kitchen is where women are assigned their duties and led by patriarchal characters attack and suppress the other. As in 'rooms', Men's room is shown as bonding spaces and women's room is shown as aggressive space. Then the 'room' gets to have double meaning when anti-patriarchal characters define hierarchical order in other rooms. The writer believes that 'house' is an ideal space and limits her anti-patriarchal characters to stay in patriarchal system. 'Outer house' space reflects the era and is then considered as a space with contemporaneity. Kim soo-hyun reflects widespread social issues such as adultery, domestic violence, gambling, affairs, isolation and severance on her show. Whether she gains contemporaneity yet it still remains as her limitation to find problem solutions from 'familism'.
This paper analyses the reason why writer Kim soo-hyun who advocates patriachy is studied in this era in two factors. First of all, how she evokes controversal issues from its era on her show. 'Contemporaneity' that she write is not only a general listing of context, but she deliberately confronts social problematic issues in her show which enables audiences to acknowledge those and creates a social debate. Last but not least, She stands on 'familism' to solve social issues. 'Familism' may be interpreted as patriarchy but it proves humanism by offering a return place in every problems and conflicts. This is how Kim soo-hyun gives a resting place to audiences.
As said above, Kim soo-hyun's shows are humanism dramas that can create social debate and offer resting places. Howevver she also creates her limitation by showing too much of her 'patriarcal' values. Despite of above limitations, this research focuses Kim soo-hyun's 'familism' value is still connectable with audiences.
Alternative Title
People and space of Soo-hyun Kim's Home-Dramas focused on the .
Alternative Author(s)
Jeong Sol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문예창작학과
Advisor
김희정
Awarded Date
2021-02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목적과 필요성 1
2. 연구사검토 6
3. 연구방법 및 대상 14

Ⅱ. 본론 18
1. 인물의 생성과 관계 18
1) 드라마 속 인물의 생성 19
2) 순응형 인물 25
3) 불응형 인물 32
2. 공간의 이상과 현실 39
1) 공간의 구분과 구현 39
2) 집 안 : 이상적 공간 41
3) 집 밖 : 동시대적 공간 48

Ⅲ. 결론 56

Ⅳ. 참고문헌 58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정솔. (2021). 김수현 홈드라마의 인물과 공간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86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004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