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북 큐레이션을 적용한 대형서점의 매개공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유나 윤갑근
Issued Date
2020-08
Keyword
북 큐레이션 대형서점 매개공간 Book Curation Bookstore Intermediate Space
Abstract
연구배경 문화 발전으로 인해 대형서점은 복합문화공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여러 목적을 가진 공간을 대입함으로써 보다 소비자와 소통하고자 하였다. 대형서점의 공간에서 유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매개공간에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북 큐레이션 공간을 적용하여 다양한 가치를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공간 방향성 제시라는 차별성을 두고 대입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북 큐레이션을 적용한 대형서점의 매개공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특성과 공간구성 방향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선행연구를 통해 유형과 공간적 특성을 추출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공간구성 방향성에 대해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공간 유형은 4가지로 나타났으며, 매개공간의 2가지 측면을 기준으로 북 큐레이션을 적용한 대형서점의 매개공간 특성은 6가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사례분석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자의 문화 향상과 일상생활에 깊게 접근하고자 하였다. 결론 공간에서 상품 판매 공간과, 연관 행위 공간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적 측면으로는 연계성, 체험성, 전이성이 고려되어 소비자에게 문화적 체험 기회 제공과 문화 향상을 더욱 적극적으로 관여한다. 공간적 측면으로는 영역성, 개방성, 접근성이 고려되어 공간 이용자에게 작은 단위 공간부터 공간을 더욱 확대해 북 큐레이션 접촉 빈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Background Due to cultural development, large bookstores are becoming complex cultural spaces. So, the company wanted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more by substituting space with various purposes. Various values were developed by applying a book curation space that suggested the lifestyle of consumers to a medium that could change from the space of a large bookstore. Through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on the entrance plan with the distinction of presenting specific spatial orientation. Methods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 of spatial composition were explored and based on this, the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through prior research. Specific spatial composition direction was outlined through case analysis. Result There were four types of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wo aspects of the medium space were shown in six characteristics. Through case analysis, the company sought to improve the culture of consumers in various ways and to take a deep approach to their daily lives. Conclusion In space, product sales space and associated action space are considered in terms of programmatically, providing consumers with opportunities for cultural experience and improving culture. In terms of space, area, openness, and accessibility were taken into account to further expand the space from small unit spaces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North curation contact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Intermediation Space of Bookstore with Book Curation
Alternative Author(s)
Lee, Yu-Na Yoon, Gab-Geun
Department
Dept. of Lifestyle Design
Publisher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Citation
이유나. (2020-08). 북 큐레이션을 적용한 대형서점의 매개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25(3), 77–86. doi: 10.21326/ksdt.2020.25.3.007
Type
Reasearch Paper
ISSN
2586-4777
DOI
10.21326/ksdt.2020.25.3.007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677
Appears in Collections:
Dept. of Lifestyle Design > Yoon, Gab-Geun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