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병원 질 향상 지원사업이 간호결과에 미친 영향
- Author(s)
- 이은영
- Issued Date
- 2021
- Keyword
- Long-Term Care Hospitals, Quality Improvement Support Program, Nursing Outcomes, Difference-in-Difference (DID)
- Abstract
-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료 질 향상지원사업이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간호결과에 미친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 평가자료를 활용한 2차 자료 분석연구이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6,7차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와 요양기관 현황 신고 자료이다. 인력현황이 신고되지 않거나, 폐업 및 휴업된 기관과 평가지표 중 진료부문에서 지표결과가 산출되지 않아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가 산출되지 않은 기관을 제외한 총 823개 기관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 method, DID)을 적용하여 질 향상 지원사업을 실시한 중재기관과 실시하지 않은 비중재기관 간 질 향상 지원사업 실시 전(2015년)과 실시 후(2018년)의 간호결과를 비교하여 정책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중차분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질 향상 지원사업 시행 전 집단 간 추세가 유사한지 살펴보고 DID(difference in difference method)분석 모형에 기관의 특성인 통제변수를 포함하여 추정한 결과와 통제변수를 제외하고 추정한 결과를 비교하여 질 향상 지원사업의 외생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질 향상 지원사업을 실시하지 않은 비중재기관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기관의 특성변수를 포함하지 않은 모형과 포함한 모형 모두에서 도출된 효과 추정값(DID 추정량)이 고위험군 환자에서 유치도뇨관이 있는 환자분율, 저위험군 환자에서 유치도뇨관이 있는 환자분율, 치매환자군에서 일상생활수행능력이 감퇴된 환자분율, 치매환자 제외군에서 일상생활수행능력이 감퇴된 환자분율, 고위험군에서 욕창이 새로 생긴 환자분율, 저위험군에서 욕창이 새로 생긴 환자분율, 고위험군에서 욕창이 악화된 환자분율 지표에서 모두 음(-)의 방향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질 향상 지원사업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고위험군에서 욕창이 개선된 환자분율은 양(+)의 방향으로 갈수록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데 도출된 효과 추정값(DID추정량)이 양(+)의 방향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질 향상 지원사업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질 향상 지원사업이 간호결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본 연구는 1차부터 5차까지 요양병원 적정성 평가지표가 상이하여 6차와 7차 두 차수 평가결과만을 가지고 분석을 하였기에, 전체기간의 변화를 추정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후 요양병원 적정성 평가 차수를 포함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본 연구에 이어 요양병원 환자의 연령, 상병의 중등도 등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 및 요양병원 간호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간병인 등)을 포함한 정책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요양병원 입원환자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수단을 고안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의 연구내용 및 결과는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공식적인 견해가 아님을 밝혀둔다.
주요어: 요양병원, 질 향상 지원, 간호결과, 이중차분법 |Purpose: This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using the evaluation data of the adequacy of the inpatient benefits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HIRA). The aim of our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medical quality improvement support program conducted for Long-Term Care Hospitals on nursing outcomes of inpatients.
Methods: For the analysis, difference in difference(DID) method was used.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nursing outcomes between the institutions that conducted implementation and those that did not with the time course before the year of 2015 and after year of 2018.
To verify the DID method, before implementing the quality improvement support program, examine whether the trends between groups are similar, and exclude the estimated results and control variables by including the control variable,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institution, in the DID method analysis model. Further, by comparing the estimated results, the exogenous quality improvement support program was confirmed.
Results: The study, focused on the proportion of high-risk patients with indwelling catheters whose effect estimates(DID estimators) derived from both models that do not include the institutions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those that include non-resourced institutions that have not implemented the quality improvement support program as a comparative group. The proportions of patients with indwelling catheters in the low-risk group, those with a decline in daily living ability in the dementia patient group, newly developed bedsores in the high-risk group, those with new bedsores in the risk group, and the fraction of patients with deteriorated bedsores in the high-risk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negative(-) direc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quality improvement support program was be effective.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improved bedsores in the high-risk group implied a positive effect.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quality improvement support program for Long-Term Care Hospitals was effective in nursing outcomes. In this study, as the evaluation indexes of these hospitals were different from the first to the fifth,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ly with the results of the sixth and seventh evaluations. In addition, a study that considers patient characteristics, such as age, the severity of diseases, and institution's policy, including various factors(caregivers, etc.) that can affect Long-Term Care Hospitals' nursing outcomes, is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cornerstone for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for in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in the future. Additionally, the research content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based on the personal opinions of the researcher, not the official opinions of the HIRA.
Key words: Long-Term Care Hospitals, Quality Improvement Support Program, Nursing Outcomes, Difference-in-Difference (DID)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s of Nursing Outcomes on Quality Improvement Support Program in Long-Term Care Hospitals
- Alternative Author(s)
- LEE EUN YOUNG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Advisor
- 김진희
- Awarded Date
- 2021-02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용어 정의 7
Ⅱ. 문헌고찰 10
1. 요양병원 10
2. 국내ㆍ외 요양병원 의료 질 평가제도 11
1) 국내 요양병원 평가제도 11
2) 국외 요양시설 평가제도 15
3. 요양병원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QI) 지원사업 19
4. 질 향상 활동(Quality improvement, QI)과 성과 21
5. 의료질 향상 노력과 간호결과 25
6.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 DID) 31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35
Ⅳ. 연구방법 38
1. 연구설계 38
2. 자료원 38
3. 자료구축 및 분석대상 39
1) 자료구축 39
2) 분석대상 39
4. 자료분석 방법 42
1) 요양병원 일반적 특성 분석 42
2) 이중차분법을 이용한 질 향상 지원사업 효과분석 43
5. 윤리적 고려 55
Ⅴ.연구결과 56
1. 연구대상 기관의 일반적 특성 56
2. 연구대상 기관의 간호결과 59
3. 질 향상 지원사업이 간호결과에 미친 효과 62
1) 질 향상 지원사업 전ㆍ후의 간호결과 62
2) 이중차분 결과(질 향상 지원사업이 간호결과에 미친 효과) 66
Ⅵ.논의 70
1. 요양병원 질 향상 지원사업이 간호결과에 미친 영향 70
2. 분석방법론에 대한 논의 73
3. 정책 제언 및 함의 74
4.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77
Ⅶ.결론 79
참고문헌 80
부록 91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이은영. (2021). 요양병원 질 향상 지원사업이 간호결과에 미친 영향.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81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8264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1-02-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