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A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Children Disaster Safety and Safety Training Classroom in School for Increasing Responding Ability of Disaster

Metadata Downloads
Author(s)
Choi, Seong-Kyung Moon, Jeong-Min
Issued Date
2019-06
Keyword
Responding ability of disaster Vulnerable Children Disaster safety education of children Facility of safety education Safety Training Classroom in School 재난 대응력 취약계층 아동 아동 재난안전 교육 안전교육 시설 안전교육 체험교실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As various types of disaster happen all over the worlds world, unexpected social problems take place which threaten safety of citizens and cities. UNISDR focuses on importance of disaster risk management managements for relieving disaster in the stage of prevention, and adopts ‘Hyogo Action Plan(2015)’ which helps enhance levels of disaster prevention in various classes, for effective disaster response. Vulnerable children who could be potential risk factor from disaster disasters could trigger lots of various social problems if they are not prepared for disaster damages. Therefore, safety education is important which helps children acquire information about disaster, judge state of disaster by themselves, and perform safe behaviors prop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grasp comprehensively current state of domestic education facilities for improving disaster responsive ability of children. Also, analyze current state of space composition and safety education program in Korea, focusing on safety training classes within school which helps empirical education and drills conducted continuously in school schools. (Method) As a research method, firstly, understand emotional risk which should be handled, to improve disaster resilience in the daily lives. Also, reflect theoretically on safe behaviors and safety psychology based on children. Secondly, research on general state of facility, and classify types of education facilities for children’s safety after comprehending regional characters of educational environment, persons concerned, and programs which are elements of safety education. Finally, examine current state of empirical safety classes within schools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and safety education programs in six safety training classes which opened from 2017 to 2019 for case study. (Results) As a result of studying safety training classes in Korea, most classes conduct safety education about drug, safety of elevator, disaster safety, first aid, and traffic safety, utilizing averagely 2.5 classes based on standard facility model. After analyzing character of space composition by domains, complexity, connectivity, and capability, empirical classes are composed of system of modulation according to programs and scale of space based on standard facility model in the aspect of domains, so most spaces are well divided. Also, various safety educations are conducted in 2.5 classes in combination. In the aspect of connectivity and capability, more utilizable spaces are needed by using variable rooms and connecting surrounding facilities even though empirical space by experience story and empirical facility, considering surrounding local character, are well conducted. (Conclusions) Recently, accessibility of empirical education increased a lot as empirical classes are built locally. Also, range of education are enlarged to build safe community by opening safety education to parents and local residents beyond children. Children can behave safely and are equipped with physical ability and proper judging ability for responding to disaster through safety training classes.
(연구배경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재난이 발생하면서 도시와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예상치 못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UNISDR에서는 예방단계에서 재난을 경감시키기 위한 재난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효고행동강령(2015)’을 채택하여 효과적인 재난 대응을 위한 다양한 계층의 재난 대비 수준을 강화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사회 구성원 중 취약계층인 아동은 재난에 준비되지 않았을 경우 잠재적인 재난 리스크로써 많은 사회 문제를 발생 킬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이 재난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스스로 재난 상황을 판단하여 적절한 안전 행동을 취하기 위한 재난 안전 교육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재난안전 대응력 향상을 위한 재난 안전교육시설의 유형을 분류하여 국내 교육시설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한다. 또한 교육시설 유형 중 학습과 체험교육이 학교 내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학교 내 안전체험교실을 중심으로 재난 안전 교육 프로그램과 공간구성에 대한 국내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 인간의 생활환경 내에서 재난 회복력 향상을 위해 관리해야 할 정서적 리스크 이해한다. 또한, 안전 심리학중 아동을 대상으로 한 안전심리와 안전행동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둘째, 재난안전 교육의 구성요소인 프로그램, 이해관계자, 교육환경의 장소적 특성을 파악하여 아동 재난안전 교육시설의 유형을 분류하며, 국내 시설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교육시설 유형 중 안전체험교실을 중심한 사례분석을 위해 2016년 교육부에서 시행한 안전체험교실 시범학교로 지정되어 2017년부터 2019최근까지 개관한 안전체험교실의 6곳의 재난 안전교육 프로그램과 공간구성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학교 내 안전체험교실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결과) 국내 학교 내 안전체험교실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안전 체험교실이 표준 시설 모형을 바탕으로 유휴 교실 2개에서 2.5개 교실을 활용하여 교통안전, 응급처치, 재난안전, 승강기 안전, 약물폭력에 대한 안전 교육이 진행되고 있었다. 공간구성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영역성, 복합성, 연계성, 활용성으로 나누어 분석해본 결과 영역성에 있어서는 체험교실 자체가 표준 시설 모형을 기준으로 공간 규모와 프로그램의 특성에 맞게 모듈화 형식으로 구성되다 보니 대부분의 공간의 영역이 잘 구분 되어 있었으며, 약 2.5개 교실에서 다양한 안전 관련 교육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계성과 활용성 부분에서는 체험별 스토리 연계방식의 체험공간과 주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체험시설을 제외하고는 크게 주변과의 연계성 및 가변적 공간을 통한 공간의 활용성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최근 지역별로 거점형 안전체험 교실이 확충되면서 체험 교육의 접근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아동의 안전 교육을 넘어 학부모와 주변 주민들에게까지 개방하여 안전 커뮤니티 형성을 위해 교육의 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아동들은 안전체험 교실에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올바른 판단능력과 신체적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아동 스스로가 안전한 행동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아동의 역량은 지역사회와의 교류를 통해 안전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Alternative Title
재난 대응력 향상을 위한 아동 재난안전 교육과 안전체험 교실 연구
Alternative Author(s)
최성경 문정민
Department
Dept. of Lifestyle Design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Citation
Choi, Seong-Kyung. (2019-06). A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Children Disaster Safety and Safety Training Classroom in School for Increasing Responding Ability of Disast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4(3), 23–37. doi: 10.35216/kisd.2019.14.3.23
Type
Reasearch Paper
ISSN
1976-4405
DOI
10.35216/kisd.2019.14.3.23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653
Appears in Collections:
Dept. of Lifestyle Design > Moon, Jeong-Min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