孤山 尹善道의 隱居時期 詩世界 硏究
- Author(s)
- 서용규
- Issued Date
- 2021
- Keyword
- 윤선도, 고산유고, 자연관, 시간관, 은거기
- Abstract
- This study aimed to speculate on Chinese poetry by Yun, Sun-Do who was a member of the Honam Namin circle in Honam and one of representative literary persons in Joseon Period along with Song Gang Jeong Chol.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sed his point of view on nature and time focusing on Chinese poetry he created in Bogildo as his important hermita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s in serial:
First, to closely analyse Gosan's Chinese poetry, this study analysed his life and thoughts.
Although it seemed that he had an easy life as a government officer thanks to his outstanding talent, he was exiled a total of three times: ‘from the age of 31 to 37’, ‘ from the age of 52 to 53’ and ‘from the age of 74 to 81.’ He was a government officer for 12 years, but he was a hermit as twice as longer than 12 years. Therefore, it was analysed that he has a turbulent life.
As for this thoughts, it was suggested that he was indulged in Confucianism from loyalty, filial piety and sympathy he expressed in the following poetry:「Two Poems of Chaakmangwon」, 「Yongjeonunyounghoi」, 「Byonghwangosan Sunsanggamheung」 and 「Geunhwajeongryongju」. It was discovered that he was also indulged in Taoism from the following Chinese poetry: 「Yongjeongun Heejakyousunsaguhua」 and 「Joju」.
Second, to closely understand Gosan's Chinese poetry, this study analysed his point of view on nature, focusing on Chinese poetry on his heritage.
As for his point of view on nature, it was discovered that he conceptualized nature to pursue for his ideology and enjoyed easy retirement while feeling beautiful nature. In particular, he had his humble attitude as a scholar and was enlightened through his faith on natural objects as seen in 「Gyokjabong」, 「Soeungbyong」,「Guam」, 「Misan」 and 「Nakseojae」. Both of his points of view on nature that he had an innocent interest in nature and he pursued his ideology as a Confucian scholar were complementary and compatible, not opposite. Also, it was understood that the poems he created in Bogildo as a central heritage showed clearly that he recognized nature as a researcher.
Third, to closely understand his Chinese poetry, this study analysed his point of view on time, focusing on poetry on his heritage.
In Chinese poetry of 「Joju」, 「Nakseojaewueum」 and 「Kisil」, circulatory and permanent time of nature and experimental and finite time of people were related to gardens he made in Bogildo. It showed that he was relaxed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and his faith was consolidated based on his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n time. |본고는 宋江 鄭澈과 더불어 조선시대의 대표적 문학가인 尹善道의 한시를 연구하려고 한다. 연구의 대상은 그의 주 은거지였던 甫吉島에서 창작된 한시로 한정하며, 고산 윤선도의 생애와 사상을 바탕으로 그의 작품에 나타난 자연관, 시간관에 대하여 연구분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고에서는 3가지 연구분석을 다음과 같이 시도하였다.
첫째, 고산 윤선도의 한시를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그의 生涯와 思想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한 그의 생애는 소년기부터 탁월한 문학적 재능으로 평탄한 관직 생활을 한 것 같았으나, ‘31세부터 37세까지’, ‘52세부터 53세까지’, ‘74세부터 81세까지’ 총 3번의 유배기를 거쳤고, 관직 생활이 12년인 것에 비해 약 2배 가까이 되는 은거기과 오랜 유배기를 보냈다. 이를 통해 고산 윤선도는 무척이나 길었던 파란중첩의 삶을 보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의 사상은 그가 지은 「次樂忘韻 二首」, 「用前韻詠懷」, 「病患孤山 船上感興」, 「謹和呈龍洲」 등의 한시에서 표현된 忠, 孝, 憐愍 등을 통해 儒家思想에 심취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用前韻 戱作遊仙辭求和」, 「釣舟」등의 한시를 통해 그가 道家思想에도 심취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고산 윤선도의 은거지 한시를 대상으로 그의 自然觀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한 그의 자연관은 유가 특유의 특징이기도 한 자연을 관념화를 통한 깨달음을 얻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이념 추구를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러한 태도는 탐구자 관점과 맞닿아 있었다. 그리고 자연 속에서 悠悠自適하면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유람자 관점이 공존함을 확인하였다. 특히「格紫峯」, 「小隱屛」,「龜巖」, 「薇山」, 「樂書齋」 등의 한시에서 居敬窮理의 모습, 자연물에 본인의 신념을 투영시켜 깨달음을 얻는 모습 등은 자연에 대한 순수한 관심을 드러내는 유람자 자연관과 유학자적 실천의식으로 자연물을 관념화하여 자신의 이념을 추구하는 탐구자 자연관이 상호 보완적인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서로 간의 유동 가능성이 충분히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 은거지였던 甫吉島에서 지어진 작품은 탐구자 관점의 자연 인식 태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고산 윤선도의 은거지 한시를 대상으로 그의 시간관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한 그의 時間觀은 「釣舟」, 「樂書齋偶吟」, 「記實」 등의 한시를 통해 물리적이고 현실적인 시간성이 아니고 循環과 永遠이라는 자연의 시간과 인간의 유한한 경험적 시간이 그가 조성한 보길도 園林과 연결되어 그의 심신 안정은 물론 신념을 더욱 확고하게 하는 고산 윤선도의 철학적 시간관이 잘 표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1-02-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