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푸치니 오페라 와 단테 『신곡』 편의 연관성

Metadata Downloads
Author(s)
최철
Issued Date
2021
Keyword
단테, 푸치니, 잔니 스끼끼, 신곡, 지옥, 파시즘, 이태리문학, 오페라 부파, 문화융복합
Abstract
푸치니(Giacomo Puccini, 1858-1924)의 단막 오페라 는 포르차노(Giovacchino Forzano, 1884-1940)의 대본으로 쓰여진 작품이다. 두 작품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와 단테 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30편에서 소재를 차용해왔다는 언급 정도였으며, 가 을 차용해 제작된 배경이나 대본과 시의 분석, 또는 문헌을 통한 연구가 찾을 수 없었다.
편과 의 연관성을 토대로 대본과 시를 분석해 보면, 두 작품의 근거는 물론, 소재, 인물, 장소, 역사적 배경 등 거의 작품 전체에서 영향과 또는 연관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상적인 면에서 해학과 밝음, 정의 등의 요소로 단테의 과의 교감 역시 인정할 수밖에 없으나, 작품 전체에서 풍기는 단테 『신곡』은 편이었다.
가 제작되었을 시기 푸치니와 포르차노는 국가 지상주의 나치즘의 영향으로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최고의 문호인 단테를 소환했으며 최고의 작품인 『신곡』을 통해서 이탈리아의 우수성을 나타내려고 했다.
두 작품의 연관성의 증거는 먼저 등장인물이다. 부오조 도나티, 그리고 죽은 그의 유산을 가로채는 잔니 스끼끼, 또한 피렌체 우화집에 등장하는 시모네 도나티이다. 이 작품의 소재 역시 죽은 부오조를 흉내 내어 재산을 가로채는 잔니 스끼끼의 이야기이며, 두 작품의 배경 역시 피렌체라는 것이다. 그리고 분쟁의 다툼 거리인 암말, 유언장 역시 가장 중요한 소재이다. 대사에 나오는 그 시대 성직자의 부패 이야기, 로마제국의 황제를 받드는 기벨리니당에 대한 역사적 사실 언급 등을 말할 수 있다. 의 지시어와 대사를 통한 표현 안에 살아있는 단테 편의 발견은 두 작품을 연구하는 이들에게는 더욱더 확장된 시야의 연구를 할 수 있는 촉매제일 것이다. 또한 안에서 보이는 지옥으로 떨어지기 충분한 도나티가 사람들의 물질을 향한 욕망과 분노의 모습은 두 작품의 연관성을 바라보는 다른 관점을 생각하게 한다. 사상적 측면에서는 천국의 결말을 내포한 하지만 소재를 비롯한 많은 부분의 창작 재료를 차용한 의 내용들을 보면서 마치 를 품은 이 행복한 결말을 원하는 푸치니 주문으로 희망의 천국을 향한 계단을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한 사건을 놓고 중세시대와 그 후 6세기 이후의 두 시대에서 서로 다른 관점에서 바라봤던 종교관과 그래서 상대적으로 상이 된 묘사를 한 성직자와 교회에 대한 모습 또한 이 작품의 연구를 통해 만들어진 하나의 연결고리일 것이다.
본 연구는 와 의 대본과 시를 분석하며 에 살아 숨 쉬는 을 발견하였으며 두 작품의 긴밀한 연관성은 앞으로도 더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 Gianni Schicchi is an opera in one act composed by Giacomo Puccini’s (1858 – 1924) in 1918 to a libretto by Giovacchino Forzano (1884 – 1940). Previous studies note that Gianni Schicchi borrowed stories in chapter 30 in Inferno of Dante’s La Divina Commedia. Unfortunately, in depth studies on the reasons why Puccini borrowed the stories from Inferno, or differences or similarities between Gianni Schicchi and Inferno have not been conducted so far.
Similarities in historical backgrounds, subjects, characters, places of both Inferno and Gianni Schicchi strongly indicate that Gianni Schicchi was deeply influenced by Inferno. Vividness, justice, and wit in Gianni Schicchi might be defined as the elements that can be found not in Inferno but in Paradiso of Dante’s La Divina Commedia. However, the whole story and mood tells Giannia Schicchi is deeply rooted on the ground of Inferno.
When Gianni Schicchi was created, Nazism was very popular. Due to strong influence from those social and political movements, Puccini and Forzano summoned Dante, who was considered as the most distinguished writer in Italy. By portraying Dante’s story in their works, they tried to show off cultural superiority of Ital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Gianni Schicchi and Inferno can be found in characters: Buoso Donati facing death, and Gianni Schicchi plotting to acquire fortunes by writing a new will with the help from Buoso Donati’s son, Simone Donati. The stories of both works took place in Firenze, Italy. As common materials used in both works, there are a mare and a will. Stories on corrupt clergies, Ghibellines supporting the Holy Roman Emperor can also be found in both works. Finding living Inferno in stage directions and lines of Gianni Schicchi can be a catalyst that helps extend point view angle for researchers. Buoso Donati, who seems to be destined for hell, shows both irresistible craving and anger toward fortune. This might suggest another view point for comparison of two works. Puccini expressed his hope for Gianni Schicchi to enter paradiso; however, whole settings and materials in Gianni Schicchi are ironically borrowed from Inferno. One story about Gianni Schicchi was described differently by Dante and Puccini because they had different view points in terms of Christianity. Despite the gap they had toward the church and clergies, the church and clergies can be counted to be binding elements for those two works.
In this study, Dante’s inferno deeply embedded in Gianni Schicchi was discussed through in-depth comparison between two works. Multiple factors that practically link those two works need to be inspected further from various view points.
Alternative Title
The Correlation between Dante 『La Divina Commedia』  and The opera of Puccini
Alternative Author(s)
Choi, Cheul
Department
일반대학원 문화학과
Advisor
이승권
Awarded Date
2021-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I. 서 론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2. 선행연구 검토 2

Ⅱ. 이론적 배경 5
1. 파시즘과 예술 5
2. 13-14세기 이탈리아 문학 9
3. 이탈리아 오페라 부파 11
4. 오페라로 전환된 단테의 문학 16

Ⅲ. 이탈리아 파시즘과 의 관계 20
1. 푸치니, 포르차노와 이탈리아 파시즘 20
2. 에 반영된 파시즘 23

Ⅳ. 와 편과 연관성 27
1. 단테와 푸치니의 이해 27
1) 단테의 이해 27
2) 푸치니의 이해 35
2. 단테 편과 푸치니 46
1) 단테 편의 이해 46
2) 푸치니 의 이해 60
3. 과 의 공통점과 차이점 80
4. 의 문화융복합적 의의 88

Ⅴ. 결 론 91

참고문헌 96

부 록 101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최철. (2021). 푸치니 오페라 와 단테 『신곡』 편의 연관성.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82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858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